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에너지절약 3,6,9 
범국민 실천운동 및 공공기관 승용차 요일제 의무화 실시
■ 에너지절약 3,6,9 범국민 실천운동
 □ 
산업자원부(丁世均 장관)와 에너지관리공단(金均燮 이사장)은 新고유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범국민 에너지절약 실천운동을 전개해 나가기로 
하였음
 ○ 국민들이 아주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절약방안 3가지와 평소에 관심을 갖고 실천할 수 있는 절약방안 6가지를 선정, 
「3+6=9 운동」을 범국민 실천운동으로 실시
에너지절약「3+6=9」국민실천운동  | 절감효과  | 
 생활실천  |  ① 사용하지 않는   |  864  | 
 관심실천  |  ④ 여름철 건강온도는 26 ~ 28℃를   |  1,437 3,408  | 
  ○ 또한 고효율기기 보급을 통한 에너지절약을 강화하기 위해 6월 한달동안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가정 한등 고효율전등으로 바꾸기” 캠페인 
실시
* 전 가정이 1개씩 고효율전등으로 교환시, 연간 약 400억원의 에너지 절감효과 및 고효율기기에 대한 관심 증가 효과 발생 
기대
■ 공공기관 승용차 요일제 실시
 □ 
오는 6월 12일(월)부터 공공기관에 출입하는 차량중 “끝번호 요일제”에 해당하는 
차량은 전국 정부청사,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 등 공공기관을 출입할 수 없게 
된다. 
○ 산업자원부는 지속되고 있는 고유가 상황에 대응하여 
공공기관부터 에너지절약에 솔선수범하기로 한 지난 제4차 국가에너지자문회의(대통령 
주재, ‘06,5,19)의 결과에 따라, 국무조정실 등과 협의를 거쳐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6월 12일부터 승용차 요일제를 의무화하여 실시한다”고 발표하였다.
◆적용대상
  10인 
이하의 비사업용자동차 (승용차·승합차)
◆제외대상 
   - 
외교용자동차, 보도용자동차, 장애인 사용 자동차
   - 긴급자동차(소방·경찰·경호·군작전·경비·의료 
및 긴급정비 서비스용 등)
   - 800cc미만의 경자동차
 □ 
 
 “끝번호 요일제”란 각 요일에 
해당하는 자동차 끝번호 차량이 공공기관에 진입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즉 월요일에는 자동차번호 끝자리수가 1 또는 6인 차량이 공공기관에 진입할 수 없고, 
화요일에는 2 또는 7, 수요일에는 3 또는 8, 목요일에는 4 또는 9, 금요일에는 5 
또는 0번 차량이 공공기관에 진입할 수 없게 된다.
< 끝번호 요일제>
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공휴일 및 비근무일(토·일)  | 
끝번호  | 1·6  | 2·7  | 3·8  | 4·9  | 5·0  | -  | 
 □ 
금번 시행되는 승용차 요일제는 정부, 지자체, 
정부투자기관 등 약 640개 공공기관이 참여하게 되며, 공공기관을 방문하는 민원인 
및 방문객 승용차도 대상에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