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탁액이라고도 한다. 액체 중에 액체입자가 콜로이드 입자 또는 이보다 조대한 입자로서 분산하여 유상을 이룬 것. 기름과 물을 섞어서 흔들면 일시적으로 에멀젼이 생기나, 곧 두 층으로 분리한다. 그러나, 이에 적당한 유화제를 가하고 흔들면 오랫동안 에멀젼으로서 보존된다.
어떤 기종의 프로그램을 다른 기종으로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로프를 꼬는 방식의 하나로, 나선의 경사가 영어의 S자의 중앙부와 일치하는 것. 로프를 꼬는 방식에는 꼬는 방향에 따라 두 가지가 있으며, 이전에는 이것을 우 스트랜드, 좌 스트랜드라 불렀으나 단순히 좌우라고만 하면 틀리기 쉽기 때문에 각각 나선의 경사를 영어 S, Z 의 중앙부에 대응시켜 이제까지의 우 스트랜드를 S스트랜드, 좌 스트랜드를 Z스트랜드라 부르기로 하고 있다. 와이어 로프에서는 S는 특별 용도의 경우에만 사용된다.
수로의 단면, 물매가 일정하지 않을 때에 이용하는 부등류(不等流)계산법의 일종. - varied flow calculation
설계 과정에서 도면, 모형, 스케치 등에 의하여 구상을 짜고, 설계 내용을 추찰하는 것 또는 그 성과의 총칭.
본래는 성채와 시가지간의 평탄한 빈터를 뜻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산책길이 되는 평탄한 장소를 말한다.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못을 박는 기계.
공기 케이슨 공법 등의 압기 공법으로 공사할 때 실내기압을 조정하는 기밀실. 충분한 크기의 강철제 통으로 가압 조정을 위해 상하 2개의 문을 가지고 있다.
수중에 세운 관의 바닥에 압축 공기를 불어 넣어, 관 속의 물과 기포의 혼합체를 형성하고, 관 밖의 물과의 비중차에 의해 양수하는 공법. 토목 분야에서는 리버스공법에 의한 대구경 기초 굴착 등에서 발생한 돌조각이나 토사의 배출에 이용되고 있다. 양수를 위해서는 적당량의 압축 공기와 어느 정도의 침수 깊이가 필요하며, h/H가 0.5 정도 이상이어야만 한다. 송기관의 부착 위치에 따라 중앙 송기관 방식, 2중관 방식, 병렬 송기관 방식으로 나누어지며,
심정용(深井用)의 기포 펌프를 말한다. 수중에 넣어진 양수관 하단에서 압축 공기를 보내고, 양수관 속에 기포를 발생시켜 관외수(管外水)와의 비중의 차에 의해서 양수시키는 기구를 갖는다.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없어 편리하지만 효율이 나쁘다는 결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