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정
제1장 지세 및 기후
제2장 인구
제3장 도시계획
제4장 주택
도로 · 교량
제6장 상수도
제7장 하수도
제8장 사회복지
제9장 보건 · 위생
제10장 환경보전
제11장 공원 · 녹지
제12장 문화 · 관광 · 체육
제13장 산업경제
제14장 해운 · 항만
제15장 교통 · 통신
제16장 교육
제17장 치안
제18장 민장위 · 소방
제19장 지방의회운영
제20장 일반행정

第9節 情報化


1. 情報化 基盤造成


1) 背景 및 沿革


  우리나라 행정정보화는 1967년 5월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에서 컴퓨터를 도입하여 통계업무에 적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지방행정 분야에는 서울특별시가 1971년 6월에 처음으로 전산화를 시작했고, 부산시는 1972년 9월에 시정전산화 타당성 조사를 거쳐 1973년 지방행정의 전산기 도입에 관한 연구 보고를 통하여 전산화 기반을 조성하였으며, 2년후인 1975년 5월 처음으로 중구 가옥분 재산세를 용역처리하여 시정전산화의 기틀을 다져 왔다.

  정보화 조직은 1977년 3월 전산처리계에서 1983년 10월 과 체제인 전산담당관실로 확대되었으며 1996년 7월 지역정보계의 설치와 통신업무를 통합하여 정보통신담당실로 확대 개편되었다. 전산요원도 전산전담반이 구성되었던 1976년의 4명에서 담당관실로 승격된 1983년에는 31명, 1998년 1월 통신분야의 영상정보계 신설로 6개계 73명으로 증원되었다가 2001. 2월 영상정보계가 시민봉사과로 이관되어 다시 5개계로 구성하게 되었다.

  2003. 2. 18일 지식정보화팀의 신설로 현재는 5개계 1팀 55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과명칭도 정보통신담당관실에서 “정보화담당관실”로 개정하여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를 주도해 나갈 명실상부한 조직으로 재편되었으며, 분야별 정보화추세에 따라 본청 실·과 및 사업소, 자치구·군에도 정보화요원을 배치, 정보전문인력 230명으로 정보화업무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정정보화 연혁

년 월

추    진    내    용

1972.  9

1975.  4

1977.  3

1978.  9

1983. 10

1984.  9

1985.  5

1986. 11

1987.  6

1988.  5

1989.  5

1990.  1

1991.  1

·시정전산화 타당성 조사

·재산세처리 시험적용 (중구)

·통계담당관실 전산처리계 발족

·전자계산기 도입 (UNIVAC 90/30)

·전산담당관실로 승격 (전산1계, 전산2계)

·IBM 4331-K11 전자계산기 대체도입

·토지기록 On-Line 업무 실시 (3개구 : 부산진·남·북구)

·차량등록 On-Line 업무 실시 (차량등록사업소)

·인사관리 On-Line 업무 실시 (인사과)

·지역전산본부설치운영조례 공포

·계증설및 명칭변경(전산지도계, 전산개발계, 전산관리계)

·체납세관리 On-Line 업무 실시 (12개구)

·주민등록거주지(동)단위 민원서비스 개시

1991.  9

1993.  1

1994.  5

1994.  7

1995.  3

1995.  5

1996.  7

1997.  4

1997.  7

1997. 10

1997. 12

1998.  1

1998.  3

1998.  7

1998.  9

1998. 12

2000.  5

2001.  2

2001.  9

2003.  2

·자동차 지역무관 민원서비스 실시

·주민등록 및 부동산 주전산기 증설 (각 1 대)

·통계전산담당관실로 조직개편

·주민등록 전국 On-Line 대민 서비스 실시

·톨러런트 주전산기 증설 (1대, 자동차관리업무)

·주민등록 전출입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정보통신담당관실로 조직개편(전산기획, 전산개발, 전산정보, 지역정보, 통신계)

·「교통관광지리정보서비스시스템」 서비스 개시

·정보통신담당관실 계 명칭 변경(정보기획, 정보개발, 정보관리, 지역정보, 통신정보계)

·부산정보통신연구원 개원,「부산상품홈페이지」서비스 개시

·부산광역시정보화촉진조례 공포, 전자문서시스템 도입

·영상정보계 신설

·부산광역정보센터 서비스 개시, 부산인터넷무역센터 개소

·사이버해양박물관 서비스 개시

·계제도 폐지

·주민등록 업무처리를 행정자치부 중앙센터로 전환

·부산정보통신연구원 산업진흥과로 이관

·정보통신담당관실 조정개편(5개계), 영상정보계를 시민봉사과로 이관

·정보화정책보좌관 신설(계약직공무원 임용)

·지식정보화팀 신설, “정보화담당관실”로 명칭변경


기관별 전산직 공무원 현황

(단위 : 명)  

부 서 별

5급

6급

7급

8급

9급

별정

기능

합    계

230

7

30

74

20

35

7

57

본청소계

70

4

10

24

7

1

5

19

본청

정보화부서

33

4

4

17

2

-

1

5

타 부 서

37

-

6

7

5

1

4

14

직속기관

6

1

1

1

2

-

-

1

사 업 소

38

1

3

13

1

1

2

17

AG조직위원회

3

1

-

2

-

-

-

-

시의회사무처

1

-

-

-

1

-

-

-

부 서 별

5급

6급

7급

8급

9급

별정

기능

구·군소계

112

-

16

34

9

33

-

20

중    구

7

-

1

4

-

1

-

1

서    구

5

-

1

2

1

1

-

-

동    구

10

-

1

3

1

2

-

3

영 도 구

7

-

1

2

-

2

-

2

부산진구

6

-

1

2

-

3

-

-

동 래 구

7

-

1

2

2

1

-

1

남    구

6

-

1

1

1

3

-

-

북    구

9

-

1

2

1

3

-

2

해운대구

6

-

1

2

-

3

-

-

사 하 구

6

-

1

3

-

2

-

-

금 정 구

8

-

1

2

1

1

-

3

강 서 구

6

-

1

3

-

2

-

-

연 제 구

8

-

1

2

-

3

-

2

수 영 구

9

-

-

2

1

2

-

4

사 상 구

7

-

1

1

1

2

-

2

기 장 군

5

-

2

1

-

2

-

-


2) 電算裝備 導入 運營


  1976년도에 재산세, 자동차세 업무를 한국과학기술원과 부산컴퓨터(주)에서 용역처리하였으나 1977년 전산처리계가 발족되고 전산요원이 확보되면서 자료입력기 5대를 설치하여 원시자료를 자체 입력하고, 개발업무의 전산처리는 기기 사용계약을 체결하여 한국과학기술원의 전자계산기를 시간단위로 임차 사용하였다.

  그러나 전산처리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하여 타기관의 기기를 임차하는데 따른 기기사용료가 자체 도입비용에 육박하였을 뿐만 아니라 업무처리 및 개발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여 1978년 9월 UNIVAC 90/30 주전산기를 도입하여 1984년 9월까지 6년간 운용하였고, 토지기록전산화 추진을 위한 전산망구성 등 행정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1984년 9월 IBM4331-K11 기종으로 주전산기를 교체하였다.

  실무부서에서 전산업무를 직접 처리하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1985년 4월 토지기록용으로 3개 구청(부산진구, 남구, 북구)과 차량등록용으로 차량등록사업소에 단말기를 설치하여 온라인에 의한 대민서비스를 실시하였다.

  1989년 4월에는 IBM기종에서 UNISYS A6-F 기종으로 교체하여 지방세업무 등을 전산처리하였다.

  1994년 6월에는 행정정보 공유와 공동활용을 위해 근거리통신망(LAN)과 전자사서함(E-Mail)을 설치하여 신속한 정보교환 및 문서전송을 통해 행정능률을 향상시켰다.

  1997년 4월 정보통신망의 저변확대에 따라 우리 시 최초의 인터넷서버인 교통관광지리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1997년 10월에는 부산상품홈페이지를 개설하는 등 정보통신망을 활용한 대민서비스를 강화하였다.

  1989년부터 구축한 행정전산망은 장비노후 및 시스템 용량한계로 전산망 개편을 추진하여 1999. 1월부터 주민등록업무를 행정자치부로 이관하였으며, 부동산·자동차관리전산망은 새로운 시스템으로 전환하였다.

  자동차전산망은 국산 신 주전산기 2대를 도입하여 고가용성시스템으로 구축하고 기본 X.25 방식의 통신망을 LAN방식으로 전환하여 시정종합정보통신망으로 통합하였다.

  1999. 11월부터 이륜차, 건설기계까지 관리 대상을 확대하여 시행중에 있으며, 본청, 자치구·군, 차량등록사업소 등 관련기관에 단말기 310대를 설치하여 운영중이다.

  부동산전산망은 국산 신 주전산기 2대를 도입하여 고가용성시스템으로 구축하고 기존통신망의 변경없이 시스템 전환을 완료하였고, 본청·자치구·군 지적과 등에 단말기 96대를 설치하여 운영중이다.

  특히, 신 시스템은 각 2대의 주전산기로 고가용성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어 1대의 주전산기 장애발생시 나머지 1대의 주전산기로 즉각 온라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되어 중단없는 민원서비스가 가능하다.

  2000년부터 국가차원의 전자정부사업 추진으로 시·군·구 중심의 행정정보화사업이 추진되어 기존 시스템이 통합되는 형태로 발전해 가고 있다.


3) 地方行政情報網 運營


  1994년에 구축되어 전국 시·도, 시·군·구를 연결하는 전국온라인 전산망을 2000년 8월부터 지방행정정보망 광역화사업으로 추진하여 전국 시·도, 시·군·구에 ATM접속장비를 도입 설치하고 읍·면·동을 LAN으로 연결하는 등 중앙행정기관에서 일선 읍·면·동까지 연결하는 고속정보통신망을 구축하여 전자정부의 정보인프라 구축을 완료하였다.

  1998년 1월 신 청사 이전에 따라 전직원 1인 1PC보급과 LAN연결 운영으로 전자문서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시 산하 전 기관에 대해 전자우편 및 게시판 서비스를 실시하고, 시 본청 실·과 단위까지 전자결재를 전면 시행하였으며, 인터넷 등 각종 정보망 서비스를 사업소까지 확대하기 위하여 시와 사업소간 LAN구축을 완료하여 행정업무의 정보화 환경을 크게 개선하고, 1998년 3월과 7월에는 광역정보센터와 사이버해양박물관을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함으로써 시민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안전하고 신뢰받는 전자정부 서비스 제공 환경구축을 위해 2001년부터 행정자치부 주관으로 자치단체 인터넷 및 보안환경개선사업을 추진하여 인터넷 접속점을 시 청사로 단일화하는 시 산하 전 기관에 대한 초고속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고, 외부의 불법 침입에 대비하여 침입차단시스템, 침입탐지시스템 등 보안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중단없는 대민 서비스제공을 위한 네트워크의 생존성 확보를 위해 백업체계를 구축하는 등 우리 시의 정보인프라를 더욱 고도화시켰다.


주요 전산장비 도입 현황

시스템명

기 종

수량

도입시기

용  도

지적전산시스템

UX10000

2

1999.11

지적전산업무

자동차관리시스템

UX9000

2

1999. 3

자동차관리

재정정보·민원정보시스템

UX9000

1

1999. 5

재정민원정보

LG-IBM PC서버

1

1999. 5

유지보수지원 웹서버

전자결재시스템

SUN E5500

1

1999.12

전자결재

게시판/우편인사급여시스템

SUN E5000

1

1997.12

게시판/우편/급여

행정종합시스템백업센터

SS885XC

1

2002. 1

구군행정정보시스템

백업관리

전자문서관리시스템

HP rp 7400

1

2002. 4

전자문서관리

인터넷민원처리시스템

SUN E3500

1

2001. 8

중계서버

SUN ULTRA60

1

2001. 8

웹서버

민원처리인터넷공개시스템

OPENSTAR 500A

1

2000.11

민원공개웹서버

행정전자서명인증서버

IBM P-640

1

2002.10

전자서명인증서관리

도시정보관리(UIS)시스템

HP V2600

1

2001. 1

UIS 업무용

     〃

HP RP8400

1

2003. 1

HP 9000/HP J2240

1

1999. 7

UIS 인터넷서버

HP 9000/HP L2000

1

2001. 1

UIS 교육용

문화관광홈페이지시스템

SUN 3000

1

1998. 6

문화관광 DB서버

SUN Ultra2 2200

1

1998. 6

문화관광 웹서버

COMPAQ ML570

1

2001. 8

사이버옛생활문화기념관

해양박물관 홈페이지시스템

Sun 3500

1

1999.10

해양박물관 웹서버

교통관광정보시스템

HP 9000 K260

1

1997. 4

교통관광 웹서버

웹메일시스템

SUN E250

1

2000.11

인터넷 웹메일

네임서버시스템

SUN Ultra2 1200

1

1997.10

인터넷네임서버

시홈페이지시스템

IBM P-660

1

2001. 8

웹서버

Sun 3000

1

1997.10

DB서버

국가안전관리시스템

COMPAQ AP400

2

2000. 5

국가안전관리

체납차량번호판영치시스템

LGIBM e-Server 220

1

2002. 2

체납차량번호판 영치

지방세인터넷홈페이지시스템

SUN Enterprise 3500

2

2001.12

지방세인터넷납부

하수도재정관리시스템

LG-IBM-4500

1

2001. 7

하수도재정관리서버

전자주민자치지원시스템

Compaq ML 570

2

2003. 1

자주민자치지원 웹,

DB 서버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네트워크장비 현황

(단위 : 대)

총 계

ATM S/W

GiGa S/W

LAN S/W

HUB

라우터

CSU

DSU

모뎀 기타

322

22

11

24

141

38

25

10

51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정보보안시스템 현황

(단위 : 대)

총 계

침입차단

시스템

침입탐지

시스템

캐시서버

취약점

분석튤

NMS

서버

암호화

장비

기타

51

7

11

2

26

1

2

2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통신회선 현황

(단위 : 회선)

총 계

155M이상

4M

2M

512K

64K이하

87

2

16

28

30

11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무인민원 발급건수

(단위 : 건)

연도

설치

대수

(대)

발급

건수

주민등록

등(초)본

토지(임

야)대장

공시

지가

자동차

등록원부

건설기계

등록원부

기초생활

수급자

증명

의료보호

대상자

농지

원부

병적

증명

2002

47

108,910

39,680

41,769

22,708

2,168

81

1,938

163

1

402

2003

48

117,304

32,019

58,709

23,878

972

14

1,417

84

35

176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업무용 PC 보급 현황

(단위 : 대)

구 분

펜티엄Ⅳ

펜티엄Ⅲ

펜티엄Ⅱ

펜티엄Ⅰ이하

13,323

2,500

5,100

3,332

2,391

본   청

2,055

665

413

372

605

직속기관

241

67

63

40

71

사 업 소

1,283

189

440

422

232

구 · 군

9,744

1,579

4,184

2,498

1,483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4) 行政情報通信 運營


  부산시 정보통신 업무는 1954년 시본청에 공전식 구내교환기(120회선)를 설치하면서 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1963년 동래구청에 자석식 교환기를 설치하였고 1965년에 전 구청에 공전식 교환기를 보급하였다.

  또한 1964년 내무부~부산시간 인쇄전신(TTY)을 설치하여 1771년에 시본청~구청간에도 인쇄전신을 설치하였다가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의해 1991년에 폐지하고 팩스로 대체하였다.

  1998년 연산동 신청사 이전을 계기로 청내 통신설비 및 망을 현대화하고, 구내 자동교환기의 회선을 대폭 증설하여 직원 1인 1전화 체계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1998년 12월에는 전 공공기관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전국단일종합통신망을 개통하여 기관간 신속한 의사소통은 물론 타 지역의 각종 민원서류를 4시간 이내에 받아볼 수 있는 FAX민원서비스를 실시하였고 시내전화요금으로 시외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함으로써 연간 470백만원의 예산을 절감하였다.

  2000년 뉴 밀레니엄의 새로운 시대상황에 맞춰 영화·영상·문화도시로서 부산의 이미지와 디지털시정 구현에 부응하고자 디지털영상매체인 인터넷방송을 전국 시·도 가운데 최초로 2001년 2월 개국식을 갖고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또한, 2003년 5월 부산인터넷교환센터(IX)를 설립하여 부산지역 인터넷 이용속도를 20%가량 개선하였으며, 지역 정보통신관련 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정보통신 조직은 1971년 4월 시본청에 통신계(5급) 직제가 신설되면서 본격적인 통신관련 업무를 시작하였다. 당시 시청에서 구청의 통신시설들을 유지보수 관리하였으나, 이후 구청별로 1~2명의 직원이 배치되어 업무를 담당하였으며, 1987년 체육시설관리사업소에 통신계가, 1989년부터는 구청에 통신전산계가 생겼다가 1993년 통신계, 전산계로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다.

  시 본청은 1996년 총무과 통신계에서 정보통신담당관실 통신정보계로 직제가 바뀌었고, 1998년 영상정보계가 신설되었으나, 2000년에는 조직개편으로 영상정보계가 시민봉사과 행정통신계로 그 업무가 이관되었으며, 통신정보계는 계속해서 명칭변경없이 정보화 담당관실의 1계로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정보통신 구성은 시 본청에 2개 담당(정보화담당관실 통신정보담당, 시민봉사과 행정통신담당)과 체육민방위과 경보통제소 1개담당, 건설본부 2개담당, 구·군 16개담당, 체육시설사업소 1개담당이 있으며, 1993년 171명의 직원에서 2003년 현재 191명으로 20명이 증원되었다.

  앞으로 정보통신 업무는 행정업무 추진관련 단순 지원 차원에서 벗어나 시민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실생활에 유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하며, 지역 IT산업 발전과 동북아 정보통신 중심도시로의 도약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해 나갈 계획이다.


정보통신 업무 변천사(1993~2002년)

추 진 내 용

1993.

12

 

·구청단위 통신전산계를 통신계, 전산계로 분리(동래구, 남구)

1994.

8

 

·구청단위 통신전산계를 통신계, 전산계로 분리(부산진구, 북구)

1995.

7

 

·민원인 전용 120번 자동응답장치(ARS) 설치

1996.

1

 

·부산시행정통신운영관리규정 개정

1996.

7

 

·조직개편(총무과 통신계 → 정보통신담당관실 통신정보계)

1996.

9

 

·구청단위의 통신전산계를 통신계, 전산계로 분리(12개구)

1996.

12

 

·시청내 아마추어 무선국 개국(고정국1, 휴대국4)

1997.

12

 

·시 신청사 준공(정보통신분야 시설 구축)

 

 

 

·디지털 구내자동교환기(IDS 4,492회선)

 

 

 

·FAX Mail 시스템 (32회선)

 

 

 

·음성사서함·음성자동응답장치(24회선)

 

 

 

·쌍방향 CATV 시스템

 

 

 

·음향·영상(A/V) 시스템(11개소)

1998.

1

 

·정보통신담당관실 영상정보계 신설

1998.

6

 

·시청 음악방송 “락 세상” 개국

1998.

12

 

·「전국단일종합정보통신망」구축

1999.

3

 

·행정통신운영관리규정 전문 개정 (훈령 제1174호)

1999.

7

 

·시청 음악방송 “락 세상” 구·군까지 확대 실시

2001.

2

 

·부산시 인터넷방송국 개국

 

 

 

·직제개편 : 정보통신담당관실  통신정보담당 → 시민봉사과 행정통신담당

          정보통신담당관실  영상정보담당 → 통신정보담당으로 명칭변경

2001.

4

 

·휴대폰 문자메시지(SMS) 행정서비스 실시

2001.

5

 

·전국소년체전 통신망 구축 운영

 

 

 

·장애인체전(2001. 5. 2- ~ 5. 11) 기간중 93개소 경기장 정보통신 운영

2002.

2

 

·인터넷전화 서비스 실시

 

 

 

·2002월드컵, 아시안게임 등 국제행사 등에 필요한 5개국어 동시통역시스템 설치

2002.

3

 

·전국단일망 광역화사업 - 행정기관번호를 일반전화(DDD)와 동일하게 광역화

2002.

8

 

·민원전용 통일전화번호 1577서비스 운영

2002.

9

 

·청사내 초고속무선인터넷 서비스 시행, 2002아시안게임 정보통신분야 지원

2002.

10

 

·「부산인터넷교환센터IX협의회」발족

2002.

11

 

·제1회 부산시 디지털영상컨텐츠 공모전 개최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2002. 12. 31일 현재 통신직공무원, 시외교환회선, 전용회선, 통신장비 등 행정통신관련 주요현황은 다음과 같다.


기관별 통신직 공무원 현황

(단위 : 명)       

구  분

합 계

일   반   직

기 능 직

소계

5급

6급

7급

8급

9급

소 계

통신원

교환원

총    계

191

91

  4

25

26

28

8

100

53

47

본    청

43

25

  3

8

7

7

-

18

15

3

사 업 소

47

20

1

3

10

6

-

27

18

9

구    군

101

46

-

14

9

15

8

55

20

35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기관별 시외교환 회선

(단위 : 회선)

합 계

본청

사업소

구·군

타시도

타기관

예비

1,876

120

55

495

660

126

420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기관별 전용회선

(단위 : 회선)

합 계

본청

사업소

자치구·군

기타

3,043

274

477

2,229

63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기관별 통신장비 현황

(단위 : 대)

구  분

교 환 기

고속다중화

장     비

A R S

장  비

F A X

자동

간이

동보기

FAX

총  계

  29

   345

   20

  19

  17

  1,228

본  청

   2

     4

    2

   1

   1

   85

사업소

  11

    39

-

   6

-

   94

시의회

-

-

-

-

-

   12

구·군

16

  302

   18

  12

  16

  1,037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5) 情報化基本計劃 樹立


  1997년 12월 제정한 부산광역시정보화촉진조례의 세부 사항을 규정하기 위한 정보화촉진조례시행규칙과 전자문서시스템 도입에 따른 전자결재 등의 문서처리에 대한 근거 마련을 위해 전자문서시스템운영규정을 1998. 6월에 제정한데 이어, 1999. 10월 부산광역시 인터넷서비스시스템운영규정을 제정하였다.

  이와 함께 21C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아 디지털시정의 조기구현을 위하여 우리 시에서는 중장기(2000년~2005년) 마스터플랜인 부산광역시 정보화기본계획(Digiport-21)을 2000년 4월에 수립하여 중점 추진중에 있다.

  Digiport-21 계획의 세부 실행과제는 당초 69개 사업에서 매년 추진상황을 검토·조정하고 있으며, 2005년까지 75개 사업에 3,385억원을 투입하여 행정정보화, 도시기반정보화, 산업정보화, 시민생활정보화 등을 통하여 부산의 미래를 첨단 디지털 도시로 탈바꿈시켜 나갈 계획이다.


2. 市民情報化


  1) 情報化마인드 涵養


  시, 구·군, 동사무소, 학교시설, 청소년S/W기술교육장, 부산시교육정보원 등 정보화교육장을 최대한 활용하여 시민정보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시민정보화 마인드 함양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주부, 장애인 등 정보화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정보화 교육을 실시하여 2002. 12월 현재 총 289,000여명의 시민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매년 10만명의 교육목표(2000년~2004년까지)를 설정하여 해마다 시민정보화 교육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저소득층 자녀를 대상으로 청소년S/W기술교육을 2000년 1월부터 실시해 오고 있으며 2000년도에는 25회에 걸쳐 1,013명을, 2001년도에는 40회에 걸쳐 1,416명을,     2002년도에는 40회에 걸쳐 1,282명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였고 시민들의 정보화마인드 전환과 정보이용능력 향상을 위해 매년 인터넷정보검색대회를 실시하고 있다.

  향후 계속적인 정보화 마인드확산 및 저변확대를 위하여 시민정보화교육을 지속적· 체계적으로 실시해 나갈 예정이며, 특히 정보소외계층의 정보격차 해소에 보다 심혈을 기울여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시민정보화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홈페이지운영을 철저히 해 나가고 시보, 반회보, CCTV 등 홍보매체를 적극 활용하여 시민정보화 격차해소 및 마인드 확산에 전력을 다해 나갈 계획이다.


2) 都市基盤情報化 構築


  복잡하고 다양한 도시기반시설의 종합적 관리와 제반 도시문제의 해결지원을 위하여 1997년 6월「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도시정보관리전산화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2003년까지 도시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을 연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앞서, 1995년 12월부터 1998년 2월까지 정부의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계획에 따라 부산시 도심지역 260.2㎢에 대한 1/1000 수치지도를 제작하였으며, 1998년 6월부터는 부산광역시 서구를 대상으로 도로, 상·하수도, 도시계획, 지적 등 5개 분야에 대하여 도시정보시스템(UIS)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하여 1999년 7월에 완료하였다.

  1999년 12월부터 15개구·군을 대상으로한 UIS구축 본사업을 연차적으로  추진하여 2002년 12월현재 중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등 12개구에 대하여 UIS 구축을 완료하였고, 해운대구, 강서구, 기장군은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2003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도시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이 완료되면 도시가스, 전력, 통신 등의지하시설물관리기관과 시스템을 연계하여 지하시설물 관련사고 사전예방과 신속한 사후 대처가 가능하게 되며, 이외에도 도로굴착, 환경, 주택, 관광, 항만관리 등 시정전반에 걸쳐 행정의 생산성향상과 대민 지리정보서비스 개선에도 획기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UIS : Urban Information System

  ※ NGIS :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3) 市 인터넷放送(www.badatv.com) 開局


  영화·영상·문화도시 부산의 이미지와 디지털시정 구현에 부응하고자 신개념의 디지털영상매체인 인터넷방송을 전국 시·도 가운데 부산시가 최초로 2001년 2월 개국식을 갖고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서비스 주요내용으로는 시정에 대한 정보(시정뉴스, 각종행사, 관광지 등)를 동영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이 보다 생동감있는 시정정보를 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시내 주요도로 교통상황 CCTV화면을 인터넷으로 실시간 제공하여 사무실이나 안방에서도 부산전역의 교통상항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영상형태로 자체 제작된 생활영어회화 강의를 시민에게 무상제공하여 거리에서 외국인을 만났을 때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산을 보다 잘 알고 알리기 위하여 다양한 컨텐츠(볼거리, 먹거리, 놀거리)를 1년 주기로 계속해서 경신·발굴 중에 있다.

  특히 영화·영상산업도시로서 저변확대와 부산시민의 영상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기 위하여 2002년 하반기에 “제1회 부산시 디지털영상컨텐츠 공모전”을 ‘인터넷방송과 디지털영상기술에 의한 부산 재발견’이란 주제와 ‘釜山-그곳에 가고싶다’, ‘스포츠메카 釜山과 함께’라는 부제로 개최하였다. 본 공모전에 부산시민 28개팀이 참여하였고, 작품성이 뛰어난 영상물이 많이 접수되었다.

  그 중 ‘동의대학교 김상훈 외 3명’이 제작한 ‘영화도시 부산’이 심사위원에게 높은 점수를 받아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되어 시장상과 함께 소정의 시상금을 받는 영광을 안았다. 시상은 1위~5위까지 5개팀에게 주어졌으며, 매년 「釜山」을 소재로 행사를 정례화하여 “釜山”을 재발견하고 애향심을 고취하는 여건을 만들고자 한다. 서비스 개시이후 2년간의 추진사항과 컨텐츠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토대로 홈페이지를 새로이 개편하고, 인터넷방송이라는 매체에 맞는 최적의 솔루션을 도입하여 시민과 네티즌이 가장 필요로 하는 동영상을 제공할 것이다.

  특히, 매체 특성상 젊은층이 주 방문객임을 감안하여 금년부터는 “20~30대와 함께 하는 공공부문 최고의 홈페이지”를 목표로 하고,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포털사이트를 지양하며, 부산시민과 네티즌의 신선하고 참신한 의견과 아이템을 시정에 반영하는 양방향 정보교류 및 커뮤니티를 구성할 예정이다.

  또한, 2003년 “제2회 부산시 디지털영상컨텐츠 공모전”에서는 응모할 수 있는 기회를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제공하고자 홈페이지를 통해 직접 제출 할 수 있도록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네티즌 상호간에도 작품평가가 가능한 코너를 개설하는 한편, 부산관련 영상물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향후 인터넷방송 “바다TV”는 유익한 컨텐츠를 지속 개발·보강하여 제공하고, 영상·문화도시로서의 우리 부산을 적극적으로 알릴 수 있는 인터넷매체가 될 수 있도록 자리매김해 나갈 것이다.


4) 인터넷電話 서비스


  시민과 함께하는 디지털 시정 구현과 구체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시정참여 채널로 활성화하기 위해 인터넷전화서비스를 2002년 2월부터 실시하고 있다.

  시 홈페이지 서브메뉴에「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민들이 시청의 각 부서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고, 문의하고자 하는 사항이 어느 부서 소관인지를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알 수 있도록 개인PC의 헤드셋을 이용하여 담당자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이버공간을 활용한 민원처리 활성화와 시정질의 실시간 상담응대로 신뢰받는 전자정부 시정구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향후 시스템 기능 강화 및 통화품질을 개선하여 전자명함서비스, 리콜서비스, 해외출장 콜 서비스 등 각종 부가서비스 실시로 이용 활성화를 도모하여 e-행정서비스 전달수단으로 시민에 대한 행정서비스 질을 향상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5) 휴대폰 文字메시지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


  3백만명 이상의 시민이 보유하고 있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시민들이 알고 싶어하거나 유용한 시정정보(여권만료일, 지방세납부일, 민방위훈련 등)등을 문자메세지 형태로 제공하기 위하여 2002년 휴대폰 문자메시지 전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민들이 알고 싶어하는 시정관련 소식과 유익한 정보를 개인 휴대폰에 문자 형태로 알려줌으로써 지방세 납부 일자를 잊고 가산금을 물거나 여권만료기간을 몰라 재발급 받는 등의 불편을 해소하여 시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감동시정을 펼쳐나가고 직원간 업무연락의 효율성을 증대하여 행정능률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더불어 휴대폰 통화요금(114원/1분당)에 비해 저렴한 비용(14원/1건)으로 정확히 정보전달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간 약3천만원의 통신요금을 절감하였다.

  (주요서비스 : 민방위/예비군소집, 지방세납부, 여권만기, 인감증명대리발급사실, 민원서류처리결과, 시험·채용정보, 상수도단수, 예방접종, 국제행사 등)

  향후, 휴대폰 행정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현재 한쪽으로만 정보가 전달되는 휴대폰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양방향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여 시민이 시정에 휴대폰 및 PDA 등 휴대정보단말기를 통해 시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멀티미디어 SMS, PDA 콘텐츠 등을 제공하여 e-행정서비스 전달수단을 모바일 공간으로 확대하여 각종 행정서비스를 무선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이동전자정부(M-Government)를 실현하고 부산시민이라면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공간에 제약받지 않는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정부(U-Government)로 발전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6) 디지털釜山카드 普及支援

 

디지털부산카드는 시민생활 편의제공, 지역경제 활성화 및 디지털 시정 구현을 위하여 우리 시와 부산은행간 사업추진 협약에 의하여 200. 3월부터 카드보급 및 인프라 구축에 착수하여 2000. 9월부터 전 시내버스(2,900여대)와 마을버스(86대), 1,900여개의 유통업소 등에서 시범서비스에 들어가, 현재 지하철1·2호선, 유료도로, 민자터널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2002년에는 아시안게임, 월드컵 등으로 부산을 방문하는 외국관광객들에게 부산투어패스카드를 보급하여 정보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또한 울산, 경남, 경북, 전북 등으로 지역간 카드 호환사용을 추진하여 카드 사용자들의 이용 편의를 증진하고 있다. 앞으로, 타 지역간 카드 호환사용 확대뿐만 아니라 우리 시의 성공적인 카드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아·태 서미트 회원 도시로도 진출할 계획이다.


7) 市民電子郵便住所 普及(http://mail.metro.busan.kr 또는 http://mail.bs21. net)

 

  시민들의 새로운 정보문화 정착을 유도하기 위하여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주고받을 수 있는 전자우편주소를 1998년 2월부터 서비스하기 시작하여 현재 1,6000여명이 가입되어 이용하고 있다.

  2000. 12월부터 일반시민들이 사용하기 쉽고 편리하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웹메일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서비스중이며, 2002년에는 시민들에게 전자우편주소를 확대 보급하기 위해 메일시스템을 증설하여 전자시정의 기반환경을 조성하였다.

  향후, e메일을 통하여 시민들에게 각종 시정정보를 제공하며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시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메일서비스를 다양화할 계획이다.


8) 情報化示範마을 造成(http://www.invil.org)


  정보소외 지역에 인터넷 이용환경을 구축하여 정보접근 기회를 높이고 주민의 실생활 및 경제활동과 밀접한 콘텐츠를 구축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지역 커뮤니티 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2002년 7월 금정산 해발 400m 분지내 금정산성마을을 정보화시범마을로 지정하여 조성 중에 있다.

  정보화시범마을인 금정산성마을은 2003. 6월 조성을 목표로 정보콘텐츠 구축, 마을정보센터 설치, 100가구내 PC 보급, 주민 정보화 교육을 실시 중에 있으며 향후 정보화마을로 조성되면 정보접근 기회 확대로 마을주민의 정보격차 해소, IT테마 관광코스 상품화로 국·내외 관광객 유치, 특산물 판매를 통한 소득증대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3. 行政情報化


  업무전산화를 위하여 자체개발 또는 행정자치부 및 타·시도에서 개발한 업무를 우리 시 실정에 맞도록 수정·보급하여 사용하였으나 시군구행정종합시스템, 재정·민원정보시스템 등 행정자치부의 통합업무시스템 보급 및 재개발로 이미 활용 중이던 프로그램 95종이 폐기되고 2002년 12월 현재 66종의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업무전산화의 초기 운영방식은 PC단독처리 및 주전산기 일괄처리 방식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온라인처리방식으로 점차 바뀌어 가면서 자료공유가 가능하여 신속한 업무처리 및 효율이 향상되었다.


행정업무 전산개발 및 활용현황

업무명

추진방법

개발년도

운영부서

기획

지방행정정보은행

보급

1996

정보화담당관실

관리

전자결재(인사급여통합시스템)

구매

1998

전 부서

(9종)

스마트플로우

구매

1999

상수도사업본부

 

정부정보자원관리시스템

보급

2000

정보화담당관실

 

공직자재산등록프로그램

보급

2001

감사관실

 

보도자료관리

자체개발

2002

공보관실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

구매

2002

정보화담당관실

 

법무통계프로그램

자체개발

2002

정보화담당관실

 

행정전자서명등록시스템

보급

2002

정보화담당관실

내무

강사관리

자체개발

1997

공무원교육원

(33종)

문헌정보시스템

구매

1997

시민봉사과

 

기록물목록관리프로그램

보급

1998

시민봉사과

 

GCCPAY(급여관리)

보급

1998

상수도사업본부, 소방본부

 

인사급여통합시스템

구매

1998

정보화담당관실

 

설계예산시스템(S.G.S[Ver9])

구매

1999

건설안전시험사업소

 

IBS청사운영관리시스템

용역

1998

시민봉사과

업무명

추진방법

개발년도

운영부서

내무

도시정보시스템

용역

1999

정보화담당관실

(33종)

자동차영치번호판관리

자체개발

1999

차량등록사업소

 

자동차관리프로그램

보급

1999

정보화담당관실

 

이륜차관리시스템

보급

1999

정보화담당관실

 

건설기계시스템

보급

1999

정보화담당관실

 

문서관리프로그램(DOCU)

자체개발

1999

시민봉사과

 

자재정보시스템

용역

1999

상수도사업본부

 

통합도급설계시스템

용역

1999

상수도사업본부

 

수용가정보시스템

용역

1999

상수도사업본부

 

감사정보시스템

자체개발

2000

감사관실

 

평정관리프로그램

자체개발

2000

정보화담당관실

 

수상자관리프로그램

자체개발

2000

정보화담당관실

 

버스전용차로위반차량관리시스템

용역개발

2000

교통관리과

 

학사관리

구매

2000

공무원교육원

 

항만관리프로그램

용역개발

2000

항만관리사업소

 

자원관리시스템

구매

2000

상수도사업본부

 

국가안전관리정보시스템

보급

2000

건설방재과

 

민방위비상급수시설관리

자체개발

2001

정보화담당관실

 

인사도우미

구매

2001

총무과

 

SGS(공사설계시스템)

구매

2001

도로계획과

 

무인민원발급기 활용 인터넷민원처리시스템

용역

2001

정보화담당관실

 

자동통보안내시스템

용역

2001

상수도사업본부

 

건축행정정보화시스템(AIS)

보급

2001

건축주택과

 

지역진흥사업관리정보시스템

보급

2001

교통관리과

 

근태관리시스템

용역개발

2002

시민봉사과

 

주거지주차정보시스템

용역개발

2002

교통관리과

 

시군구행정종합시스템

보급

2002

정보화담당관실

재무

ALPA(개별공시지가자동산정프로그램)

보급

1996

지적과

(12종)

회계관리프로그램

구매

1998

회계재산담당관실

 

재정·민원정보시스템

구매

1999

정보화담당관실

 

투자예산프로그램

용역개발

2000

예산담당관실

 

자산정보시스템

용역

2000

상수도사업본부

 

예산정보시스템

용역

2000

상수도사업본부

 

회계정보시스템

용역

2000

상수도사업본부

 

하수도특별회계재정관리시스템

용역개발

2001

하수도과

 

택지매각관리프로그램

용역개발

2001

건설본부

 

적격심사프로그램(공사,용역)

구매

2001

건설본부

 

자동차세체납차량번호판광역영치시스템

구매

2002

세정담당관실

업무명

추진방법

개발년도

운영부서

재무

지방채운영시스템

보급

2002

예산담당관실

보건

독거노인자동신고시스템

용역

1997

소방본부

사회

129의료정보열람시스템

용역

1998

소방본부

(12종)

위치정보시스템

용역

1998

소방본부

 

수질관리

무상

1998

상수도사업본부

 

도서관리

구매

1998

금정근로청소년회관

 

오존경보발령시스템

용역

1999

보건환경연구원

 

유통거래정보시스템

구매

2000

반여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표준유물관리시스템

보급

2000

시립박물관

 

복지종합시스템

구매

2001

여성문화회관

 

수질자료관리

자체개발

2001

보건환경연구원

 

수질정보시스템

용역

2001

상수도사업본부

 

119종합정보시스템

용역개발

2002

소방본부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1) 전자결재시스템 導入 및 運營


  전자결재시스템은 결재진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시간을 줄이고, 문서의 유통이나 보관 등 문서사무에 대한 부담을 줄여 결재자나 기안자 모두 본연의 업무에 전념할 수있으며 용지 및 사무용품 절감, 신속한 업무처리 그리고 조직 및 업무처리방식의 획기적인 개선을 가져오는 시스템으로 디지털 시정구현의 기반이 된다.

  우리 시는 1998년 11월부터 시본청에 대하여 전자결재를 전면 시행하였고, 1999년 6월 전자결재에 대한 직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개선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서처리 속도가 향상되었다. 기존에는 결재완료후 문서를 발송하기 위해 문서통제, 복사, 발송의 절차를 거침으로써 보통 1건의 문서를 처리하기 위해 3~4일 이상이 걸렸으나 전자결재시스템 도입으로 버튼 하나만 클릭하면 사업소, 16개 구·군청의 담당부서까지 발송이 가능하여 문서처리 속도가 상당히 향상되었다.

  둘째, 용지 및 각종 소모품 비용이 10%이상 절감되었다. 실제 구매관련 회계문서를 조사한 결과 용지 및 문서복사와 관련된 토너, 드럼 등의 소모품 비용이 10%이상 절감 되었다.

  셋째, 전자결재시스템 도입으로 손쉽게 정보획득이 가능해지고 정보량이 많아졌다. 게시판을 통하여 업무에 필요한 정보가 월 400여건정도 게시되고, 조회횟수가 16만여회에 이를 정도로 직원간의 정보공유가 활발해지고 직원의 93%가 전자게시판을 통하여 정보를 얻고 있다고 할만큼 활성화되고 있다.

  1999년 9월 전자문서체계로 「사무관리규정」이 개정되고 직원들의 활발한 사용을 위하여 1999년 10월 전자결재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함과 동시에 1999년 12월 주전산기도 증설 추진하였다.

  2000년 10월에는 전자우편/게시판 사용을 시 산하 사업소까지 확대 보급하였으며, 전자결재 활성화를 위하여 반기별로 전자결재율을 조사하여 직원들을 독려하였고 2001년 1월부터는 매월 전자결재율을 조사하여 전자결재율 100%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2001년 7월에 전자정부법이 공포됨에 따라 행정기관의 모든 문서는 전자문서를 기본으로 하여 작성·관리하도록 규정되었다.

  시에서는 재정이 열악하여 전자결재시스템을 미도입한 구·군에 시비 지원은 물론 구·군 전자결재시스템의 원활한 운영과 조기 정착을 위하여 구·군의 5급이상 간부를 대상으로 시에서 전자정부법의 주요 내용과 부산시정보화기본계획 소개 및 전자문서의 유통에 대한 순회교육을 실시하는 등 전자정부 기반마련을 위한 직원 정보화마인드 향상에도 노력하고 있으며, 2002년 8월에는 시본청, 시산하 사업소, 16개 구·군이 전자문서 유통 및 통합우편/게시판까지 전면 시행되는 등 완벽한 전자결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2002년 현재 전자결재율은 100%에 이르고 있으며 직원들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전자결재시스템 활용 증가 추이

구    분

1999년

2002년

증가율

비 고

사용자수

1,400명

2,800명

100%

 

전자문서 보관건수

134,886건

417,031건

209%

 

전자결재율

65.7%

99%

50%

 

디스크 증가율(월)

10GB

34GB

240%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2)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 導入 및 運營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는 전자결재 문서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자결재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전자문서량(1998년 11월 ~ 현재)이 방대하여 추가 발생하는  전자문서를 보관할 시스템 여유공간이 부족하여 2001년부터 도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전자문서관리시스템은 2001년 초부터 도입이 추진되어 2001년 12월에 쌍용정보통신(주) 컨소시엄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2002년 4월 19일 개발을 완료하고 2002년 4월 20일부터 시본청 및 시산하 사업소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전자결재시스템에서 생산, 접수, 보관된 전자문서는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로 자동으로 이관 관리되며 이관된 전자문서는 전자문서 기안시 재활용이 가능하다.

  앞으로 도입·구축될 지식관리시스템(KMS), 기록물관리시스템과도 연계 추진할 계획이다.

  ※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 :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에 구축된 문서건수

(단위 : 건)

구  분

총 계

기안문서

접수문서

비고

총  계

927,003

379,770

547,233

 

1998년

8,235

3,044

5,191

 

1999년

134,886

49,835

85,051

 

2000년

150,597

49,429

101,168

 

2001년

216,254

92,616

123,638

 

2002년

417,031

184,846

232,185

 

자료 : 정보화담당관실


3) 지식관리시스템(KMS) 導入


  21세기를 시작하면서 지식정보화시대가 본격 추진됨에 따라 지식도시기반 구축을 위한 지식정보화 인프라 구축과 지식의 축적·공유·활용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 등 “지식시정 구현”을 시정의 최우선 목표로 추진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우리 시는 2000. 7월 지식관리시스템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였고, 2002. 12월 지식관리시스템 구축운영계획 수립 및 사업발주를 통해 2003년에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이러한 지식시정의 본격적인 추진을 위하여 2003년에 정보화담당관실내 지식정보화팀을 신설하고, 지식관리시스템 운영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지식전담관리자 지정, 지식평가 및 보상 등에 대한 제도를 마련하고 조직내 지식공유문화의 확산을 위한 각종 시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앞으로 핵심지식 확보, 지식공유 문화 정착 등 지식관리시스템이 본격 운영되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필요한 지식자료를 적기에 공급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신지식 경영행정 구축으로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를 이끌어 나갈 것이다.


4) 도시정보시스템(UIS) 構築


  도시규모의 확대로 인하여 도로, 상ㆍ하수도 등 도시기반시설의 종합적 관리와 각종 재난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체계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지상ㆍ지하의 각종 시설물과 관련대장 정보를 지형, 지적 등의 도면정보와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UIS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 첫 번째로 1995년부터 시작하여 1998년 완료된 기본지도(1/1,000) 수치지도 제작사업이 국가지리정보(NGIS) 구축 기본계획에 따라 국립지리원에 위탁 시행한 바 있다.

  1996년에는 GIS를 이용한 도시정보관리 전산화 기본계획 연구용역을 수행하여 다음해인 1997년 결과보고서가 나왔다. 이 기본계획에 의거하여 부산광역시 전체에 대한 5개분야(도로, 상수도, 하수도, 도시계획, 지적)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련 운영시스템 구축 사업이 1998년 시범사업(서구)을 시작하여 1999년 7월에 완료하였고, 1999년 12월부터 본사업을 시작하여 2003년까지 시 전역에 걸쳐 완료할 예정이다.

  부산광역시 UIS 구축사업은 도시기반시설물에 대한 조사 및 탐사를 통하여 통합적이고 합리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향후 과학적인 도시관리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며, 업무 프로세스 개선 등을 통한 업무의 효율화를 확보하고 유관업무 정보의 통합관리를 통한 행정의 과학화를 추구하며 인터넷 중심의 기능확대로 대시민 서비스 향상을 구현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그 간 도시정보시스템(GIS) 구축실적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베이스 구축

분  야

상수도

하수도

도로

지형도

새주소

배수관

급수관

관거탐사

관거조사

사업량

3,045㎞

5,468㎞

1,311㎞

4,505㎞

2,526㎞

456.75㎢

284.9㎢

   ○ 운영시스템 개발

    ·Client/Sever시스템 : 도로관리시시스템, 상수도관리시스템, 하수도관리시스템,

                          새주소관리시스템, 종합공사관리시스템

    ·인터넷시스템  : 도로굴착온라인시스템, 새주소안내시스템, 도로조회시스템

    ·인트라넷시스템 : 상수도정보조회시스템, 하수도정보조회시스템


5) 住民登錄管理業務 電算化


  행정전산망 사업으로 추진해온 주민등록관리업무는 1998년 239개 전동에 주전산기(AT)를 설치하여 주민등록 자료를 입력 완료하고, 1990년 7월 지역전산본부에 주민등록관리용 주전산기(톨러런트) 6대를 설치하여 구·군, 읍·면·동 등 관련기관과 전산망을 연결하여 거주지 동 단위 민원서비스를 개시한 후 1994년 7월부터는 거주지와 관계없이 전국 온라인 대민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1995년 5월에는 주민등록 전출입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 전출·입 신고를 1회로 통합하여 전입 즉시 민원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2002년 1월부터 자동차 등 타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소 변경사항 등을 자동으로 전송하여주고, 2003년 9월부터는 읍·면·동에 있는 주전산기(AT)를 구청 전산실로 이관하여 운영하고 있다.

6) 시군구행정종합정보화시스템 構築·運營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하는 최적의 민원행정통합서비스 정보화 모델을 효율적·체계적으로 설계·개발·구축하여 행정사무와 민원서비스의 획기적 개선을 위하여 1998년 1월부터 행정자치부 역점사업으로 시군구행정종합정보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1단계 사업은 1998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BPR/ISP를 통한 법·제도 개선, 업무분석을 실시하였고 1998년 9월부터 1999년 9월까지 10개 업무(지적, 보건복지, 농촌, 환경, 지역산업, 민원)등을 개발하여 시범적용을 거쳐 전 구·군에 확산되어 2000년 10월부터 민원서비스를 제공하여 무방문 또는 1회 방문에 의한 민원처리를 지원하고 민원첨부서류 폐지, 간소화 등 정보공동활용체계 구현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시행에 차질 없도록 하였다.

  2단계 사업으로 2000년 10월부터 2001년 5월까지 BPR/ISP를 통한 법·제도 개선, 업무분석을 실시하였고, 2001년 12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11개 업무(지역개발, 문화체육, 상하수도, 축산, 수산, 산림, 도로교통, 민방위, 내부행정, 호적, 재난재해)를 개발하여 2002년 9월부터 시범적용을 거처 2003년 3월까지 전 구·군에 확산되어 자료구축을 하고 있으며, 2003년 5월까지 완료하였다. 아울러, 2003년 2월 7일부터 지방자치 정보화의 초석이 되는 시·군·구 전자민원서비스가 시작됨으로 대도시나 농어촌, 저 멀리 섬 지역까지, 전국 어디서나 똑같은 전자민원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의 기초생활보장은 물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03년 9월부터는 읍·면·동에 있는 주민등록시스템을 자치구·군으로 이관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365일 ONE STOP 전자민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7) 無人民願發給機를 活用한 인터넷민원처리시스템


  우리 시에서는 안방민원정보시스템을 자체 개발 할 계획으로 2000년 본예산에 사업비 1.5억원을 확보하였으나 행정자치부에서 민원처리공개시스템을 개발 완료하여 시도에 무상 보급하고, 인터넷민원처리시스템 시범사업으로 개발하여 전국에 확대보급할 계획으로 있었다.

  이에 따라 우리 시를 인터넷민원처리시스템 시범사업 기관으로 지정하여 2000년 8월부터 표준모델 개발비 4억원(특별교부세)을 교부함에 따라 사업비 5.5억원으로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게 된 것이다.

  본 사업은 행정자치부 시군구행정종합정보화사업 2단계 선행사업의 구현모델을 제공하고 민원처리공개시스템 등과 연계하는 Web 기반의 키오스크를 활용한 민원처리(제 증명발급)와 전자민원처리 방법을 검증 제시하는 전자인증, 전자지불 기능제공, 디지털 부산카드 연계 등 IT기술을 이용하여 최상의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

  추진기간은 2000년 11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개발 및 시험운영을 하였으며, 11월부터 제증명 발급 등 민원서비스를 실시하였고, 2002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부산시 16개 구·군 48대의 무인민원발급기 중 관공서가 아닌 은행, 백화점, 대형 할인점, 재래시장, 지하철역 등에 11대를 설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8) 민원처리인터넷공개시스템 構築·運營


  2000년 11월 소프트웨어는 행정자치부에서 전국공통 표준 S/W로 개발하여 무상보급 받고, 하드웨어는 우리 시에서 구입하였으며, 2000년 12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기초자료를 입력하여 2001년 3월부터 본격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공개대상은 유기한 민원 1,402종(즉결민원, 등록 등은 제외)으로 이중 우리 시의 공개민원사무는 269종이며, 민원접수부터 완료까지의 전과정을 인터넷을 통하여 민원인이 볼 수 있도록 되어있다. 추진체계로는 주관부서→감사관실, 접수·운영→시민봉사과, 시스템운영·기술지원→정보화담당관실, 처리·운영→민원처리관련 부서로 되어 있으며, 운영방법은 민원인이 가정이나 직장에서 각종 민원을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면 우편 등으로 발급 받을 수 있고, 그 처리상황을 열람할 수 있다.


9) 행정전자서명시스템 構築·運營


  2001년 2월에 사이버 행정환경에서 안전한 전자문서 유통과 민원처리 등을 위하여 행정자치부에서 공무원에 대하여 보급하는 전자서명시스템은 공개키기반구조(PKI)에서 암호기술을 적용한 것이다. 전자관인 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2002년 4월까지 정부전자관인인증관리시스템을 확대 구축한 후 지방으로 확산토록 하여 우리 시에서는 2002년 10월 등록관리시스템 서버 및 S/W를 설치하고 12월까지 시 산하 직원에 대하여 행정전자서명을 보급하였다.

  이로써 G4C의 행정정보공동이용 등 사이버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정보이용을 가능케 하였고, 적용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10) 지방행정정보시스템 시·도 백업센터 構築·運營


  전자정부 구현 및 대민 서비스 핵심 전산망인 시군구행정종합정보시스템의 안정적 운영과 각종 재난·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시·도에 시·군·구 행정업무용 백업센터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2001년 12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시군구행정정보시스템 1단계 업무에 대한 자료를 백업체계를 구축하였고, 2단계 업무를 추가로 구축하기 위하여 2002년 12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수정·보완을 하였으며, 2단계가 완료되면 2단계업무에 대한 백업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시스템 개선을 준비하고 있다.

  3단계는 향후 시·군·구 주요 행정정보시스템에 대한 백업체계 구축과 각종 재난·재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11) 문화관광정보시스템(http://visit.busan.kr) 構築 運營


  문화관광시스템은 제14회부산아시아경기대회, 월드컵축구대회 등 4대 국제행사의 성공적인 개최 지원 및 문화관광진흥 지원을 위해 추진했던 사업으로서, 정보통신부의 정보화근로사업으로 채택되어 공공근로자를 활용하여 2001. 1월부터 약 6개월간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2001. 9. 1일 인터넷 공식서비스를 실시하였다.

  본 홈페이지는 한국어는 물론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4개국어로 구축되었으며, 부산에서 개최되는 각종 국내외 행사를 홍보하고 관광지와 음식점, 숙박시설, 교통편과 같은 여행정보와 문화, 공연 및 예술정보 등 부산의 각종 문화와 관광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뿐만 아니라 사진, VR, 동영상 등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자체 구축한 웹 GIS(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도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구축된 문화관광 콘텐츠의 현행화를 위해 계속적으로 수정보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언론 및 관광관련 사이트와 연계하는 등 유익한 콘텐츠를 추가 확보하고 외국인을 위해 외국어사이트를 더 보강하는 등 홈페이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12) 사이버해양박물관(http://seaworld.busan.kr) 構築 運營


  사이버해양박물관은 1997년 정보통신부의 정보화촉진기금 과제공모에 선정되어 국비 70%를 지원받아 추진된 사업으로 해양·수산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함으로써 부산의 이미지 제고와 해양관광, 레포츠 등 해양산업의 부가가치 제고, 해양수산 관련정보의 보고화 및 가상학습장으로 활용할 목적으로 1998년 7월에 개통하였다.

  1999년에 VR기법을 응용한 2차 구축사업이 한국전산원의 정보화지원사업(선도 응용 시범사업)으로 선정되어 전액 국비를 지원받아 2000년 5월에 완료하였으며, 3D가상 박물관 10여동을 구축하여 실제 박물관을 관람하는 느낌을 주도록 추진하였다.

  전체 구성은 어린이박물관을 포함한 13개 대분류 3,608개 항목 서비스로서 해양 및 수산분야의 방대한 자료를 수록하였다. 특히 동영상(VOD), 에니메이션 등은 전체가 510시간 분량으로 단순한 텍스트위주의 구성을 지양하고 해양·수산분야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상경력으로는 1998년 10월 동아일보·야후코리아 공동추천 베스트웹사이트로 월간인터넷 1998년 12월호에 “Best of 자연과학사이트” 2위, 2000년 6월 정보통신윤리위원회 “6월의 청소년권장사이트”로 선정된 바 있으며, 또한 21세기 해양수도 부산으로서 걸맞도록 특색있는 사이트로 발전시키기 위해 홈페이지 컨텐츠 일부(어린이박물관을 포함한 11개 대분류, 게시판, 묻고답하기 등)를 2002. 3. 1일자로 해양전문기관인 한국해양대학교에 위탁관리를 하고 있다.

  사이버해양박물관은 해양수산에 관한 많은 정보를 종합적으로 총망라한 해양수산정보의 바다이며 해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하는 미래형 전자박물관이다. 향후 지속적인 자료발굴 보완을 통해 과학적인 탐구가 가능한 청소년 해양교육장으로서의 기능과 초·중·고등학교의 수업에 활용하고(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부도 책에 소개됨) 건전한 놀이문화를 제공함으로써 청소년 문화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13) 부산인터넷교환센터(IX) 設立


  초고속인터넷의 이용자 및 인터넷 서비스제공사업자(ISP)가 증가됨에 따라 인터넷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어, ISP망간을 연동하고 있는 인터넷교환(IX, Internet eXchange)센터의 역할과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4개의 IX가 모두 서울지역에만 위치하고 있고 한 지역내 다른 ISP간 인터넷 연동시에도 서울에 위치한 IX를 경유하여 트래픽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어, 서울지역의 트랙픽 뿐만 아니라 지방내의 트래픽까지 서울을 경유하게 되어 불필요한 트랙픽이 서울로 집중되고 있다. 이로써 연동경로(Hop數)가 길어지고, 장애발생 빈도가 높아져 인터넷 품질이 저하되고 있어 정보격차의 한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지역 네트워크의 구조적 모순을 개선하기 위해 정보통신부(한국전산원)와  부산광역시가 부산시교육정보원(부산진구 양정동 소재)에 지역IX센터 1호를 공동으로 설립하기로 하여 2001년말부터 관련 자료조사, 연구용역, 현지실사 등을 추진하였고, 2002년 10월부터「부산IX센터」를 본격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기반시설, 네트워크 장비 및 통합관리시스템 설치에 들어갔다. 또한 부산IX의 성공적 운영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지역 정보통신관계자가 참여하는 「부산IX협의회」가 2002년 10월 발족되었다.

  지역 최초로 설립되는「부산IX센터」는 2001년 지역IX 필요성에 대한 연구용역을 시작으로 정보통신부(한국전산원)와 부산시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형태로써, 장비설치와 운영 등에 필요한 자금지원은 정보통신부(한국전산원)가, 부산IX센터 공간은 부산시가 제공하는 것으로 각각의 역할을 분담하였다.

  2002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부산IX센터 시설공사는 2003년 3월에 준공하여, 인터넷 서비스제공사업자(ISP)와의 시스템 연동시험을 거처 2003년 5월 21일에 부산시장, 정보통신부차관, 지역대학교수, ISP대표, 시민대표 등과 함께 부산IX센터 개소식을 가졌다.

  「부산IX센터」의 설립으로 부산지역의 인터넷트랙픽이 서울을 경유하여 처리되는 비효율적 구조를 개선할 수 있어 인터넷이용속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트래픽 분산으로 인터넷망의 효율성증대와 중앙과 지역간의 정보접근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의 정보통신관련 산업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4) 전국단일종합정보통신망 開通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광역화되고 있는 정보통신 수요에 대처하기 위하여 1998년 12월 전국의 공공기관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전국단일종합정보통신망을 구축하여 공공기관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팩스민원서류의 신속한 발급이 가능토록 하여 행정업무의 능률과 대민 서비스를 크게 향상시켰으며 사업소, 타 중앙행정기관을 신규로 추가 접속하여 행정업무의 원활한 추진과 공공요금을 크게 절감하고 있다.

  구축이후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여 당초에는 63개 기관 1,372회선에서 중계회선 469회선을 증설하고 2002년에는 3개기관 35회선을 증설하여 전국단일종합정보통신망의 안정적 운용의 정착으로 읍·면·동에서 전국 민원 온라인 FAX서비스를 완벽하게 지원함으로써 시외전화요금 없이 시내전화요금만으로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되어 FAX민원 수수료 인하로 시민의 수수료 부담을 년간 4억원 이상 줄여 시민으로부터 좋은 반응을 받고 있다.

  행정정보통신망 지역번호 체계를 “시외통화지역번호(DDD)”체계와 일치시켜 전국단일망 사용의 불편을 해소하였고, GPS를 이용한 디지털클럭 공급장치를 설치하여  통신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FAX민원 서비스를 받는 시민에게 민원서류의 화질을 향상시켜 시민 편의를 증진하였다.

  각종 재난 및 국가비상사태 등에 의한 유선통신망 단절 등의 긴급상황에 대비해 2001년 7월에는 부산시와 행정자치부간 구성된 초고속디지털통신회선 T3급(45Mbps)의 기존 회선에 우리나라 자체 보유위성인 무궁화 위성을 이용한 위성통신망 E1급(2.048Mbps)회선을 추가 개통하여 주요 통신회선을 이원화하여 각종 비상사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천후 행정종합정보통신망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시외중계교환기와 요금관리장치, 망관리 장치를 설치하여 행정전화를 이용하여 시외전화는 시내전화요금으로, 국제전화는 50%이상 할인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시민은 팩스민원 수수료를 52.8%인하된 비용으로 이용하게 되어 획기적인 행정통신 비용절감 및 시민 부담 경감이 되고 있는 등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

  향후에는 행정기관에 걸려온 민원전화를 다른 지역 행정기관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민원인의 편리를 제공하는 행정 서비스를 추진할 예정이며 또한, 행정정보 통신망의 원활한 지원을 위해 주요 전용회선 구간을 대용량 데이터 수용이 가능한 망구조 형태로 단계적으로 개선시켜 나갈 계획이다.


15) 부산광역시 정보고속도로 構築


  21C 지식정보사회의 동북아 중심도시로 성장하기 위하여 전자정부 구현과 도시경쟁력 강화의 핵심기반시설인 “부산광역시 정보고속도로”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보고속도로 구축 필요성은 민·관·산·학의 지역내 기관·단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Busan One’ 건설로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고 동북아 물류중심도시의 필수적인 “釜山디지털情報港(Busan Digital Info Port)” 건설을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며, 전자정부의 궁극적 비젼인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수단으로든 (3A)’ 온라인 대민 행정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전자정부 단일접근포털의 핵심인프라로 행정서비스를 중단없이(seamless) One-Stop으로 제공함으로써 노인·주부·장애인 등 정보화 소외계층에 대한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이용 기회 제공으로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통신회선 비용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대책 및 인터넷을 이용한 해킹, 바이러스, 스팸메일 등 사이버 테러로부터 보안성 확보 및 안정적 운용 등에 있다.

  본 사업은 부산시 266개기관(시본청1, 구·군 16, 동 221, 사업소28)을 지하철 노선을 따라 공동구를 활용하여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으로 2000년 부산발전연구원(BDI)이 사업추진 타당성검토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2001년~2003년 동안 전문가 자문위원단의 자문을 받아 2004년부터 단계별로 추진하여 2006년 완료할 계획이다.

  기대되는 효과로는 부산시 전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도시정보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을 구축함으로써 행정업무의 간소화·효율화·투명화를 추진하고 고품질·다양화하는 주민 요구에 대응한 질 높은 행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도시정보시스템(UIS), 지능형교통체계(ITS)의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와 영상회의, 전자도면을 첨부한 전자결재 등의 새로운 멀티미디어 행정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과 핫라인(Hot-Line) 구성으로 재해·재난의 신속한 긴급 상황 대처가 가능하고, 지역 교육기관 통합 커뮤니티 구축으로 국내·외 학교간 실시간 원격 강의·교육, 동영상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학술·연구, 교육정보의 공유 등 차세대 교육환경이 제공된다.

  또한 부산인터넷교환센터(IX)와 연동하여 차세대인터넷망(NGN-IPv6)을 통한 초고속정보통신 네트워크 기술, 초고속 응용서비스 및 관련 장치 연구개발 환경의 제공으로 지역 산·학·연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기술개발 사업을 독려하고, 국내·외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공동연구 기반을 조성하여 디지털콘텐츠, IT클러스트 등을 통한 지역 IT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도시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