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0

도시공원이란?

도시공원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6호 나목의 규정에 의한 공원으로서 도시지역에서 도시자연경관을 보호하고 시민의 건강ㆍ휴양 및 정서 생활을 향상 시키는데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동법 제30조의 규정에 의거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된 것을 말합니다.

생활권 공원

도시생활권의 기반공원 성격으로 설치ㆍ관리하는 공원으로서 다음 각 목의 공원

  • 소공원

    소규모 토지를 이용하여 도시민의 휴식 및 정서함양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공원

    오름소공원 등 부산시 300여개의 소공원

  • 어린이공원

    어린이의 보건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공원

    1961년에 결정된 꿈동산어린이공원 등 400여개의 어린이공원

  • 근린공원

    근린거주자 또는 근린생활권으로 구성된 지역생활권 거주자의 보건ㆍ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공원

    용두산공원, 중앙공원, 어린이대공원 등 150여개의 근린공원

주제공원

생활권공원 외에 다양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다음 각 목의 공원

  • 역사공원

    도시의 역사적 장소나 시설물, 유적ㆍ유물 등을 활용하여 도시민의 휴식ㆍ교육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공원

    복천동 고분공원, 충렬사공원, 당곡공원, 만덕사지 당간지주역사공원 등

  • 문화공원

    도시의 각종 문화적 특징을 활용하여 도시민의 휴식ㆍ교육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공원

    가야감고개공원, 구포공원, 해운대역사 문화공원, 부산도서관 문화공원 등

  • 수변공원

    도시의 하천가ㆍ호숫가 등 수변공간을 활용하여 도시민의 여가ㆍ휴식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공원

    다대포 해변공원, 사라수변공원, 가리새수변공원 등

  • 묘지공원

    묘지 이용자에게 휴식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구역에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7호에 따른 묘지와 공원시설을 혼합하여 설치하는 공원

    유엔묘지공원, 부산묘지공원, 부산추모공원 등

  • 체육공원

    주로 운동경기나 야외활동 등 체육활동을 통하여 건전한 신체와 정신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공원

    수민어울공원, 거제공원, 광미체육공원, 명례체육공원 등

  • 도시농업공원

    도시민의 정서순화 및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하여 도시농업을 주된 목적으로 설치하는 공원

    철마 도시농업공원, 강서구 도시농업공원 등

  • 방재공원

    지진 등 재난발생 시 도시민 대피 및 구호 거점으로 활용 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공원

    월내방재공원, 길천방재공원

  • 조례로 정하는공원 (가로공원, 노인친화공원)

    그 밖에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ㆍ특별자치도 또는 「지방자치법」제175조에 따른 서울특별시ㆍ광역시 및 특별자치시를 제외한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의 조례로 정하는 공원

    노인친화공원(와석공원, 금곡공원, 수림뜨락공원), 가로공원(44개소)

자료관리 담당부서

공원여가정책과
051-888-3796
최근 업데이트
2025-09-02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