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개요
세부사업명 | 청년 로컬크리에이터 레벨업 | ||
---|---|---|---|
회계연도 | 2025년도 | 회계명 | 일반회계 |
부서명 | 청년정책과 | 분야명 | 일반공공행정 |
정책사업 | 청년 일자리 창출 지원 | 단위사업 | 청년 취업 지원 |
사업목적 | 인구감소․관심 지역을 중심으로 청년 로컬크리에이터를 지원하여 지역 정주여건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 | 사업기간 | 2025-01-01 ~ 2029-12-31 |
총사업비 | 4,250,000,000원 | 사업규모 | 로컬크리에이터 분야 만 39세이하 청년 창업기업 12개사 지원 |
사업내용 | ▹로컬브랜드 육성지원 : 상권 활성화 지원(협업형), 성장사다리 기반 마련(개인형) ▹로컬콘텐츠 홍보 강화 : 로컬 플리마켓 개최, 지역 축제 연계 입점 지원, 로컬 콘텐츠 제작 등 ▹ 지속가능한 로컬문화 정착 : 로컬크리에이터 협의체 운영, 로컬크리에이터 간 네트워킹, 역내외 로컬 워크숍, 로컬크리에이더 축제 개최 등 | ||
지원형태 | 기타 | 지원조건 | 로컬크리에이터 분야 만 39세이하 청년 창업기업 12개사 지원 |
사업위치 | 부산광역시 | 시행주체 | 부산광역시((재)부산경제진흥원) |
추진근거 | 「부산광역시 청년일자리 창출지원 조례」 제4조 | ||
추진경위 | ㅇ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2.3월 기준 전국 228개 시군구의 절반인 113곳(49.6%)이 인구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 - 인구소멸에 대응하고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로컬 콘텐츠 확산 및 이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로컬 생태계 조성이 중요 - 창조적 로컬크리에이터의 비즈니스 활동을 통해 도시관광‧도시재생 콘텐츠를 발굴‧확충하고 지역경제의 지속가능성 확보 | ||
추진계획 | ㅇ 주요 추진사항 - ’23. 4. : ’24년 지방소멸대응기금 부산시 투자사업 선정(市 인구정책위원회 심의) - ’24. 7. : '25년 기금사업 투자계획서 제출 ▹ 행안부 ㅇ 향후 추진계획 - ’24. 1. : 신규사업 추진계획 수립 및 사업비 교부 |
소요재원
(단위 : 원)
재원별 | 예산액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 |
---|---|---|---|
계 | 0 | 0 | 0 |
국고보조금 | 0 | 0 | 0 |
지특보조금 | 0 | 0 | 0 |
기금보조금 | 0 | 0 | 0 |
특별교부세 | 0 | 0 | 0 |
소방안전교부세 | 0 | 0 | 0 |
시·도 비 | 0 | 0 | 0 |
특별교부금 | 0 | 0 | 0 |
시·군·구 비 | 0 | 0 | 0 |
지방채 | 0 | 0 | 0 |
월별지출계획(배정)
(단위 : 원)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
650,000,000 | 0 | 0 | 0 | 0 | 0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0 | 0 | 0 | 0 | 0 | 0 |
과거집행현황(최근5년)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0 | 0 | 0 | 0 | 650,00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