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토공량을 구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가늘고 긴 체적을 구하는 경우와 넓은 지역에 걸친 체적을 구하는 경우로 대별된다. 전자에는 각주(角柱)공식, 각뿔대 공식, 양단 평균법, 중앙 단면법 등이 있으며, 후자에는 직4각형 주체법(直四角形主體法), 3각 주체법(三角主體法), 등고선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탄성체의 미소 6면체 요소의 체적 변화량을 원래의 체적으로 나눈 값. 미소 요소의 체적 변화율을 나타낸다. strain of volume
흙의 침하량을 계산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계수. 체적 변화율 mv'(cm2/kg)는 1m 두께의 층이 전층에 걸쳐서 1kg/cm2의 압력을 평균으로 받을 때의 최종 압축량을 나타낸다.
곡률이나 시멘트, 자갈, 광석 등 각종 분체, 입체를 자연 상태에서 저장했을 때의 비중.
단위 두께에 토층의 단위 응력 증가에 의한 압축성을 나타내는 계수. 흙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면 체적이 수축하는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mv : 체적 압축 계수, V : 흙 시료의 체적(cm3), ΔV : 흙 시료의 체적 변화 (cm3), Δp : 압밀 하중의 변화 (kgf /cm3), av : 압축 계수, e1
유체의 단위 질량당의 체적의 시간적 변화(dv/dt)에 비례하여 체적 변화를 방해하는 압력(Δp -u(dv/dt))이 발생하는 것.
bulk modulus
수중에 두어진 물체와 같이 주위에서 고른 압력을 받아서 그 체적이 V에서 ΔV만큼 감소했을 때 단위 면적당의 압력과 체적 감소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례 상수를 말한다. 기호 K.
등방형 탄성체에 고르게 압력 p를 가하면 그 물체는 단위 체적마다 p/k의 비율로 압축된다. 이 때의 k를 체적 탄성률 또는 체적 탄성 계수라 한다. buck modulus, volume modul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