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인구정책 브리핑


(2025년 9월) 부산광역시 인구정책브리핑

부서명
부산광역시 기획조정실 기획관 인구정책담당관
전화번호
051-888-1111
작성자
배가람
작성일
2025-09-30
조회수
161
첨부파일
내용

□ 2025년 9월 부산 인구정책 브리핑
 ○ 인구 : 3,249,975명(1,650명 감소)
 ○ 학령인구 : 406,578명(12.5%)
 ○ 청년인구 : 784,788명(24.2%)
 ○ 고령인구 : 806,512명(24.8%)
 ○ 전입‧전출(순이동) : -385명
  * 출처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5.8월), 국내인구이동통계(‘25. 7월)초고령사회 부산의 에이지테크 전략Ⅰ. 고령친화산업의 이해
□ 유사개념 비교
ㅇ 실버경제: 고령층의 직접적인 경제활동(소비, 공공지출 등) 및 그로부터 파생되는 간접적인 경제활동을 포괄하는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을 보여주는 개념
ㅇ 에이지테크: 고령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고안된 제품과 서비스에 AI 센서 등 IT기반 기술이 접목된 돌봄 기술 및 고령자들을 위한 모든 기술(웨어러블 장치, 스마트 홈 기술 등 포함)
  ※ 3대 핵심분야: ①고령자 자립생활기술(AIP Tech) ②고령자 돌봄기술(Care Tech) ③고령자 기술수용 서비스
ㅇ 고령친화산업: 노인을 주요 수요자로 하는 고령친화제품 등을 연구, 개발, 제조, 건축, 제공, 유통 또는 판매하는 산업
ㅇ 항노화산업: 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한 의료, 비의료 기술과 제품 등을 개발, 제공하는 융복합 산업
□ 부산시 고령친화산업 현황
 ㅇ 고령친화산업 시장규모 추정
   - (국외) ‘20년 약 45조 달러 추정 → ’50년 118조 달러 전망
   - (국내) ‘24년 약 83조원 추정 → ’30년 126조~271조원 전망
   - (부산) ‘23년 최소 2,936억원 ~ 최대 9,687억원 추정
※ 고령친화우수제품: 고령자의 조작 및 인지가 쉽고 사용이 편리하며 
                    노인에 대한 정신적‧신체적 특성을 배려하는 등 
                    지정기준에 의해 제품 선정

ㅇ 고령친화용품 제조업(’23) 전국3위(전국 965개사, 부산 약 85개사, 수도권 제외 1위 8.8%)
ㅇ 고령친화우수제품(‘24) 전국4위(전국 106개 업체, 447개 제품, 부산 6개 업체 18개 제품, 수도권 제외 2위, 4%)Ⅱ. 고령친화사업 추진 방향
□ 핵심사항 : 초고령사회 대비 에이지테크(Age-Tech) 기반 고령친화산업 육성

  ㅇ 집적화 : 기능‧장비‧인력 집적해 에이지테크 생태계 조성
     - 클러스터 및 실증사업 거점 조성
     - 지원센터 간 협업체계 강화 및 대외협력 사업 확대
  
  ㅇ 연결화 : 기업지원사업 간 연결체계 강화 및 사업운영 범위 확대
     - 부산시 우수정책과 연계하여 지원사업 보완 및 부산시 내 거버넌스 확대
     - 부‧울‧경 협력사업 추진하여 고령친화산업 분야 실질적인 동남권 동반 성장 기회 마련

  ㅇ 보편화 : 액티브시니어층부터 초고령층까지 다양한 시민체감 서비스 제공
     - 기존서비스 지속 및 스마트화로 확대된 건강서비스 제공
 
  ㅇ 다양화 : 복지용구‧의료기기‧헬스케어 제품부터 푸드테크, 주거개선사업까지 분야 확대
     - 푸드테크, 주거개선 사업 등 고령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분야로 확대

  ㅇ 선도화 : 초기 에이지테크 분야 선도할 다양한 시도로 국내 및 글로벌 시장 선도기업 육성
     - 선도 사업 개발 및 스타트업 육성 정책 추진으로 국내 시장 선점 및 글로벌 진출 확대Ⅲ. 비전 및 추진전략
□ 비전 : 고령화 사회를 신성장 동력으로, 에이지테크 시티 부산
□ 목표 : 1.[신산업 부상 에이지테크 육성] 지역 기업에 사업 재편 기회 제공 및 스타트업 육성
2. [에이지테크 발달 및 실버경제 활성화] 청년층 대상 고품질 일자리 창출
3. [준고령자‧고령자 대상]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기회 제공
□ 추진전략 : 4대 전략 12개 중점분야 34개 세부과제
ㅇ 인프라확충 
  - 중점분야: 생산시설, 기업지원센터, 특화지구
ㅇ 지원체계 강화 
  - 중점분야: 스타트업 육성, 전주기 지원, 연구, 인력양성, 거버넌스‧행사
ㅇ 시민체감 서비스 확대
  - 중점분야: 건강서비스, 플랫폼서비스
ㅇ 연계사업 발굴
  - 푸드테크, 주거개선Ⅳ. 전략별 세부과제
1. 인프라 확충
□ 생산시설
ㅇ 첨단재생의료 임상 실증지원 플랫폼 구축
신규

  - 동남권 유일 세포 유전자 치료제 첨단재생의료기술* 특화시설 구축
  * 줄기세포 치료, 유전자 치료, 조직 공학

□ 기업지원센터
ㅇ 의료산업기술지원센터**
  - 고령친화산업 기업 맞춤형 전주기 지원 및 육성, 대외협력 등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지정 권역별 고령친화산업혁신센터
ㅇ 헬스케어‧빅데이터센터
신규

  - 스마트 헬스케어 기업 맞춤형 전주기 지원 및 육성 등
ㅇ 체외진단 의료기기*** 산업 원스톱 실증지원센터
구상

  - 유전체 실증분석실 구축‧운영
  *** 조직, 혈액, 침, 소변 세포 세척액 등 인체 유래 물질 이용, 몸밖에서 신속하게 질병을 진단, 예측, 모니터링하는 기술 


□ 특화지구
ㅇ EDC 스마트 헬스케어 클러스터 조성
  - 에코델타시티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및 인프라 구축
ㅇ AX 기반 에이지테크 실증거점 조성사업
구상

  - AX기반 에이지테크 신제품‧서비스 실증 및 사업화 지원2. 지원체계 강화
□ 스타트업 육성
ㅇ 고령친화산업 스타트업 육성
구상

  - 고령친화산업 분야 창업‧사업재편 등 희망기업 대상 R&D(기술‧디자인 개발) 지원으로 스타트업 육성 및 에이지테크 전환 지원
ㅇ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지원사업
구상

  - 바이오헬스 분야 창업 7년 이내 기업 기술사업화 지원

□ 전주기 지원
 ㅇ 고령친화산업 육성 지원사업
확대

   - 의료산업기술지원센터 인프라 기반 부산시 고령친화산업체 기술 지원, 전주기 사업화 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
 ㅇ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지원
   - 전등급 의료기기 규제업무 대응 지원
 ㅇ 항노화바이오산업 육성 지원사업
   - 부산지역 항노화바이오 기업 사업화 및 R&D 과제 지원
 ㅇ 지능형 헬스케어 제품 기반 실증 사업화 지원   - 데이터기반의 실증지원 플랫폼 구축 및 지능형 헬스케어 산업 육성
 ㅇ 메디컬 ICT융합센터 지원사업
   - 산‧학‧연‧병 협업 통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전주기 지원 및 의료수학 생태계 조성□ 연구
 ㅇ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선도연구센터 지원
   - 컬러변조 레이저 광원 연구 및 시각 정보화 기술 개발
 ㅇ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지원사업
   - 손상극복 치료 플랫폼 및 정밀의료 신속 의료시스템 구축
 ㅇ 암세포 다양성 분자제어 연구센터 지원사업
   - 암세포 다양성 분자제어를 위한 핵심 발생기전별 연구
 ㅇ 혁신형 미래의료연구센터 육성사업
   - 의사과학자 육성, 혁신형 미래의료 R&BD 실용화 및 의료난제 해결
 ㅇ 시장창출형 지능형 로봇활용 및 확산사업
   - 서비스로봇 활용 확산을 통한 소상공인 노동시장 변화 대응 및 부산 로봇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업지원 등

□ 인력양성
 ㅇ 규제과학* 인력양성
신규

   - 의약품, 의료기기 분야 규제업무 대응 인력양성
   * 식품‧의약품‧의료기기 등의 안전성, 유효성, 품질, 성능 등의 평가부터 인가‧허가 및 사용에 이르기까지 안전관리 전반에 대한 기술‧기준 및 접근방법에 대한 과학 
 ㅇ 푸드테크 인력양성
신규

   - 식품산업 디지털 전환에 따른 융합형 전문 인재양성 목적 산학연 협력 기반 융합형 교과과정 운영
 ㅇ 고령친화산업 인력양성
구상

   - 고령친화산업 기업 재직자 대상 최신 산업 표준 정보 공유 및 사업 전주기 역량강화를 위한 현장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3. 시민체감 서비스 확대 
□ 건강서비스
 ㅇ 현장 중심 고령친화용품 홍보체험관(나무그늘)
확대

   - 부산시 종합사회복지관 내 고령친화용품 홍보‧체험실 및 건강 프로그램 운영 등
 ㅇ 노인복지용구종합센터
   - 복지용구 대여‧소독‧점검‧수리 및 대여자 모니터링, 사례관리서비스 등 제공

□ 플랫폼 서비스
 ㅇ 디지털 복지관 플랫폼 구축
신규

   - 인지,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지원 등
     (AIoT 기반 고령친화형 디지털헬스케어 장비 및 플랫폼구축, 노인복지관 3개소 운영)
 ㅇ (가칭) 스마트 복지관 플랫폼 구축
신규

   - 고령층의 신체‧인지‧정신 및 사회적 관계 회복을 위한 통합적 건강관리 및 디지털명상실 운영, 플랫폼 구축 (10개소 예정)
 ㅇ 스마트 경로당 조성
신규

   - 정보취약계층인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예방 및 경로당 스마트화 추진 ☞ 비대면 화상시스템, IoT 화재예방 안전장치 설치 등 약 90개소 구축
 ㅇ 스마트 요양원 조성
신규

   - AI기반 스마트 요양서비스 지원 및 장기요양시스템 플랫폼 구축
 ㅇ 지역 중심 마이데이터 기술 생태계 실증사업
   - 건강정보 고속도로 기반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서비스 모델 개발 및 실증 통해 지역 보건의로체계 중심 의료마이데이터 활용 촉진4. 연계사업 발굴
□ 푸드테크
 ㅇ 고령친화 푸드테크 활성화
구상

   - 고령자 맞춤형 개인화식품 및 푸드코칭 등 필요성 증대에 따른 AI‧빅데이터 분석 기반 고령친화 푸드테크 사업 추진
□ 주거개선
 ㅇ 고령친화 주거개선 사업
구상

   - 내집에서 나이들기(Aging-in Place, AIP) 수요 반영 및 의료‧요양 통합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주거개선사업 발굴 ☞ AIP 관련 산업 활성화, 유니버셜 디자인 적용 집수리 지원 등부산을 사랑합니다

인구정책 아이디어 상시 접수!
부산광역시 인구정책담당관 인구정책팀 T.051-888-1111
E. bgl7130@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