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천이 방사상으로 집중하는 형의 하천의 유역. 유량은 급격히 불어나기 쉬우나 출수 기간은 짧다.
미리 굴진한 도갱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삭공(削孔)하여 폭파를 하는 공법. 1회로 전량을 굴찰할 수 있다. 파쇄 정도가 높고 암괴가 작아지나 불경제적이다.
방사선(a선, b선, r선, X선 및 중성자선)을 인체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콘크리트. 일반적으로는 보통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지만, 특히 두께를 얇게 하고 싶은 경우는 중량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 heavy weight concrete
식품을 일정기간동안 이온화에너지(방사선에너지)에 노출시켜 필요한 효과를 가져오는 처리방법을 식품조사(food irradiation)라 하고 이렇게 처리된 식품을 방사선조사식품(Irradiated Food)이라 한다.
원료농산물이나 가열살균이 부적당한 가공식품에 대한 저장기술의 하나이며, WHO는「식품의 손상 및 식품으로 인한 질병을 감소시켜주는 강력한 도
구」라 했으며,
1980년 WHO/FAO/IAEA 방사선조사식품 안전성전문위원회는 γ선, 전자선, X선을 이용하여 10KGy까지 조사한 식품은 인체에 안전하다」라고 발표했다.
우리나라에서는 Co-60의 γ선만 사용이 허용되었으며 18가지 품목이 허용되어 있다.
효과
1. 야채의 발아를 억제
2. 과일이 익는 것을 늦춤
3. 과일, 곡류, 향신료등의 해충 사멸
4. Organism에 의해 손실되는 식품의 부피감소를 줄임
5. 육류나 생선의 위해세균 감소
6. 식품자체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연속 살균이 가능
7. 포장식품도 처리가능
단점
1. 색의 퇴색이나 변색
2. 향기손실, 방사선 조사취 발생
3. 맛의 변질
4. 영양소의 파괴
5. 조직의 열화 및 파괴
6. 방사선 조사대상의 제한
7. 부작용 상쇄를 위한 첨가물의 사용
8. 건강상 부작용 발생우려
방사능을 가지는 동위원소를 말한다. 방사성동위원소는 40K, 87Rb 등과 같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 외에 원자로나 입자가속장치를 사용한 원자핵의 반응에 의해 인공적으로도 만들어진다.
방사능을 가지는 원소의 총칭으로서, 원자핵으로부터 방사선을 방출하고 붕괴하는 원소이다.
흑체라 불리는 전자파의 방사가 가장 큰 이상 물체를 기준으로 하여 어느 물체에서 방사되는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낸다. 흑체의 방사율을 1로 정의하므로 기타 물체의 방사율은 0 ~ 1 까지의 값을 나타낸다. 흙이나 암석등은 20도에서 0.90 ~ 0.95 정도의 방사율을 갖는다. - transmissivity, reflectance
항만이나 항로에 표사가 침입하는 것을 막을 목적으로 설치된 둑을 말한다. 침식대책으로서의 突堤는 모래를 돌제간에 남기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 구조이다. 방사 둑은 직접 漂砂를 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돌제에 비해서 긴 연장이 필요하고 방파제를 가로질러 연장한다. 항만내부시설의 방사제는 대개 주방파제의 대안부근의 해안에서 생기는 국부적인 침식방지의 기능을 표방하고 있다.
해안선으로부터 먼 바다쪽으로 돌출하여 해안선의 흐름을 약화시켜 표사를 저지함으로써 해안의 침식이나 항만이 표사에 의해 얕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구조물.
도시에서의 주요 도로를 방사형으로 배치하는 방식. 대부분의 경우 환상 도로망과 조합시킨 방사 환상형 도로망(radial and ring street system)으로 하는 것이 많다. 또 격자형 도로망과 병용한 방사 종횡형 도로망도 있다. radial roa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