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 길이의 것을 계측할 때 현장에서 사용하는 기준이 되는 길이의 막대. measure pole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는 관.
일반 공장에서 원재료를 반입하거나 제품을 반출하기 위해 가까운 역에서 공장 내의 창고까지 설치한 측선. 공장이나 창고 등의 화주(貨主)가 전용하기 위해 시설하는 전용 측선의 하나로, 공장선이라고도 한다. industrial siding
다변량 해석법의 하나. 많은 변수가 복잡하게 상관하고 있는 경우, 변수 간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는 공통의 인자를 꺼내는 방법.
(1) 물체 내의 임의의 단면에 수직된 힘이 작용하여 양측 부분을 서로 잡아떼려는 힘. (2) 휨에 저항하지 못한다고 생각되는 케이블 등의 축방향 또는 막의 중앙면 내에 작용하여 인장을 발생시키는 힘. 인장력을 말할 때도 있다.
재료가 인장력을 받아 파단할 때의 세기. 최대 인장력을 그 재료의 원단면적으로 나누어 단위 면적당의 힘으로서 나타낸다. tenacity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는 압열[壓裂, 할열(割裂)이라고도 한다] 시험에 의해 구한다. 시험은 압축 강도 시험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 한 형상의 원주 공시체(供試體)를 사용하며 압축 시험기의 상하 가압판 사이에 가압판과 공시체의 접촉선에 틈새가 없도록 옆으로 놓고 하중을 가해 가며 그 최대 하중 P를 구한다.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 σt은 σt 2p/(π dℓ) 로부터 구한다. 여기서, d는 공시체의 지름, ℓ을
구조물 또는 그것을 구성하는 부재가 인장력을 받았을 때의 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 선재(線材)에서는 영 계수와 단면적의 곱으로 주어진다.
사태 혹은 붕괴시에 인장력이 생겨서 발생하는 균열. 주로 활동한 지반의 두부에 발생하며, 지반의 미끄럼 방향에 직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