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정
제1장 지세 및 기후
제2장 인구
제3장 도시계획
제4장 주택
도로 · 교량
제6장 상수도
제7장 하수도
제8장 사회복지
제9장 보건 · 위생
제10장 환경보전
제11장 공원 · 녹지
제12장 문화 · 관광 · 체육
제13장 산업경제
제14장 해운 · 항만
제15장 교통 · 통신
제16장 교육
제17장 치안
제18장 민장위 · 소방
제19장 지방의회운영
제20장 일반행정

第2節 釜山港 槪況


1. 釜山港의 現況


  부산항은 한반도의 동남단에 위치(북위35°06′07″, 동경129°04′02″)하고 있으며, 태평양과 아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관문으로서 대한해협에 접하고 있어 컨테이너선 등 기간항로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기후가 온화하고 수심이 깊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거의 없으며 영도를 자연방파제로 한 천혜의 양항으로 조선 세종 8년(1426년)에 부산포로 처음 문을 연 후 임진왜란(1529년)으로 폐쇄되었다가 강화도 조약의 체결(1876. 2.26)에 의하여 대외적인 정식 무역항으로 개항된 이래 오늘까지(2003. 2.26) 개항 127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2. 釜山港의 變遷


1) 釜山港의 歷史


  1876년 부산포라는 이름으로 개항하였으며 1906년에는 처음으로 부두축조공사를 시작하여 1945년까지 1·2·3·4부두와 중앙부두를 축조하여 근대항만의 위상을 갖추게 되었다.

  1974년부터 1982년 사이에 부산항 1, 2단계 개발사업을 추진하여 자성대 컨테이너부두를 비롯한 4개 전용부두와 국제여객부두 등을 축조하였고 1985년부터 1991년 사이에 부산항 3단계 개발사업으로 신선대컨테이너부두를 축조하였으며 1992년부터 1998년까지 4단계 개발사업으로 감만컨테이너터미널을 축조하여 늘어나는 컨테이너화물 수요에 적극 대처하게 되었으며, 2002년 2월에는 신감만부두를 개장하였다.

  또한, 계속하여 가덕도일원에 대규모 신항만 건설을 추진중에 있어 다가오는 "환태평양시대의 중심항"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부산항 개항 120여년의 역사

연 도

내 용

1911~1944년

제 1·2·3·4·5·6·8 물양장 및 제 1·2·중앙·3·4 부두와 적기 호안 축조

1959~1964년

제 7 물양장 축조

1963~1967년

남항 물양장 축조

1974~1978년

제 7·8 양곡부두, 국제여객 부두 및 연안여객부두 축조, 제 1·2 부두 개축

1974~1982년

자성대 컨테이너 부두(5·6 부두) 축조

1979~1982년

제 3·4, 중앙 부두 및 제 5 물양장 개축

1979~

감천항 개발

1985~1991년

신선대 컨테이너 부두 축조

1991~1997년

감만 컨테이너 부두 축조

1992~1996년

우암 컨테이너 부두 축조

1994~1999년

내륙 컨테이너기지(ICD) 조성

1996~

감만 컨테이너 부두 확장

1997~

부산 신항만 개발

1999. 5월

자성대부두 민영화

2002. 2월

신감만부두 개장


2) 運營現況


  개항 때에는 예조에 속한 부산(동래)감리서에서 업무를 관장하다가 한일합방과 더불어 일제 총독부 교통국에 소속되어 직영으로 운영되었으며 철도와 더불어 대륙 진출의 교두보와 식민지 수탈품의 수송로로 활용되었다.

  해방후 항만은 국유·국영이라는 기본골격이 그대로 유지되었고 5.16이후에는 항만의

계획·건설기능은 건설부에 이관되고, 항만의 관리·운영 기능만 교통부로 이관하여 운영하다가 현재는 일부 항만의 건설기능을 제외한 대부분의 항만운영이 해양수산부 산하 지방해양수산청에 귀속되어 있고, 컨테이너부두는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3) 行政機構의 變遷史


  항만행정기구의 변천사는 근대 무역항으로서 인천항, 원산항과 같이 조선후기 고종 13년인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항으로서 개항(1876.2.26)한 이래 부산항의 발전사와 더불어 행정도 시대의 소용돌이 속에 변천과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부산항은 일제강점기(1910~1944년), 해방이후 침체기(1945~1961년), 성장기(1962~1979년), 도약기(1980~2003년)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1910. 8. 29일 한일합방으로 주권을 상실한 일제치하에서 해사행정은 조선총독부 통치하로 편입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조선통신관서 관제(일칙령306호)와 세관관제(일칙령 362호)를 제정하였는데 당시에는 해사행정이 통신·세관으로 2원화 되었다.

  해방후 항만행정은 교통부에서 관장하였지만 1994년 유엔해양법 발효와 배타적 경제수역 확장시 해양관련 업무 분산으로 일관성있는 해양정책 추진이 곤란하여 1996. 8월부터는 해양수산부에서 항만행정 업무를 관장해 오고 있다.


항만행정기구 변천사

연   도

중앙기구

부산항기구

비       고

1876. 2.26

예조(禮曺)

감리서

부산항 개항

(조선조 고종13년)

1882.12.14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부산감리서

 

1894. 7.20

외부(外部)통상국

통상항해, 영사관직무, 통상보고

1900. 3.23

외부(外部)통신원

부산외교·해사, 선박, 선원사무

1905.11. 7

통감부

부산이사청

 

1910. 8.29

조선총독부

한일합방과 더불어 조선총독부로 해양업무 이관

1912. 4. 1

조선총독부

(체신국 해사과)

체신국

부산출장소

항로표지, 항로, 선박, 해원사무관장

1943.11. 1

조선총독부

(교통국 해사과)

부산부두국

 

1946. 3.29

미군정청

(운수부 해사국)

부산항무청

 

1946. 8

미군정청

(운수부 해사국)

부산항만청

 

1949. 2. 1

교통부(해운국)

부산해사국

1948. 8.15 대한민국 정부수립

(1948. 5.10 남한만 총선실시)

1955.12. 1

상공부

(해무청 해운국)

부산지방해무청

 

1961.10. 2

교통부 해운국

부산지방해운국

 

1973. 5.25

부산항만관리청

1962년경제개발5개년계획 시작,

산업구조개편, 생산규모 증대

1976. 3.13

교통부 항만청

부산지방항만관리청

 

1977.12.16

교통부 해운항만청

부산지방해운항만청

국제기구가 해운과 항만으로 분리되고 국제협력에 문제발생

1996. 8. 8

해양수산부

’94년 유엔해양법 발효 : 정부의 해양정책중요성 인식, 배타적 경제수역 확장

1997.5~현재

부산지방해양수산청

해양관련업무 분산으로 일관성있는 해양정책 추진 곤란

자료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백서 (2000년)


3. 釜山港의 施設能力


1) 構 成


  부산항은 북항(무역항), 남항(연안항), 감천항(어업항), 다대포항, 신항(무역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아시아 거점항만(Hub Port)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부산 신항만(컨테이너 전용부두 30선석)을 2011년 준공목표로(2006년 1차 개장) 사업을 시행 중에 있다.


2) 釜山港의 港勢


구  분

내           용

비 고

항      계

광안리 남단~동백섬~진해 명동신명 남단

 

항내수면적

             243Km²

 

해  안  선

              202Km

 

간만 의 차

              1.3m

 

수      심

          (-)5m ~ (-)15m

 

자료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백서(2000년)


부산항 항세도 도면

부산항 항세도 도면 입니다.


3) 施設能力


  부산항의 시설능력은 1912~1943년까지 제4부두 완성에 이르기까지 대륙침략을 위한 발판으로 건설하였으며, 안벽 5,033m(물양장 6,320m, 방파제 2,437m, 호안 9,757m) 등 대부분의 항만시설이 해방전에 개발되었다.

  대한독립(1945년)과 정부수립(1948. 8.15)후 6.25전쟁(1950년)으로 인하여 항만에 대한 투자가 전무하여 1973년까지 약 30여년간은 부분적 축항공사 외에는 개발을 수행하지 못한 상태였다.

  그러나 1단계 경제개발5개년 계획(1962~1966년)이 성공적으로 완수되는 1967년부터는 부산항 시설능력이 한계에 도달하리라는 것이 인식되어 1970년대부터 부산항종합개발의 제1단계 개발계획이 구체화되어 1974년부터 부산항 1, 2단계 개발사업(1974~1982년)을 추진하여 자성대 컨테이너 부두를 비롯한 4개 전용부두와 국제여객부두 등을 축조하였고 부산항 3단계(1985~1991년) 개발사업으로 신선대컨테이너부두를 축조하였다.

  1992년까지 개발된 안벽은 13,921m(물양장 3,985m)이며, 2000년까지 건설된 항만시설은 안벽 25,199m(물양장 1,528m)로 접안시설이 2배 가량 증가되었다.


부산항 시설현황

구    분

1992년

2000년

규    모

능    력

규    모

능    력

접안

시설

안  벽

13,921m

접안능력 86척

-북  항 77척

-감천항  9척

25,199m

접안능력 161척

-북  항 118척

-감천항  36척

-수영만   7척

물양장

3,985m

-

1,528m

-

돌  핀

4기

-

2기

-

보관

시설

창  고

야적장

16동 70천㎡

207천㎡

동시보관 148천톤

동시야적 498천톤

10동 32천㎡

189천㎡

동시보관  68천톤

동시야적 456천톤

C F S

C   Y

-

1,004천㎡

-

동시장치 53천TEU

5동 44.4천㎡

1,608천㎡

-

동시장치 141천TEU

연간

하역

능력

일  반

컨테이너

-

54,000천톤

1,860천TEU

-

91,046천톤

6,200천TEU

부두

면적

-

-

-

4,483,431㎡

-

자료:부산지방해운항만청,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백서(2000년)


4. 釜山港의 比重


1) 釜山港의 港灣 物動量


  부산항은 수출중심의 경제구조를 갖춘 우리나라 경제 발전의 주요거점 항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1992년의 경우 해상 총 수출화물의 46.5%, 컨테이너화물의 95.3%, 국제여객의 71.6%를 처리하여 수출입국의 전진기지로서 기능을 다하였으며, 이 때의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세계 6위의 항만위상을 가지고 있었다.

  1960년대 이전은 제1세대 항만으로서 재래화물이 주류를 이루었던 시기로 선박에 의한 화물이송과 낮은 부가가치의 단순 하역작업이 주류를 이루는 시기였고 제2세대 항만인 1980년대까지는 살물, 건화물, 액체화물이 주류를 이루는 시기로 부산항은 공업 수출품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여 왔으나 복합일관운송체제의 중심지 및 국제무역에서의 물류거점으로 항만을 인식하고 터미널기능의 강화 등 기술과 노하우가 지배하는 제3세대 항만이 출현한 1980년대 이후부터 부산항도 컨테이너화물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즉, 국제무역 환경이 국제무역중심지의 다양화와 국제경제단위의 블록화, 생산과 소비형태의 국제화, 새로운 운송요건의 등장 등 커다란 변화를 거치면서 화물 또한 일반화물에서 규격화된 컨테이너화물과 유류가 주종을 이룸으로써 부산항의 위상도 변천을 거듭하여 왔다.

  부산항은 1992년 대비 2002년말 현재 일반화물이 64.8백만 톤에서 165.7백만 톤으로 256% 증가하였으며, 특히 컨테이너 처리물량이 2,595천TEU에서 9,452천TEU로 365% 증가하여 컨테이너 처리량은 세계 6위에서 세계 3위 항만으로 성장하면서 그 위상이 강화되었다.

  국가 및 부산지역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총 컨테이너 화물의 79.5%와 일반화물의 17.7%를 처리하고 있고 부산신항만이 개장되면 세계 HUB항만으로 거듭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항의 항만 물동량 (10년 변화율)

구     분

전국(10개항만)

부산

부 산 항

비중(%)

1992년

2002년

증가(%)

1992년

2002

증가(%)

컨테이너(천TEU)

합계

2,798

11,890

425

2,673

9,452

354

79.5

소계

2,798

11,560

-

2,673

9,408

-

81.4

 

수입

1,190

3,645

-

1,131

2,729

-

74.9

 

수출

1,530

3,710

-

1,464

2,792

-

75.4

 

환적

78

4,205

-

78

3,887

-

92.4

연안

-

330

-

-

44

-

13.3

일반화물(천톤)

합계

454.4

935.2

206

64.8

165.7

256

17.7

여객(천명)

합계

9,071

10,533

116

1,821

1,678

92

15.9

국제

338

1,074

318

242

732

302

68.2

연안

8,733

9,459

108

1,579

946

60

10.0

자료 : 항만정보시스템 (http//210.97.3.8)


2) 港灣産業의 國家經濟 寄與度


  항만은 육상수송과 해상운송을 물리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물적유통을 원활하게 하고 생산능력의 증대, 시장의 형성을 촉진함과 동시에 소비를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컨테이너 환적화물의 증가로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항만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분석을 위해서는 항만산업의 구성에 대한 정확한 개념설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지만 아직 정부 통계상이나 선행연구에서 표준화된 정의가 수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나 항만산업의 개념적 구분은 화물의 적·하역에 수반되는 산업(항만운송사업, 창고업, 통관업)과 항만관련산업인 해운업(선박운항사업, 해운대리점)과 육상운송업, 항만의존산업(항만배후지의 생산활동 : 항만의존 제조업, 무역업, 금융업)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 있으나 실제는 많은 기능이 중복되어 명확한 구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2000년을 기준으로 국가경제에서 항만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종사자수는 75만5천명으로 국가 전체 취업자수의 3.1%에 달하며, 연간 매출액 63조7,440억원(5.3%), 부가가치 25조4,130억원(5.4%)를 창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항만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 산출량이 전산업 평균보다 70%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만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2000년 기준)

구       분

사업체수

(개사)

종사자수

(명)

연간급여액

(억원)

매출액

(억원)

부가가치

(억원)

전    산    업

3,013,417

24,780,000

2,251,440

12,130,630

4,703,290

항  만  산  업

100,963

755,873

96,070

637,440

254,130

1 차 효 과

(본원적효과)

소   계

100,963

339,874

52,500

340,510

138,880

항만산업

1,377

33,121

5,640

18,320

12,360

관련산업

99,586

306,753

46,860

322,190

126,520

2차효과(유발효과)

-

415,999

43,570

296,930

115,250

전국대비 비중(%)

-

3.1

4.3

5.3

5.4

자료 :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2002. 10월, 해양수산부)

  주  : 본 기여도 분석에서는 항만의존산업은 항만산업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간주하여 제외시켰으며 1차효과(본원적효과 : 항만산업, 해운업 및 항만관련 육운업 등 소위 항만관련산업에서 기인되는 고용·소득효과)와 2차효과(유발효과 : 항만관련산업의 타 산업에 대한 연관관계나 유발수요를 불러일으킴으로써 파생적으로 발생하는 고용효과)를 투입, 산출모형을 이용하여 유발효과를 산출하였음


3) 釜山經濟 寄與度


  부산시 전체 산업중 도소매 및 서비스업의 총생산액이 173,930억원(57.4%), 광업 및 제조업 55,210억원(18.2%), 운수 및 창고업 43,460억원(14.3%) 순으로 생산 지향적인 산업구조보다 소비 지향적인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도소매 서비스업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는 컨테이너화물, 기타 잡화화물의 취급과도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구조이다.

  현재(2000년) 우리나라 무역의존도는 73%이며 항만의존산업을 포함한 부산항의 지역 경제적 효과를 생산액기준으로 산정할 때 22.4%(항만산업7.02%, 항만의존산업 15.4%)을 점하고 있으며, 이는 항만산업에 수산업과 항만의존산업인 에너지자원, 금속광석, 어망, 펄프, 금속, 일부가전제품 등의 산업을 포함하지 않은 통계로서 수산업과 항만의존산업을 포함하면 항만의존도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부산항의 항만산업 및 항만관련산업의 직·간접효과

산         업

사업체수(개)

종사자수(명)

총생산액(백만원)

전  체  산  업

260,784(100%)

1,024,253(100%)

30,303,009(100%)

농업, 임업 및 어업

133(0.05%)

4,134(0.4%)

659,000(2.2%)

도소매 및 서비스업

201,865(77.4%)

648,513(63.3%)

17,393,000(57.4%)

광업 및 제조업

27,906(10.7%)

226,726(22.1%)

5,521,000(18.2%)

건   설   업

4,361(1.67%)

35,942(3.5%)

2,384,00(7.9%)

운수창고 및 통신업

26,519(10.17%)

108,938(10.64%)

4,346,009(14.34%)

항  만  활  동

8,255(3.17%)

41,509(4.05%)

1,209,120(3.99%)

 

항만산업

152(0.06%)

16,092(1.57%)

285,745(0.94%)

 

항만관련산업

8,103(3.11%)

25,417(2.48%)

923,375(3.05%)

항만산업의 생산유발효과

-

-

917,325(3.03%)

 

후방효과

-

-

452,154(1.49%)

 

전방효과

-

-

465,180(1.54%)

지역경제적효과

-

-

2,126,445(7.02%)

자료 :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02.10, 해양수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