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는 도시하천과 어우러진 공원으로 구목정공원, 윗골공원, 중앙공원이 있다.
이들 공원은 정관신도시 택지개발에 의해 2009년 조성되어 신도시 주민의 쾌적한 녹지공간 형성에 큰 역할을 하고 있어, 정관신도시를 살고 싶은 도시로 만드는데 이바지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호수가 드물고, 부산에는 자연적으로 생성된 호수가 없다. 부산의 도시공원에 호수가 위치할 수 있었던 것은 경작지와 공원이 들어섰기 때문이다.
부산 내에서 경작을 하지 않게 되자, 저수지의 필요성은 점점 없어졌고 이것이 공원이 된 사라수변공원과 어린이대공원의 성지곡수원지이다.
그리고 장산 폭포를 따라 흐르는 물줄기의 일부를 넓게 확장해낸 호수가 위치한 대천공원, 또한 용소골 골짜기에 위치하며 경치가 아주 멋있는 용소웰빙공원이 있다.
모든 호수가 위치하게 된 이유는 다르지만, 이들 공원의 호수들은 공원의 중심으로 그리고 상징으로 위치하고 있기에 이들 공원만의 또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다.

부산은 동해와 남해가 모두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동해의 특성과 남해의 특성을 가진 바다 모두를 가지고 있다. 동해의 주요특징이 해안절벽이라면, 남해는 서해와 중간인 갯벌, 사빈, 해안절벽 모두를 가진 것이 주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부산의 도시공원 중 신호공원은 남해에 위치해 있어 드넓은 갯벌이 간조 때 등장한다. 물때에 따라 공원의 면적이 늘어나고, 줄어드는 것이다.
도시공원과 함께 위치하고 있는 갯벌에서 두 가지 매력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신호공원은 다양한 해양생물과 고기잡이 방법을 보고 배울 수 있는 체험 교육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
신호공원 물놀이장
-
신호공원의 축구장
드넓은 축구장이 위치하고 있고, 축구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녹색 파고라가 위치하고 있다. 녹색 파고라는 여름에는 햇빛을 막아주지만 겨울에는 햇빛을 통과시켜준다.
신호공원 물놀이장은 2019년 조성되어 많은 지역주민들이 찾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