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953/1604)

지중 매설관, 지하 탱크 등 지진시의 진동이 주로 주변 지반의 운동에 지배되는 구조물에 대하여 쓰이는 내진 설계법. 깊이 χ(m) 이 지반 변위 진폭(Uh)의 제안식으로 다음 식이 있다. Uh(2/π2)×SVTGkh'cos(πχ/2H) Sv : 기반의 응답 속도, TG : 지표층의 주기, kh
어떤 지진동이 일정한 감쇠 상수를 갖는 임의 주기의 1질점계에 작용하여 생기는 최대 응답값을 질점계의 주기에 대하여 플롯한 것.
지진동 등의 동적 외란을 받은 진동계의 각부에 생기는 전단력.
진동계가 지진동 등의 동적 외란에 대하여 반응하는 모양을 역학 모델을 써서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3차원 응력 상태에서 임의 방향의 평면에 작용하는 합응력 벡터의 끝이 그리는 곡면. 세 주응력 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타원체가 된다.
지진 단층 파라미터의 하나. 지진 발생 전후의 단층면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의 차를 응력 강하라 한다.
흙이 전단을 받는 과정에서 응력 상태의 변화를 응력 평면상에서의 궤적(軌跡)으로서 나타낸 그림. 모어의 원의 정상점 궤적 등이 있다.
파괴 강도보다도 훨씬 작은 응력으로도 환경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
응력의 존재하에서 부식이 심하게 진행하여 이에 의해 균열이 생기는 현상. 고속도강을 소재로 하는 경우에 많이 발생하며, 국부적 부식보다 응력 집중을 일으키고 분자 이간을 일으켜서 부식이 진행한다고 생각된다.
물체 표면이나 어떤 단면에 따른 응력의 변화 상태.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