본문내용 바로가기

통합 공지사항

2015년 상반기 1372 소비자상담 동향 분석

부서명
소비생활센터
작성자
소비생활센터
작성일
2015-08-17
조회수
987
첨부파일
내용
2015년 상반기 1372 소비자상담 동향 분석
- 부산지역 8개 1372소비자상담 기관대상 -

◈ 부산시-소비생활센터, 부산여성소비자연합, 부산소비자연맹, 부산YWCA, 한국부인회 부산지부, 전국주부교실 부산지부, 한국소비생활연구원 부산지부, 부산녹색소비자연대에 접수된 2015년 상반기 1372소비자상담 46,155건의 동향분석

2015년 상반기 부산시 소비생활센터와 부산지역 7개 소비자단체에 접수된 1372소비자 상담은 총 46,155건으로 작년 동기간 대비 2,090건(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소비자상담 이용자 성별을 분석해본 결과 여성 26,039건(56.4%), 남성 20,116건(43.6%)건으로 여성 소비자의 1372 소비자상담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작년 동기간 대비 여성 소비자 상담건이 2,186건(9.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접수방법별 현황을 분석해본 결과 전화접수가 45,965건(99.6%)으로 가장 많았으며, 판매방법별 현황을 분석해본 결과 일반판매 31,214건(67.6%), 특수판매 10,722건(23.3%), 기타 4,219건(9.1%) 순으로 나타남.

특수판매 중에서도 전자상거래 관련 피해가 4,624건(10.0%)으로 가장 많이 접수되었으며, 다음으로 TV홈쇼핑 2,819건(6.1%), 방문판매 1,391건(3.0%), 전화권유판매 1,185건(2.6%), 기타통신판매 501건(1.1%), 노상판매 109건(0.3%), 다단계판매 93건(0.2%) 순으로 나타남.

신청이유별 현황을 분석해본 결과 계약해지·해제 관련 상담이 13,127건(28.5%)으로 가장 많이 접수되었으며, 다음으로 A/S·품질 12,655건(27.4%), 단순문의 등 기타상담 8,074건(17.5%), 계약불이행 4,608건(10.0%), 가격요금 3,935건(8.5%), 부당행위 2,421건(5.2%), 제도·약관 844건(1.8%), 제품안전 491건(1.1%) 등의 순으로 나타남.

처리결과별 현황을 분석해본 결과 소비자정보제공을 통한 민원응대 건이 41,061건(89.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제공의 구체적인 유형을 살펴본 결과 기타정보제공이 18,850건(40.9%)으로 가장많이 접수되었으며, 다음으로 보상기준설명 12,849건(27.8%), 법·제도설명 5,206건(11.3%), 기타 2,121건(4.6%), 피해구제 절차안내 1,493건(3.2%), 타기관 알선 542건(1.2%) 순으로 나타남.

2015년 상반기 1372소비자상담 46,155건 중 상담기관의 직접 피해처리가 이루어진 경우는 5,094건(11.0%)으로 이 중 상담기관의 합의·권고가 성립되지 않아 한국소비자원 등 관련 기관으로 피해구제 신청한 경우는 113건으로 나타남.

마지막으로 소비자상담 다발품목을 조사해 본 결과 소비자상담이 가장 많이 접수된 품목은 백수오 제품으로 2,976건 접수되었으며, 다음으로 휴대폰·스마트폰 1,185건, 이동전화서비스 1,612건, 상조서비스 1,185건, 중고자동차중개·매매 791건 등의 순으로 나타남.

소비자상담 다발품목 1위인 ‘백수오제품’의 경우 한국소비자원의 「시중 유통중인 백수오 제품 상당수가 가짜」 (‘15.4.22)보도자료 발표 이후, 백수오 건강식품의 진위여부에 따른 환급 및 손해배상과 관련한 상담이 급증하여 나타난 현상임.

소비자상담 다발품목 2위인 ‘휴대폰·스마트폰’의 경우 작년 동기간 대비 669건(26.9%) 감소한 반면 3위인 이동전화서비스의 경우 작년 동기간 대비 210건(1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소비자상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판매유형등장 및 단순한 제품하자에 대한 구제 정도를 넘어 서비스의 질을 문제 삼는 등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으로 변해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앞으로 다양한 소비자문제로 인한 소비자불만은 늘어날 것으로 보여짐.

이에 부산시에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소비자상담을 위해 2015년 관내 소비자단체 상담원을 대상으로 소비자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며, 금년 9월부터 노인들을 대상으로 강의 및 연극으로 찾아가는 소비자교육, 11월 이후부터는 고등학교 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교육을 실시한 계획임.

※ 1372소비자상담센터 : 전국 어디서나 단일 대표전화 1372로 소비자가 전화를 걸면 신속한 전화연결로 상담 편의성을 높이고 모범상담 답변과 상담정보 관리를 통해 질 높은 상담서비스 및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담효율성과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서비스임
※ 1372소비자상담센터 참여기관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단체 협의회 소속 10개 소비자단체, 16개 광역시도 지방자치단체

출처 : 1372소비자상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