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등에서 설계한 취수량 이상으로 물이 유입할 경우에 여분의 물을 방류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설비이다. 일반적으로 일류 둑이 이용되고 있으나 충분한 일류 넓이가 안될 때는 흡수관(siphon)형식을 취할 경우도 있다.
펌프에 의해 수저 토사를 물과 함께 빨아 올려 배사관을 거쳐서 매립지에 배출했을 때 토사는 일정 경사에서 침전해 간다. 이 때의 여수의 유출구.
맑은 날 잠깐 뿌리는 비
제방의 높이를 계획 고수위보다 여유를 두는 높이. 큰 하천에서는 1.5 ~ 2m, 중소 하천에서는 1.0m 정도이다.
터널의 콘크리트 복공에 있어 여유 파기 부분의 충진 때문에 설계 복공 두께에서 계산되는 설계량 이상으로 시공되는 복공.
(1) 공기(工期)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작업을 지연시켜 얻는 시간. 여유 시간에는 총여유 시간(TF)과 자유 여유 시간(FF)이 있다. 전자는 작업을 가장 빠른 개시 시각에 시작하여 가장 늦은 완료 시각에 완료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여유 시간이고, 후자는 작업을 가장 빠른 개시 시각에 시작하고 후속 작업도 가장 빠른 개시 시각에 시작해도 여전히 존재하는 여유 시간이다. (2) 부력보다 자체 중력이 큰 암거 또는 측벽이 완비되지 않고, 해상에 띄울
댐이나 호안 등의 높이 가운데 계획 높이 수면에서 둑꼭대기까지에 설치하는 여분의 높이를 말한다. 갑자기 큰 홍수나 압밀침하 등에 대비하여 여유를 생각한 부분 「하천관리 시설 등의 구조령」 및 「공작물 설치허가 기준안」에 정해져 있다.
정정(靜定) 구조의 뼈대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은 여분이 되는 부재.
평면 위치 또는 높이가 주어져 있는 기지의 점.
어떤 특정한 지역에 어떤 특정한 기간에 발생하는 지진의 무리 중 치대가 되는 것 다음에 발생하는 지진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최대가 되는 지진을 본진, 그 전에 발생하는 지진을 전진(前震)이라 한다. 여진은 본진보다 현저하게 작은 것이 보통이다. 또 단위 시간 내에 발생하는 여진의 수는 본진 후의 경과 시간에 대하여 쌍곡선적 관계로 감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