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콘크리트에 대한 강성포장에 대한 것인데 아스팔트 포장에서는 하중에 의한 다소의 처짐을 포장이나 노반에 흡수시킴으로서 굽힘에는 저항않고 전단력으로 저항하는데 따른 복원성이 있는 포장이다.
부재가 외력의 작용으로 만곡했을 때 어느 점의 접선이 변형 전의 재축선(材軸線)에 평형인 선과 이루는 각 θ.
부재가 휨을 받아서 변형한 곡선상의 어떤 점에서 변형 곡선에 그은 접선과 변형전의 재축이 이루는 각. 특히 절점에서 널리 쓰이며 절점각, 절점 회전각 등이라고도 한다. 변형 후의 재축과 변형 곡선의 접선과의 이루는 각을 상대 처짐각이라 하고, 이것과 구별하기 위해 전자를 절대 처짐각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처짐각법에서 쓰이는 미지량의 하나.
측선(測線)과 하나앞의 측선의 연장과의 이루는 각을 편각이라 하고, 트래버스 측량의 각측정(角測定)에서 기준이 되는 최초 측선의 방위각과 각 측점에서의 편각을 측정해 가는 방법을 말한다.
부재 끝의 회전각을 미지량으로 하는 라멘의 해법이며, 변형법에 속한다.
강철 줄자 등으로 거리를 측정할 때 줄자는 자체 무게에 의해 처짐으로써 정확한 판독이 불가능하다. 이 처짐에 대한 보정을 말한다. 보정량 Cs는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Cs -(1/24)L(wℓ/P)2 -(1/24)n(w2ℓ3/P2) 여기서, L : 1구간의 측정 길이(nℓ), ℓ : 지지 말뚝의 간격, n : 1구간의 지지
도면상의 길이와 실제 길이와의 비. 척도에는 축척과 배척, 현척이 있다. 토목 제도에 이용되는 척도는 축척이며 그 종류는 토목 제도 통칙에 정해져 있다.
(1) 물체나 공간의 크기를 잰다든지 평가할 때의 길이의 단위. (2) 감각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 감각 척도라 한다. (3) 실물 크기에 대한 그림에 그려진 크기의 비율.
charactericstic value for correction
폭약을 장치하기 위한 구멍을 드리프터(drifter), 신커, 재크 해머(jack hammer), 스터퍼(stopper)를 이용해서 구멍을 뚫는다. 심빼기 구멍과 불공(side hole)으로 나누어 깊이와 구멍 수는 도갱의 크기와 암질 등에 따라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