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와 본격적인 여름이 다가 오면서 식중독, 뇌염, 수인성전염병 그리고 유행성눈병 등의 감염 위험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행성눈병,바이러스성뇌수막염,수족구병 등의 바이러스성 전염병은 전염성이 강하여 유행이 거의 폭발적이고 전국적이지만, 특이한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므로 개인위생관리가 아주 중요합니다.
1. 유행성눈병
1) 원인체 : 아데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2) 잠복기 : 8-48 시간 3) 감염경로 : 직접접촉(물수건, 수영장 등) 4) 증상 : 눈물, 결막충혈, 눈이 따갑고, 눈 주위가 붓고 눈꼽이 많아지 는 증상이 2일∼3주 정도이며 심해지면 눈부심, 시력 저하 등 5) 예방대책 : ① 손을 매개체로 해서 전염이 되므로 반드시 비누를 이용하여 손씻기 를 자주 합니다. ② 유행성 눈병 환자와의 신체접촉 및 물건의 접촉을 삼가 해야 합니 다. ③ 절대로 눈을 비비거나 만지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④ 가족 중에 눈병 환자가 있을 때는 반드시 수건, 세수대야, 비누, 침구를 별도로 사용하고, 사용한 수건은 깨끗이 삶고 소독합니다. ⑤ 물에 의해 전염이 가능하므로 눈병에 걸리면 수영장이나 목욕탕에 가지 않도록 합니다. ⑥ 앞머리카락이 눈언저리에 닿지 않게 하고 콘텍트 렌즈 사용도 삼가 합시다
2.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1) 원인체 : 엔테로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2) 잠복기 : 4-6 일 3) 감염경로 : 분변-구강 경로, 공기를 통해 사람과 사람으로 전파 4) 증상 : ① 바이러스가 머리 속에 침범하여 뇌막 및 주위 뇌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므로 발열, 두통, 구토, 권태, 구역, 복통, 인후통 증상이 나타납니다. ② 12개월 아기들이 감염되면 쉽게 경련이 일어날 수 있으며, 뇌염 등을 동반하여도 후유증은 거의 없음. 5) 예방대책 : ① 특별한 치료제도 없고 예방백신도 개발되어 있지 않습니다. ② 음식 및 물을 끊여 먹고 기본적인 개인위생을 잘 지킵니다. ③ 어린 아이들이 용변 후, 외출 후 꼭 비누로 손 씻기를 철저히 해 야 합니다. ④ 학교, 유아원 등 어린이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상호접촉을 피합니다.
3. 수족구병
1) 원인체 : 콕사키바이러스 A16, 에코바이러스 25, 엔테로바이러스 71 2) 잠복기 : 1-5 일 3) 감염경로 : 감염된 사람의 비인두 분비물이나 대변 4) 증상 : 손바닥, 발바닥, 구강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미열, 콧물,인후통을 나타내고 뇌염, 뇌막염,소아마비성 운동 마비 등의 신경학적 후유증이 나타날 수도 있음. 5) 예방대책 : ①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고 유효한 예방백신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② 감염된 사람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수돗가에서 손을 씻지 말아야 합니다. ③ 감염된 아기의 변이 묻은 기저귀를 아무렇게나 버리면 대변 속에 배출된 바이러스가 수 주일나 전염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위험합니 다
4. 일본뇌염
1) 원인체 : 일본뇌염바이러스(플라비바이러스) 2) 감염경로 :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매개 전파 되며, 돼지가 전파의 크 다란 역할을 수행하고 주로 15세이하(70%∼80%)와 고령층 에서 발생함. 3) 증상 : 발열, 두통, 구토, 의식장애, 신경장애, 운동마비, 언어장해, 성격이상, 지능저하 등의 후유증(치명률 20-30%) 4) 예방대책 : ①모기제거를 잘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합시다 ②긴옷을 입고 낚시, 야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잠자기 전에는 모기향, 모기장 등을 사용하고, 방충망은 뚫린 곳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④어린이는 예방접종을 잊지않아야 합니다
5. A형 간염
1) 원인체 : A형 간염바이러스 2) 잠복기 : 15-45일 3) 감염경로 : 경구적(오염된 물이나 음식으로 전염되는 수인성 질환) 4) 증상 : 발열, 복부통증, 황달 등 5) 예방대책 : ① 음식 및 물을 끓여서 먹고 위생적 처리가 필요합니다. ② A형 간염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여행하는 경우 등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백신 접종이 권장됩니다.
6. 수두
1) 원인체 : 바리셀라조스트 바이러스 2) 잠복기 : 약 20일 3) 감염경로 : 공기를 통하여 상기도 점막이나 피부병소의 접촉에 의해 전파 4) 증상 : ① 소아 -수두 발진이 나타나기 전 1∼2일간 발열, 식욕부진, 두통, 권태감 등의 증상을 나타내고 전신적으로 발진-수포-농포-가피로 진행하면서 매 우 가렵습니다. ② 성인 -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지각신경절 속의 지속감염 형태로 지내다가 많이 피곤 하거나 면역력 저하 시 발생함 수포형성 부위는 지각신경절이 있는 피부, 가슴, 등, 머리, 목 등 이므로 심하게 아프고 나이가 많이 드신 분일수록 급성병변이 심하 게 생겨 4주정도 지속됨. 5) 예방대책 : ① 수두의 예방은 예방백신 접종이 가장 좋고 감염 시에는 가려움증을 을 해결하기 위하여 항소양증 약물을 바릅니다. ② 수두 환자와 접촉을 피합니다. ③ 대상포진은 수주만에 저절로 소실되고 재발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 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