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인구정책 브리핑


(2025년 7월) 부산광역시 인구정책브리핑

부서명
부산광역시 기획조정실 기획관 인구정책담당관
전화번호
051-888-1111
작성자
배가람
작성일
2025-07-28
조회수
2462
첨부파일
내용

□ 2025년 7월 부산 인구정책 브리핑
 ○ 인구 : 3,252,830명(1,627명 감소)
 ○ 학령인구 : 408,278명(12.6%)
 ○ 청년인구 : 786,895명(24.2%)
 ○ 고령인구 :800,126명(24.6%)
 ○ 전입‧전출(순이동) : 1,014명 감소
  * 출처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5.6월), 국내인구이동통계(’25.5월)부산시와 함께하는 2025 인생 로드맵
* 본 제작물은 대표사업 위주로 구성하였으며, 상세내용은 아래 게시글 ‘2025년도 생애주기별 인구정책 안내서: 부산에서 삶을 잇다’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Ⅰ. 결혼
① 신혼부부 주택융자 및 대출이자 지원(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시 거주 무주택 신혼부부(혼인예정 3개월~혼인7년 이내, 부부 합산 연소득 1억3천 이하)            
○ 지원내용 : 전세보증금 4억 이하 주택 ☞ 전세자금 대출 최대 2억원, 연 최대 2% 이자 지원(기본2년, 최대10년)
○ 문의처 : 부산은행(☎1588-6200)  

② 공공예식장 작은 결혼식 지원사업(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예비부부 20쌍          
○ 지원내용 : 공공예식장에서 결혼하는 예비부부에게 예식 관련 부대비용(예식장 꾸밈비용, 대관료, 식대, 촬영, 예복 등) 최대 100만원 지원
○ 문의처 : 부산광역시 여성가족과(☎888-1601)  

③ 신혼부부 주거 지원 및 공급

○ 사업명 : 부산 신혼부부 럭키7하우스 지원(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거주, 일정소득기준, 무주택 (예비)신혼부부         
○ 지원내용 : 행복주택 등 럭키7하우스 거주 신혼부부에게 최대 7년간 월 임차료 및 임차보증금 대출이자 지원
○ 문의처 : 市주택정책과(☎888-3534)

○ 사업명 :  희망더함 주택공급(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19세~39세 혼인기간 7년이내 무주택 신혼부부 및 청년, 일정소득기준 충족          
○ 지원내용 : 역세권에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양질의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공급
○ 문의처 : 市주택정책과(☎888-4204)

○ 사업명 : 신혼부부 주택특별공급
○ 지원대상 : 혼인기간 7년 이내의 무주택 세대구성원(유형별 소득요건 충족)
○ 지원내용 : 전용면적 85m2 이하의 민영, 국민, 공공주택 건설량의 일정 비율 특별 공급
○ 문의처 : LH공사(☎1600-1004), 부산도시공사(☎810-1200)Ⅱ. 임신‧출산
①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
○ 지원대상 : 25~49세 결혼무관 가임기 남‧여
○ 지원내용 : (여성) 난소기능검사, 부인가 초음파 비용 등 13만원, (남성) 정액검사 등 비용 5만원 지원
○ 문의처 : 주소지 관할 구‧군 보건소

②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 지원대상 : 부산거주 난임부부
○ 지원내용 : 출산당 25회(체외수정 20회, 인공수정 5회), 지정의료기관에서 시술 후 시술비 지원, (한방)4개월 한약투여 및 침구치료 등 지원
○ 문의처 : 주소지 관할 구‧군 보건소

③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지원(부산시시책)
○ 지원내용 : 임산부가 친환경 농산물 쇼핑몰에서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구매 시 구매금액의 80% 지원(자부담20%, 최대 48만원까지)
○ 이용방법 : 대상자 선정된 임산부는 임산부 꾸러미 쇼핑몰을 통해 구매‧결제
○ 문의처 : 부산광역시 농축산유통과(☎888-4972)

④ 임산부 교통편의 지원
○ 사업명 : 임산부 콜택시(마마콜) 운영(부산시시책)
○ 지원내용 : 마마콜(콜택시) 월 4만원(횟수 무제한)한도 내 할인액 지원
○ 이용방법 : 마마콜 앱설치
○ 문의처 : 부산시설공단 통합콜센터(☎1555-1114)

○ 사업명 : 핑크라이트(임산부 배려석 알리미) 설치‧운영(부산시시책)
○ 지원내용 : 핑크라이트 앱에서 객차정보, 출산보육정책, 우리동네 육아지도 등 이용 가능
○ 이용방법 : 핑크라이트 앱 설치(부산도시철도 1~4호선 임산부배려석 내 634석, 핑크라이트 작동 강도 등 임산부가 직접 제어 가능 )
○ 문의처 : 출산보육과(☎888-1564)

○ 사업명 : 임산부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감면(부산시시책)
○ 지원내용 : 공영주차장 요금 50% 감면
○ 이용방법 : 임산부자동차 표지 부착 자동차에 임산부 탑승 및 증빙 제시
○ 문의처 : 관할 구군 교통(주차)행정과, 부산시설공단(☎860-7700)

○ 사업명 : KTX/ SRT 임산부 할인
○ 지원내용 : (KTX) 특실→일반요금 (SRT) 할인지정 좌석30%할인
○ 이용방법 : 열차누리집 혹은 각 앱에서 할인대상 좌석 구매
○ 문의처 : 코레일(☎1544-7788)SRT(☎1800-1472)

⑤ 부산형 산후조리경비 지원사업(부산시시책)
○ 지원대상 : 2025. 1. 1. 이후 부산시 출생아           
○ 지원내용 : 출생아 1인당 최대 100만원 산후조리 및 건강관리비 지원
○ 문의처 : 주소지 관할 구‧군 보건소

⑥ 출산지원금 지급
○ 지원대상 : 출생아로서 출생신고되어 정상적으로 주민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 지원내용 : (첫째아) 첫만남이용권(바우처) 200만원, (둘째아 이상) 첫만남이용권(바우처) 300만원+市출산지원금(부산시시책)(현금) 100만원 
○ 문의처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구‧군 보육부서Ⅲ.아동
① 부모 급여 지원
○ 지원대상 : 2023년 이후 출생한 0~23개월 아동
○ 지원내용 : 0세 월 100만원, 1세 월 50만원(어린이집 이용 시 부모 보육료 바우처 지급 후 차액 현금지원)
○ 신청방법 : 아동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복지로(온라인신청)

②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부산시시책) 
○ 지원대상 : 출산가정 신생아
○ 지원내용 : 출산가정에 건강관리사 파견 신생아 양육 지원(소득 기준에 따라 5일~최대 20일)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구‧군 보건소로 신청(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

③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 사업명 : 영유아 보육료 지원
○ 대상 : 어린이집 이용 영아(0~2세반)
○ 지원내용 : 영유아보육료 연령별 단가, 연장보육료, 영아반 인센티브 등 바우처 지원
○ 이용방법 : 아동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복지로 온라인신청

○ 사업명 : 3~5세아 누리과정 보육료 지원
○ 대상 : 어린이집 이용 유아(3~5세아)
○ 지원내용 : 3~5세아 누리과정 보육료 월 28만원
○ 이용방법 : 아동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복지로 온라인신청

○ 사업명 :기관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3~5세 부모부담보육료 지원(부산시 시책)
○ 대상 : 기관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3~5세아
○ 지원내용 : 3~5세 부모보육료와 우리 시 보육료 수납한도액 차액 바우처 지원(3세 월 98,000원, 4-5세 월 83,000원)
○ 이용방법 : 재원 어린이집에 신청

④ 부산형 365 열린 시간제 어린이집 운영(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 거주 6개월 이상~6세 이하 취학 전 아동
○ 지원내용 : 평일 야간 및 공휴일 양육자에게 긴급상황 발생 시, 시간 단위 이용가능한 보육서비스 제공(시간당 4천원-이용자부담금 1천원, 지원금 3천원)
○ 신청방법 : 제공기관(6개소-사하구2, 강서구2, 연제구1, 기장군1개소) 유선 예약 또는 동백전 앱 사전예약

⑤ 부산형 영영아반 운영 지원(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 소재 영영아반 운영 어린이집
○ 지원내용 : 교사 대 아동비율을 1:3에서 1:2로 개선하여, 12개월 이하 영영아를 반당 최대 2명으로 구성한 경우 영영아반 당 운영비(영아 1명의 보육료 수준, 18개월까지 지원)
○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구‧군 보육부서

⑥ 어린이집 필요경비 지원(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 소재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2~5세반)
○ 지원내용 : 현장학습비, 특별활동비 수납한도액 범위 내 실소요경비 지원
○ 신청방법 : 재원 어린이집에 신청

⑦ 부산 다자녀 교육지원포인트(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2007~2018년생(초중고학령) 자녀를 둔 부산시 다자녀 가정
○ 지원내용 : 2자녀 가정 연 30만원, 3자녀 이상 가정 연 50만원 동백전 포인트 지급
○ 신청방법 : 동백전 앱 모바일 신청(지역서점, 온라인지정서점, 독서실, 예체능학원, 문구점 등 사용)

⑧ 아이돌봄 지원사업
○ 지원대상 : 양육공백 발생 가정(3개월~12세 이하 아동 대상)
○ 지원내용 : 아이돌봄서비스(영아, 시간제, 질병감염 등) 제공, 서비스 사후관리(가구소득에 따라 이용요금 차등 지원)
○ 신청방법 :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온라인) 신청 ☞구‧군 가족‧여성 담당부서 문의

⑨ 입원아동 돌봄서비스(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 지역 내 3개월~12세 이하 입원아동(아이돌봄서비스 정부지원 신청자로서 등급판정 받은 자)
○ 지원내용 : 복약, 식사 돕기 외 놀이지원 등 정서적 돌봄서비스 제공
○ 문의처 : 동구여성인력개발센터(☎051-464-9882)⑩ 아동수당 지급
○ 지원대상 : 8세 미만 모든 아동 
○ 지원내용 : 1인당 월 10만원 현금 지급 
○ 문의처 : 市아동청소년과, 구‧군, 행정복지센터

⑪ 어린이(6~12세) 대중교통 요금 무료 지원(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6~12세 어린이(타시도, 외국인 포함) 
○ 지원내용 : 등록 어린이교통카드 이용 시 도시철도, 버스 무료 
○ 문의처 : 市 대중교통과(☎051-888-3961~7)

⑫ 전기자동차 구매 다자녀가정 보조금 지원(부산시 시책)
○ 사업명 :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지원사업
○ 지원대상 : 승용 전기자동차 구매가정(만 18세 이하 자녀 2자녀 이상)
○ 지원내용 : 2자녀(100만원), 3자녀(200만원), 4자녀 이상(300만원)
-개인사업자‧법인 제외, 자녀 구매 제외
○ 문의처 : 부산광역시 탄소중립정책과 (☎ 051-888-3558,3552) 

○ 사업명 :부산‘아이조아 부산조아’(출산가정 전기차 구매비용 추가지원)
○ 지원대상 : ‘24. 1월 이후 출산한 승용 전기자동차 구매 가정
*부모 한정, 자녀와 동일 주소
○ 지원내용 : 첫째 출산가정 100만원, 둘째 이상 출산가정 150만원 지원
 - 사업기간: 25. 2. 5. ~ 12. 12.(예산소진 시까지)  * 매월 35세대 선착순(대상자 확정), 당월 잔여분 발생 시 익월로 이월
○ 문의처 : 부산광역시 탄소중립정책과 (☎ 051-888-3558,3552) 


Ⅳ. 청년
① 청년 디딤돌카드 플러스(청년 사회진입 활동비 지원)(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 거주 18~39세 미취업청년 중 소득요건 등 충족자 중 무작위 추첨(1,000명)
○ 지원내용 : 사회진입 활동비(180만원),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등
○ 신청방법 : 디딤돌카드 플러스 홈페이지(http://youthdidimdol.kr/) 접속 / 부산경제진흥원 문의(☎051-600-1874)

② 부산청년 일하는 기쁨카드 지원(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 거주 18~39세 근로청년(소득기준 및 근로기준 등 충족 2,000명)
○ 지원내용 : 복지포인트(문화여가, 자기계발, 건강관리) 1백만원 지원
○ 신청방법 : 홈페이지(https://부산기쁨카드.kr) 온라인 접수 / 부산경제진흥원 문의(☎051-600-1882)

③ 머물자리론(청년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 거주 18~39세 청년(소득기준 및 주택기준 충족)
○ 지원내용 : 임차보증금 대출(최대 1억원) 및 대출이자(2~2.5%, 연 최대 250만원) 소득별 차등지원
○ 신청방법 : 부산청년플랫폼 온라인신청 / 부산경제진흥원 문의(☎051-600-1882)

④ 부산청년 자산형성 기쁨두배 통장(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 거주 18~39세 근로청년(소득기준 및 근로기준 등 충족 6,000명)
○ 지원내용 : 청년 10만원 저축 시 市 1:1매칭 지원, 금융교육 등
○ 신청방법 :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홈페이지(https://boogi2.kr) 온라인 접수/ 부산경제진흥원 문의(☎1833-3044)⑤ 부산청년만원+문화패스(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 거주 18~39세 청년(8,500명)
○ 지원내용 : 지역 우수 문화공연을 1만원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지원(1인 최대 10만원)
○ 신청방법 : 동백전 앱 정책자금신청 / 부산경제진흥원 문의(☎051-240-7860)

⑥ NEXT10(월드클래스 육성)(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국제(전국)대회 수상실적 또는 대외 활동 실적 보유 청년(거주 등 요건충족)
○ 지원내용 : 맞춤형 역량개발비 지원(역량개발계획서 접수를 통하여 지원사항 결정, 3년간 최대 1억원, 최종 3명 심사 선발)
○ 문의처: 부산경제진흥원 문의(☎051-241-7869)

⑦ 청년층 주거비 무상지원 “평생함께 청년모두家”(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공공임대주택 입주(예정) 중인 무주택 1인 미혼청년 및 혼인 7년이내 신혼부부(소득요건 등 충족 6년간 10,000세대) 
○ 지원내용 : 월임대료 중 본인부담 3만원을 제외한 금액(청년-6년, 신혼부부-7년)
○ 문의처: 부산광역시 주택정책과(☎051-888-3532)

⑧ 대학생 기숙사비 지원(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지역 소재 대학생 중 원거리 통학자 300명
○ 지원내용 : 부산행복연합기숙사 (300석) 입소 및 기숙사비 일부(월 5만원, 연 60만원 한도)지원
○ 문의처: 부산행복연합기숙사(☎051-711-0314)

Ⅴ. 중장년
① 신중년 일자리 지원사업(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신중년(50~64세) 부산시민
○ 사업내용(유형별 모집 및 지원내용 등 상이)
  - 사회적일자리: 참여자 전문성, 경력 활용 지역별 사회공헌 사업 ☞ 119명(월 최대 79만원)
  - 시장형일자리: 신중년 적합한 소규모 매장 및 전문직종 사업단 등 운영 일자리 발굴‧지원 ☞ 21명(월 25만원)
  - 취업알선형: 구인‧구직 연결을 통한 일자리 발굴‧지원 ☞ 350명(1인 27만원)
○ 문의처: 구‧군 소관부서

② 50+ 인턴십 사업 추진(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신중년(50~64세) 근로자 고용기업
○ 지원내용 : 인턴지원금(최초 3개월 근무), 채용장려금(6개월 근무) 1인 최대 180만원 지원
○ 문의처: 장노년 일자리지원센터(☎051-864-6300)Ⅵ. 노년
① 기초연금 지급
○ 지원대상 :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재산이 선정기준액(단독가구 228만원, 부부가구 364.8만원) 이하인 자
○ 지원내용 : 단독 및 부부1인 월 34,250~342,510원, 부부2인 월 68,500~548,000원 ※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금액 매년 변동
○ 문의처: 구‧군 노인복지부서

② HAHA캠퍼스 에듀프로그램 운영 지원(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액티브 시니어
○ 지원내용 : 신체건강, 마음돌봄 등 4개분야 26개프로그램
○ 신청방법: 부산가톨릭대학교 평생교육원 홈페이지 온라인신청(☎051-519-0351)

③ 지역밀착형 하하(HAHA) 마을건강센터 운영(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시민 누구나 
○ 지원내용 : 일상적 주민건강관리, 건강증진프로그램, 주민공동체 활동 및 노쇠예방 사업 등 무료 이용
○ 문의처: 주소지 관할 구‧군 보건소

④ 찾아가는 건강의료서비스 “의료버스” 운영(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보건의료 취약계층(노인, 산복도로‧쪽방촌 거주자, 이동노동자 등) 
○ 지원내용 : 찾아가는 건강검진‧상담, 건강교실(강의) 운영 등  * 개인별 신청(가정방문) 불가, 거점기관 ▷ 수탁기관(병원)으로 신청
○ 문의처: 市 보건위생과(☎051-888-3419)

Ⅶ. 공통
① 동백전(부산지역화폐) 운영(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부산광역시 관내 신용카드 가맹점, IC카드 단말기 사용 동백전 가맹점
○ 지원내용 : 월 캐시백 적립 가능 한도 30만원, 캐시백률 5%(대형백화점, 슈퍼마켓, 기업형 슈퍼마켓(SSM), 온라인가맹점, 프랜차이즈 직영점, 주소가 부산이 아닌 사업장 등 사용 제한)
○ 문의처: 동백전 콜센터(☎1577-1432)

② 대중교통 통합할인제 「동백패스」(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동백전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부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19세 이상 누구나
○ 지원내용 : 부산 대중교통 월 45,000원 초과 이용 시 최대 45,000원 동백전 환급
○ 이용방법 : 동백전 교통카드 발급 후 동백패스 가입(☎1577-1432)

③ 퇴원환자 안심 돌봄(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수술, 중증질환 및 골절 등으로 인한 퇴원환자로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 지원내용 : 전문 돌봄인력 파견을 통한 집중 돌봄서비스(가사활동, 일상생활, 복약지도, 정서지원, 신체청결 등) 제공, 
  - 장기요양기관 등 구군 선정기관 서비스 제공. 1일 4시간, 주5일, 1개월(4주 지원), 1시간 17,800원 이하
○ 이용방법 :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신청

④ 병원 안심동행(부산시 시책)
○ 지원대상 : 병원이용 및 이동에 어려움이 있는 돌봄공백 1인 가구
○ 지원내용 : 차량 및 동행매니저 병원 이동 및 이용 지원(연24회 한도, 1시간 15,000원, 초과 30분당 7,500원, 소득별 비용 부담 상이)
○ 이용방법 :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신청부산을 사랑합니다
인구정책 아이디어 상시 접수!
부산광역시 인구정책담당관 인구정책팀 T.051-888-1111
E. bgl7130@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