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인구정책 브리핑


(2025년 8월) 부산광역시 인구정책브리핑

부서명
부산광역시 기획조정실 기획관 인구정책담당관
전화번호
051-888-1111
작성자
배가람
작성일
2025-08-29
조회수
26
첨부파일
내용

□ 2025년 8월 부산 인구정책 브리핑
 ○ 인구 : 3,251,625명(1,205명 감소)
 ○ 학령인구 : 407,480명(12.5%)
 ○ 청년인구 : 785,949명(24.2%)
 ○ 고령인구 : 803,008명(24.7%)
 ○ 전입‧전출(순이동) : -868명
  * 출처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5.7월), 국내인구이동통계(‘25. 6월)부산광역시 50+인구 일자리의 오늘과 내일
최근 10년(‘15년~’24년) 50세 이상 인구의 인구구조 및 경제활동 현황과 변화
● 출처 동남지방 통계청1. 인구구조 변화와 고령화 
*출처: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2022)
부산 인구 수
2000년 3,733천명 → 2025년 3,239천명 (-494천명) → 2050년 2,522천명(-716천명)
부산 50세 이상 인구 비중
2000년 21.5%(802천명) → 2025년 49%(1,587천명) → 2050년64%(1,621천명)
-50~64세 생산연령층은 감소(-262천명), 65세 이상 고령층은 증가(+296천명)로 추계
기대여명(단위: 년)
※ 기대여명: 해당시점에서 특정연령대의 주어진 연령별 사망률이 지속된다고 할 경우 생존할 평균기간(연)수
부산광역시 2025년 65세 기대여명: 21.4년 → 평균 86.4세 수준
-(기대여명 전망) 전국(22.0년)보다 낮음(-0.6년)
부산광역시 2050년 65세 기대여명: 24.1년 → 평균 89.1세
-(기대여명 전망) 전국(24.8) 평균보다 낮음(-0.7년)노년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노인 1명당 생산가능인구
2000~2025년 → 2025~2050년 지표별 증감폭 확대
고령화 진행속도 전국 평균보다 빠르게 진행될 전망

-2025~2050년간「노년부양비」50.5명 증가
-「노령화지수」317.5p 증가
-「노인 1명당 생산가능인구」1.6명 감소 전망

※노년부양비: 생산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노년인구 수, (65세 이상 인구÷15~64세인구)×100
※노령화지수: 유소년인구 100명당 노년인구 수, (65세 이상 인구 ÷ 0~14세 인구)×100
※노인 1인당 생산가능인구: 15~64세 인구 ÷ 65세 이상 인구2. 경제활동 현황
50세 이상 취업자 현황
2015년 대비 2024년 50세 이상 인구 수(+238천명), 취업자 수(+117천명) 각각 증가
-(인구) 50대 연령층 감소 (-81천명), 60대 이상 증가(+320천명)
-(취업자) 50대 연령층 감소 (-42천명), 60대 이상 증가(+160천명)

50세 이상 고용률 현황
2024년 50세 이상 부산 전체 고용률(50.5%) 전국(58.4%)보다 (7.9%p)낮음
2015년 대비 전국 증가(+2.3%p),부산 감소(-0.2%p)
-70세 이상 고용률 증가(+9.5%p), 전국 평균(7.0%p)보다 높음50세 이상 산업별 취업자 수 현황
2024년 50세 이상 전체 취업자(791천명) 중
「도소매·숙박음식」19.3%(가장 높은 비중)
「보건복지」18.5%,「전기·운수·통신·금융」13.7%,「광·제조」12.1%비중 순


50세 이상 연령대별 취업자 수 상위 6개 산업군 비교(2015,2024)
50~64세「도소매·숙박음식」
65세 이상 취업자「보건·복지」(가장 높은 비중)50세 이상 산업별 취업자 증감현황(2015년 대비 2024년 현황)
50세 이상 전체 취업자
「보건·복지(101.0천명)」,「농림어업(11.1천명)」순 증가
-50~54세「광·제조(13.3천명)」,「도소매·숙박음식(10.3천명)」순 감소
55~59세「광·제조(14.0천명)」,「사업지원·부동산(6.3천명)」순 감소

50세 이상 산업별 남자 취업자 수 증감(2015년 대비 2024년)
50세 이상 남자 취업자「보건·복지(22.7천명)」,
「도소매·숙박음식(7.5천명)」순 증가,「광·제조(10.3천명)」감소
-50대「광·제조(18.0천명)」,「전기·운수·통신·금융(12.0천명)」감소
-70대이상「보건·복지(17.6천명)」,「전기·운수·통신·금융(7.6천명)」증가50세 이상 산업별 여자 취업자 수 증감(2015년 대비 2024년)
50세 이상 여성 취업자「보건·복지(78.3천명)」
「전기·운수·통신·금융(9.6천명)」증가
「도소매·숙박음식(14.1천명)」감소
-50대「도소매·숙박음식(19천명)」,「광·제조(9.3천명)」감소

50세 이상 직업별 취업자 현황
2015년 → 2024년 50세 이상 연령대별 직업별 취업자 수
「사무(37천명)」,「전문가(24천명)」,「서비스(23천명)」순 증가
-50대「단순노무(45천명)」,「장치조작(19천명)」,「서비스(7천명)」감소50세 이상 산업별 실업급여 지급 현황
출처: 한국고용정보원「고용행정통계(2024)」
고용노동부「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2015상반기. 2025상반기(잠정))」

50세 이상 산업별 실업급여 지급인원
「광·제조업(11.2천명)」,「건설업(10.7천명)」순으로 많음
- 50대「건설업(5.7천명)」,60대「광·제조업(6.1천명)」「사업지원·부동산(6.1천명)」실업급여 지급 인원 많음

50세 이상 산업별 인력수요 현황
2025년 전산업 부족인원 15,300명으로 2015년에 비해 증가(+1,807명)
-2025년 기준「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3,294명)」가장 많고,
다음「광·제조업(3,115명)」,「운수 및 창고업(2,225명)」순임부산을 사랑합니다

인구정책 아이디어 상시 접수!
부산광역시 인구정책담당관 인구정책팀 T.051-888-1111
E. bgl7130@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