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242/1604)

경사면에 어떤 간격을 두고 여러단 울타리를 만들어, 눈사태가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 통나무, 낡은 침목 또는 레일 등을 조립하고 이것에 횡목을 여러 열 붙인다.
옹벽의 상부를 선로 위로 뻗게 하여 눈사태가 선로를 넘어 날라서, 나가 떨어지게 하는 것.
적설 중량이 구조물에 외력으로서 작용하는 하중. 법규적으로는 다설 구역에서는 장기, 일반 구역에서는 단기의 하중이 된다. 지구마다 지상의 수직 최대 적설 깊이와 눈의 비중에서 표준값이 정해지며, 지붕 물매. 바람. 일사 등의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 하중이 정해지고 있다.
신도시라고도 한다. <계획적으로 건설된 새로운 도시>라고 하는 의미이지만 엄밀하게 그리고 도시 기능적으로 보면 실체적으로는 두 가지 타입이 존재한다. 그 하나는 본래의 뉴 타운으로서 각종 도시 기능을 종합적으로 가진 자립성이 높은 도시이다. 다시 말해, 주택과 직장 또는 저밀도의 쾌적한 주택지와 고밀도의 도시 중심부(상업과 비즈니스의 장소)를 가지며, 그 밖의 각종 도시 기능을 갖춘 <신도시>이다. 그 두 번째는 새로 건설된
뇌의 신경 회로망을 모델로 한 컴퓨터.
케이슨 공법의 일종. 지반을 깊이 굴착하는 경우에 장애가 되는 지하수의 분출을 각 심도의 수압에 상당하는 공기 압력으로 억제하여 케이슨을 침하시키는 공법. 그림과 같이 케이슨의 하부에 작업실을 두고, 이 속에 압축 공기를 보내고, 토사의 반출 및 작업원의 출입은 에어 로크라는 상부가 2중인 방으로 된 강철제의 샤프트를 통해서 행하여지는 것. 침하가 잘 안 될 때는 케이슨 속에 하중용의 물을 넣기도 한다.
케이슨 선단부의 작업실에 압축 공기를 보내고, 고압의 상태에서 작업실 내의 물을 배제하여 저면하의 토사를 굴착,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슨 공법으로 구축한 기초 구조.
이동 대차 위에 콘크리트 펌프를 설치하여 공사의 콘크리트 라이닝을 하는 기계.
지상에서 철근 콘크리트제의 작업실을 구축하여 여기에 굴착지반의 수압에 대응하는 압축공기를 보내 인력 또는 기계의 병용으로 굴착해서 차차 침하시키는 것이다. 바라는 깊이 까지 침하하면 작업실이나 그밖의 것을 콘크리트 또는 모래로 채워서 기초로 한다.
국제 단위계(SI)에서의 힘의 단위. 기호는 N. 1N 0.101972kgf.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