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개요
세부사업명 | 차세대 고효율 전력반도체 실증 인프라 구축(국가직접지원) | ||
---|---|---|---|
회계연도 | 2025년도 | 회계명 | 일반회계 |
부서명 | 반도체신소재과 | 분야명 | 산업ㆍ중소기업및에너지 |
정책사업 | 전력반도체 산업 육성 | 단위사업 | 전력반도체 산업클러스터 조성 |
사업목적 | 화합물반도체 기반 차세대 고효율 전력반도체 산업의 전주기적 기술 및 기업지원이 가능한 실증 인프라 구축 | 사업기간 | 2025-01-01 ~ 2027-12-31 |
총사업비 | 1,320,000,000원 | 사업규모 | 사업비 총 282억원(국비 100, 부산 20, 경남 54, 김해 108(건축 91, 부지 17)) *부산 20억 국비 20억 투입인원 총 54명(연구인력) |
사업내용 | (기반구축) 차세대 고효율 전력반도체 산업의 전주기 검증/평가/인증/기술지원이 가능한 전력반도체 실증센터 건축 및 제작, 시험, 인증, 분석, 실증 장비구축 (기술지원) - 차세대 전력반도체 통합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및 기존 연구인프라와 연계한 연구 협력체계 구축 - 지속적인 협력 R&D 발굴 및 수행을 통하여 지역 전력반도체 응용 부품기업의 e-모빌리티 생태계 전황을 유도 - 전문인력 장비운영 및 성능검증, 시험분석 지원을 통한 결과 활용 수혜기업 신제품 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 -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및 지역 인프라 연계를 통한 애로기술 컨설팅 및 기술 교육 지원 | ||
지원형태 | 기타 | 지원조건 | 국비35.46% / 부산7.1% / 경남 19.14% / 김해 38.3% |
사업위치 | 시행주체 | 한국전기연구원 | |
추진근거 |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19조(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 국정과제(24) 반도체, A.I, 배터리 등 미래전략산업 초격차 확보(산업부) 국정과제(75) 초격차 전략기술 육성으로 과학기술 G5 도약(과기부) | ||
추진경위 | 23.3.22.: 2023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시행계획 공고(산업부) 23.4.20.: 시비 지원(20억원) 확약서 교부(시>부산TP) 23.6.8.: 산정평가 결과통보(KIAT>한국전기연구원)*(결과)지원제외 23.6.27.:2023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시행계획 재공고(산업부) 23.7.11.: 시비 지원(20억원) 확약서 교부(시>부산TP) 23.7월중: 23년 제3차 지방재정영향평가 대상사업 제출 및 심사 | ||
추진계획 | 화합물 전력반도체 고도화 기술개발사업 예타 통과(23.7., 산업부) '23년 부산지역산업진흥계획' 미래 신산업 '전력반도체' 지정 |
소요재원
(단위 : 원)
재원별 | 예산액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 |
---|---|---|---|
계 | 467,200,000 | 0 | 467,200,000 |
국고보조금 | 0 | 0 | 0 |
지특보조금 | 0 | 0 | 0 |
기금보조금 | 0 | 0 | 0 |
특별교부세 | 0 | 0 | 0 |
소방안전교부세 | 0 | 0 | 0 |
시·도 비 | 467,200,000 | 0 | 467,200,000 |
특별교부금 | 0 | 0 | 0 |
시·군·구 비 | 0 | 0 | 0 |
지방채 | 0 | 0 | 0 |
월별지출계획(배정)
(단위 : 원)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
467,200,000 | 0 | 0 | 0 | 0 | 0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0 | 0 | 0 | 0 | 0 | 0 |
과거집행현황(최근5년)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0 | 0 | 0 | 0 | 642,80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