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광층 밑의 층으로서, 빛은 존재하나 광량이 부족하여 광합성이 불가능한 수층을 말하며, 약광층이라고도 한다. 맑은 외양에서 박광층은 수심 2백~1천m 수층에 해당하며, 주야수직이동을 하는 동물플랑크톤이나 어류는 낮에는 박광층에 모여 있다.
말뚝을 박는 관입량은 말뚝의 종류, 길이, 모양, 지반 등의 조건으로 달라진다. 가늠으로는 한번 두드려 박는데 2∼10mm 정도이다. 2mm이하로 계속 박는 것은 말뚝이나 망치 모두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박는 방법에는 타격방법, 진동공법, 압입공법 등이 있으나 주로 타격방법과 진동공법이 쓰이고 있다. 타격방법에는 1) 드롭 해머식 2) 스티임 해머식 3) 에어 해머식 4) 디이젤 해머식과 진동식에는 바이브로 해머식이 있다. 드롭 해머는 1∼2t의 주철제의 추를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켜 타격력을 주는 것으로서 규모가 적은 공사나, 짧은 말뚝에 사용된다. 설비가 간단하고 설비의 무게가 가벼운 등의 특징이 있다.
역청(嵘靑) 혼합물 중의 바인더가 물에 의해 골재 표면에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역청 재료에 첨가하는 것. 주로 4급 아민을 이용한다.
아스팔트의 골재면에 부착 특히, 골재면이 젖어 있을 때의 부착을 좋게함과 동시에 한번 부착한 아스팔트가 외력이나 비 등의 작용에 의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계면 활성제. 컷백 아스팔트에는 미리 이것을 첨가. 혼합해 놓은 것도 많다. - cutback asphalt
골재에는 아스팔트보다 물과의 친화성이 큰 것이 많다. 이와 같은 골재의 표면에 부착한 아스팔트막은 물이 작용하면 벗겨지기 쉽다. 이 경향을 알아보는 것이 박리 시험이다. 시험 방법으로는 아스팔트로 피복한 고른 입자의 굵은 골재를 수침(水浸)시켜 그 변화를 조사하는 방법과 마샬 시험으로서 수침한 공시체(供試體)와 하지 않은 것의 안정도 비로서 표시하는 수침 마샬 시험 등이 있다. - Marshall test
거푸집 박리제 (-剝離劑) 콘크리트 거푸집의 탈형을 쉽게 하기 위해 미리 내면에 칠하는 약제. 주로 광물유. 식물유. 송진. 합성 수지가 쓰인다.
넓적하고 얇은 돌.
교량의 메인 거더. 트러스. 라멘. 아치. 기둥 등의 부재 단면이 상자형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 비틀림. 좌굴에 대해 유리한 점이 많다.
중공(中空)의 폐단면으로 구성된 거더. I형 단면의 거더에 비해 강성(剛性)이 더 크고 곡선교(曲線橋)의 주 거더로 유리하다. 거더의 높이는 낮게 설계할 수 있어 지간이 긴 거더 아래 다리나 공간이 큰 경우 등에 채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