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간(樹幹)의 횡단면은 가장 외부에 수피(樹皮)와 내접하여 형성층이 있고, 안쪽에 목질부가 있다. 목질부의 중앙 부분은 비교적 어두운 색을 띠고 있으며, 외측과 가까운 부분은 밝은 색을 띠고 있는데 색이 밝은 부분을 변재라 한다. 이 부분은 건조에 따른 수축이나 굽힘. 휨이 현저하며 내구성도 작다.
목재의 결점 중 하나. 건조에 의한 표면 균열. 건열(乾裂)이라고도 한다.
송전선에 의해 송전된 전기의 전압. 전류의 변성(變成)이나 집중. 배분을 하는 것 외에 전기의 질을 높이거나 전력 계통 설비의 보전을 꾀하기 위해 전압 조정. 전력 조류(潮流) 제어 및 송. 배전선의 보호를 한다. 일반적으로는 지상에 설치되지만 도시에 있어서는 지하에 설치되는 예도 많다. transformer station
용접이나 가스 절단시의 열에 의해 금속의 조직이나 성질에 변화를 받은 모재의 부분.
동물이 알에서 성체가 되어 나가는 과정에 몸의 형태가 현저하게 바뀌어 나가는 것을 변태라 한다. 양서류·갑각류·연체동물·극피동물·환형동물 등에서 주로 나타나며, 곤충은 알에서 애벌레·번데기·성충 등의 순으로 변태한다.
하중 또는 온도 변화에 의해 골조나 부재의 모양이 변화하는 것. 또는 그 양.
힘이나 온도. 건조 등에 의해 물체의 모양이 변화하는 것. 길이. 각도. 체적의 변화에 대응하여 세로 변형. 전단 변형. 체적 변형 등이라 한다. 변형이 전혀 생기지 않는 물체를 강체(剛體), 힘을 제거했을 때 원상으로 되돌아가는 변형을 일으키는 것이 탄성체이며, 그 변형을 탄성 변형이라 한다. 회복하지 않고 남는 변형의 성분이 있을 때 소성 변형이라 한다.
연강과 같은 연성 재료에서는 항복점을 넘은 변형 후에 하중을 제거하면 재하중(再荷重)에 있어서는 영 계수가 처음의 재하시와 변화가 없으나 항복점이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항복점을 넘는 변형이 주어졌을 때 저항이 증대하는 현상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