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세부사업별 지출내역

사업개요

사업개요 세부사업명, 회계연도, 회계명, 부서명, 분야명, 정책사업, 단위사업, 사업목적, 사업기간, 총사업비, 사업규모, 사업내용 , 지원형태, 지원조건, 사업위치, 시행주체, 추진근거, 추진경위, 추진계획으로 구성된 표
세부사업명 부산 미래산업 전환펀드 조성
회계연도 2025년도 회계명 일반회계
부서명 금융블록체인담당관 분야명 산업ㆍ중소기업및에너지
정책사업 금융중심지 육성 단위사업 금융중심지 조성
사업목적 산업은행과 지역 협력으로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등 새로운 경제질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 사업재편이 필요한 기업을 발굴‧지원하는 펀드에 투자하는 母펀드 조성 사업기간 2025-01-01 ~ 2026-12-31
총사업비 20,000,000,000원 사업규모 모펀드 규모 : 2,000억원(출자자 : 시, 산업은행, 캠코, 시중은행, PE 등) *LP협의 과정에서 조정될 수 있음
사업내용 - 디지털‧녹색 전환을 목적으로 부산 소재 중소‧중견기업에 투자하는 PE형 子펀드에 출자하는 母펀드(일반사모펀드) 조성 ⇒ 母펀드는 子펀드에 공모방식으로 출자하고, 자펀드 운용사(수도권 PE)는 민간자금 매칭하여 자펀드 결성
지원형태 출연(출자) 지원조건 - 산업전환 관련 지역 소재 중소중견기업
사업위치 시 전역 시행주체 부산시(TP)
추진근거 부산광역시 금융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제3조(시의 책무), 제16조(재정지원)
추진경위 ○ ’24.04.25. : 한국자산관리공사 기업지원펀드 관계자 회의 ○ ’24.06.19. : 산업은행 동남권투자금융센터 센터장 등 관계자 회의 ○ ’24.06.26. : 산업은행 이전지원단 팀장 등 관계자 회의 ○ ’24.07.15. : 시․산업은행․PE 간담회 개최 ○ ’24.08.13. : 산업은행 협의, 모펀드 조성 운용사 모색 후 펀드 구체화 및 LP 확보 추진
추진계획 ○ ’24.08. : 산업은행 협의, 펀드 조성 및 운용안 마련 ○ ’24.09.~11. : 모펀드 주요 출자자(LP) 모집 ○ ’24.11.~12. : 모펀드 조성 주요 출자자(LP) 업무협약 체결, 모펀드 운용사 결정 ○ ’25.상. : 시 출자금 편성 사전절차 이행 및 추경반영 ○ ’25.하. : 모펀드 결성 및 자펀드 공고

소요재원

(단위 : 원)

소요재원 재원별, 예산액, 에산성립후 증감액, 예산현액, 계, 국고보조금, 지특보조금, 기금보조금 , 특별교부세, 소방안전교부세, 시·도 비, 특별교부금, 시·군·구 비, 지방채로 구성된 표
재원별 예산액 예산성립후 증감액 예산현액
2,050,000,000 0 2,050,000,000
국고보조금 0 0 0
지특보조금 0 0 0
기금보조금 0 0 0
특별교부세 0 0 0
소방안전교부세 0 0 0
시·도 비 2,050,000,000 0 2,050,000,000
특별교부금 0 0 0
시·군·구 비 0 0 0
지방채 0 0 0

월별지출계획(배정)

(단위 : 원)

월별지출계획(배정) 1월~12월까지 구성된 표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0 0 0 0 0 2,050,000,000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0 0 0 0 0 0

과거집행현황(최근5년)

과거집행현황(최근5년) 2020년~2024년까지 구성된 표
2020 2021 2022 2023 2024
0 0 0 0 0

자료관리 담당부서

회계재산담당관
051-888-2246
최근 업데이트
2023-08-10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