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정
제1장 지세 및 기후
제2장 인구
제3장 도시계획
제4장 주택
도로 · 교량
제6장 상수도
제7장 하수도
제8장 사회복지
제9장 보건 · 위생
제10장 환경보전
제11장 공원 · 녹지
제12장 문화 · 관광 · 체육
제13장 산업경제
제14장 해운 · 항만
제15장 교통 · 통신
제16장 교육
제17장 치안
제18장 민장위 · 소방
제19장 지방의회운영
제20장 일반행정

第4節 釜山港의 開發과 建設


1. 港灣開發 現況


  근대항만은 1876년 부산포라는 이름으로 개항과 더불어 청나라가 통상무역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하여 부산해관(세관) 용지매립과 확장공사(1888년)를 시행한 것이 국제항으로서의 효시가 되었다.

  1906년에는 처음으로 부두축조공사를 시작하여 1910년 한일합방이후 일제에 의해 대륙진출의 교두보와 식민지 수탈품의 수송로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산세관과 대교일대를 매립하여 제1부두와 소형선 부두 건설(제1기 : 1911~1918년)과 축항공사(제2기 : 1919~1927년)를 거쳐 제2, 3, 4, 중앙부두(제3기 : 1941~1944년)을 완료하여 1945년까지 1, 2, 3, 4부두와 중앙부두를 축조하여 근대항만의 위상을 갖추게 되었다.

  대한독립(1945년)과 정부수립(1948.8.15)후 6.25전쟁(1950년)으로 인하여 항만에 대한 투자가 전무하여 1973년까지 약 30여년간은 부분적 축항공사 외에는 개발을 수행하지 못한 상태였다.

  그러나 1단계 경제개발5개년 계획(1962~1966년)이 성공적으로 완수되는 1967년부터는 부산항 시설능력이 한계에 도달하리라는 것이 인식되어 1970년대부터 부산항종합개발의 제1단계 개발계획이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1974년부터 부산항 1,2단계 개발사업(1974~1982년)을 추진하여 자성대 컨테이너부두를 비롯한 4개 전용부두와 국제여객부두 등을 축조하였고 부산항 3단계(1985~1991년) 개발사업으로 신선대컨테이너부두를 축조하였다.

  부산항은 4단계 개발사업(1992~1998년)으로 감만 컨테이너터미널을 축조하여 늘어나는 컨테이너화물 수요에 적극 대처하게 되었으며, 2002년 2월에는 신감만 부두를 개장하였으며, 계속하여 가덕도일원에 대규모 신항만 건설을 추진중에 있어 다가오는 "환태평양시대의 중심항"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지난 10년간 부산항의 시설능력은 접안시설(안벽, 물양장, 돌핀)중 안벽은 11,278m 증가하였고, 보관시설(창고, 야드장, 컨테이너 야드)은 시역내 ODCY를 이용하여 항만내 창고시설은 감소하였으나 연간하역능력 면에서 증대를 가져왔다.


2. 釜山港 主要開發事業


1) 1段階 開發事業(1974~1978年)


  정부의 1단계 경제개발5개년 계획(1962~1966년)이 성공적으로 완수되는 1967년부터 부산항 시설능력이 한계에 도달하리라는 것이 인식되어 1970년대부터 부산항종합개발의 제1단계 개발계획이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다.

  1974년부터 시작된 부산항 1단계 개발사업(1974~1978년)은 제5부두(컨테이너 및 양곡), 제7부두(석탄, 광석, 고철), 제8부두(군용), 국제 및 연안여객부두의 축조가 주종을 이루며, 기존의 제1,2부두 개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구   분

사업량

사업비

(억원)

효   과

접안능력(척)

연간하역능력(만톤)

 

912

 

 

제5부두(컨테이너, 양곡)

제7부두(석탄, 광석, 고철)

제8부두

국제여객부두

연안여객부두

안벽 1,030m

안벽  657m

안벽 1,032m

안벽  320m

터미널 1동

334

119

127

69

 

 

33 → 52 

(최대 5만톤급) 

 

 

 

 

 

700 → 1,400

(컨테이너36만TEU)

기타

잔교  250m

        1식

 

 

 

자료 : 해운항만청(항만건설사, 1978년)


2) 第2段階 開發事業(1979~1983年)


  제2단계개발사업은 격증하는 컨테이너 물동량을 원활히 처리하기 위한 제6부두의 신규축조 및 하역장비의 설치를 중심과제로 하고, 기존의 제3·4·5·중앙부두의 물양장 개축이 제2단계사업으로 시행되었다.

구   분

사업량

사업비

(억원)

효   과

접안능력(척)

연간하역능력(만톤)

-

1,016

-

-

제6부두(컨테이너)

제4부두 물양장, 상옥개

제3·중앙부두개축, 상옥개수

하역장비

기타

안벽 603m

안벽보수 1,690m

안벽보수 1,790m

컨 크레인

1식

490

61

83

95

287

2(5만톤급)

-

-

-

-

1,400 → 1,960

컨테이너36 → 90만TEU

-

-

-

-

자료 : 해운항만청(부산항개발 제2단계 공사지, 1986년)


3) 第3段階 開發事業(1985~1991年)


  부산항 3단계개발사업은 급증하는 컨테이너 화물의 원활한 처리와 1990년대 항만수요에 대비한 외항개발의 필요성에 의하여 1985년부터 사업비 2,822억원을 투입하여 방파제, 신선대컨테이너부두안벽, CY단지조성, 하역장비, 배후수송시설을 확충하였다.


구   분

사 업 량

사 업 비

(억원)

효   과

접안능력(척)

연간하역능력(만톤)

 

2,822

 

 

·신선대부두

   방파제

   CY조성

   CFS동

   하역장비

안벽 900m

1,705m

268천평

1동

31기

1,663

79→82

(5만톤급 3척 증가)

3,350→4,877

컨테이너 126→222만TEU

·배후수송망

   진입도로

   배후도로

   진입철도

 

2.5㎞ 

3.7㎞ 

2.5㎞ 

1,159

 

 

자료 : 해운항만청(부산항3단계 개발사업 공사지, 1992년)


4) 第4段階 開發事業(1991~1997年)


  부산항은 1990년대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최대의 해상관문인 동시에 국제 컨테이너 기간항로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나 시설부족으로 체선·체화가 발생되어 외국선사의 부산항 기피현상이 발생하였다.

  시설의 확충 없이는 해상 물동량 처리가 불가할 뿐만 아니라 피더항으로 전락할 우려가 제기되어 정부에서 1,430억원,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이 3,293억원 등 총 4,723억원을 투입하여 감만컨테이너부두 1,400m 및 배후수송시설 7.9㎞ 등 제4단계 개발사업을 시행하였다.


구   분

사업량(m)

사업비

(억원)

효   과

접안능력(척)

연간하역능력(만톤)

 

4,724

 

 

·감만부두(공단)

    호안

    CY조성

    하역장비

안벽 1,400m

1,000m

750천평

8기

3,293

82→86

(5만톤급 4척 증가)

컨테이너 222→342만TEU증가

·배후수송망(정부)

    진입도로

    항로준설

    안벽 및 설계

 

7.9㎞ 

3,836천㎡ 

안벽 571m 

1,431

 

 

자료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백서(2000년)


5) 牛岩埠頭 開發(1991~1997年)


  급증하는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당초 다목적부두로 축조한 제7부두의 확장공사를 착수하였다. 그러나 해운항만청은 1994.9월 동북아교역의 증가로 중소형 컨테이너부두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연안운송을 확대하기 위하여 피더선 전용부두를 건설하기로 방침을 변경하여 운영시설에 대한 공사를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에 위임하였다.

  컨테이너 운송의 근해항로는 4개 항로(부산→러시아, 부산→일본, 부산→중국, 부산→동남아시아)로서 평균선형이 3,000톤급 280TEU에 불과하였다.

  이들 근해항로에 취항하는 선박은 향후 대형화 추세를 감안하더라도 20,000톤급이하의 소형선이 주류를 이룰 것으로 전망되었다.

  한국컨테이너 부두공단은 공사비 185억을 투입하여 크레인 레일기초, 컨테이너 야드를 조성하였으며, 350억을 들여 안벽 등 기능시설 축조공사에 들어가 (공사기간 : 1995. 8. 4~1997. 7.25일) 3선석(2만톤급 1선석, 5천톤급 2선석) 공사를 완료하였다.


6) 甘泉港 開發(1979~1999年)


  감천항은 북항의 보조항으로 원양어업기지, 중소조선단지 거점으로 연안화물을 비롯한 고철, 양곡, 시멘트 등의 전용부두기능을 위해 감천항 개발기본계획에 따라 건설(1979~1999년)되었다.

  감천항은 1978년 감천항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나 예산부족으로 미루어오다가 부산항의 시설능력이 한계에 부딪히자 민간기업을 참여시키기로 방침을 결정하고 동양시멘트와 16건의 민자유치계획을 수립, 국무총리실 승인을 얻어 정부는 외곽 방파제 및 공용부두건설을, 민간기업은 전용부두건설을 담당하여 공사에 착수하였다.

  1984년 10월 사우디아라비아측과 차관협정을 체결하여 미화 5천만불(17,400만리얄)의 차관을 4년 거치 12년 분할상환에 연이자 4%의 조건으로 들여와 공사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으며, 감천항 개발사업비는 총 2,950억원(정부 1,340억, 민간 1,610억)이 투입되었다.


7) 釜山港 擴充事業


  ① 자성대부두 개축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은 1991년 동북아지역의 고도성장에 따른 국제화물의 수요증가와 육상교통 체증에 따른 연안수송의 급격한 신장에 대처하기 위하여 피더선 부두를 건설하여 물류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출입컨테이너화물의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고 자성대부두의 운영효율화를 기하기 위하여 미군 35보급창에 사용 중이던 재래부두 1선석을 인수하여 1만톤급 1개선석 컨테이너 부두로 개축하기로 하고,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은 해운항만청 및 미군당국과 반환문제에 대한 협의를 1991년 11월 시작하여 1993년 6월 국방부을 통하여 부두의 반환을 요청하였다.

  미군당국은 1994년 6월에 공동상용 조건으로 협조의사를 밝힘에 따라 비관리청항만공사로 자성대부두 개축공사를 시행(1995. 5. 8~1996. 8. 24일, 쌍용건설외 2개사)하여 1개 선석(65번 선석으로 185m의 안벽)을 추가 확보하게 되었다. 이로써 자성대부두는 안벽 1,477m, 접안능력 5개 선석(5만톤급 4선석, 1만톤급 1선석)을 구비하였고, 하역능력 또한 100만TEU에 이르는 컨테이너 부두로 발전하게 되었다.


  ② 신선대 컨테이너 부두확충

  신선대부두는 5만톤급 컨테이너 전용부두로 설계하여 준공하였으나 급증하는 컨테이너 물동량으로 인한 체선 체화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1991년 6월 신선대부두운영을 개시하자 일반부두에서 처리하던 컨테이너화물이 신선대부두로 급격히 전이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국제 컨테이너선박이 포스트 파나막스급으로 대형화됨에 따라 신선대부두의 운영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신선대부두의 운영선사인 동부산컨테이너터미널은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에 1개 선석의 추가건설을 건의(1994년 2월)함에 따라 관련단체 협의회를 거쳐 부두확장의 필요성을 검토하여 1994년 4월 사업계획을 확정하였다.

  1995. 3. 31일 비관리청 항만공사 실시계획이 승인됨에 따라 신선대부두 300m을 확충(공사기간 : 1995. 5. 8~1997일, 215.2억원, 쌍용건설, 동양건설)하여 5만톤급 1개 선석과 갠트리크레인 등 하역장비(1994.12.30~1996. 8.16일, 74.2억원, 대우중공업)를 확충하게 됨에 따라 연간 32만TEU 처리능력 증대를 가져와 5만톤급 4개 선석에 128만TEU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③ 감만컨테이너 부두의 확장

  감만컨테이너부두는 부산항 제4단계 개발사업으로 5만톤급 4개 선석의 컨테이너전용부두로 개발되었다. 이때 부산항은 자성대, 신선대부두 등 5만톤급 대형부두였다.

  해운항만청에서 발주하여 1993년 8월에 준공된 항만 적정능력 산정 및 개발기본구상의 제1, 2차 보고서에 따르면 고베, 홍콩, 카오슝항 등에서 처리된 동북아 환전화물은 1991년 현재 386만TEU로 동북아 컨테이너물동량의 20%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3.62%를 처리하는 정도였다.

  우리나라 수출입화물의 주 발생지가 경인지역으로서 육송 이동량을 해송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피더부두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중국경제가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었기 때문에 그에 따른 해상물동량도 빠른 속도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어 중국화물을 환적할 수 있는 시설도 시급히 요망되었다.

  이에 해운항만청은 감만동 지선에 540m의 안벽을 조성하여 5개 선석(2만톤급 3선석, 5천톤급 2선석)의 피더부두 건설을 목적으로 실시설계를 거쳐 1995. 2. 24일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에 건설 및 관리를 의뢰하였다.

  그러나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부산항의 하역능력과 향후 추세를 감안하여 중소형부두보다 5만톤급 컨테이너부두로 개발해야 한다는 타당성에 입각하여 안벽을 당초 540m에서 826m로 (5만톤급 2개 선석, 5천톤급 1개 선석) 계획을 변경하여 1996. 7. 19일 해운항만청으로부터 항만기본계획 변경(해운항만청고시 1996-28호) 승인을 받았다.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은 1,781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826m의 안벽과 308천㎡의 CY부지를 확보하는 공사를 1995. 8월~2002. 2월까지 시행하여 연간처리능력이 48만TEU 증가되어 연간 하역능력은 168만TEU가 되었다.


8) 現在의 港灣(2002年)


  ① 북항의 컨테이너 부두

구  분

자성대

신선대

우암부두

감만부두

감천부두

신감만부두

부두면적(㎡)

647,426

1,038,534

159,258

750,000

142,333

308,000

3,045,551

CY면적(㎡)

394,312

671,549

124,838

336,000

85,561

153,000

1,765,258

안벽길이(m)

  1,447

  1,250

500

  1,400

600

826

5,177

하역장치(기)

59

44

43

45

14

22

227

선 석 수(척)

5

4

3

4

2

3

21

동시

접안능력(척)

5만톤 4

1만톤 1

5만톤 4

2만톤 1

5천톤 2

5만톤 4

5만톤 2

5만톤 2

5천톤 1

5만톤16, 2만톤1

1만톤 1, 5천톤3

처리능력

(년,만TEU)

120

120

27

120

34

65

486

전면수심(m)

12.5

14

11

15

15

15

-

개장년도

1978, 1982

1991

1996

1998

1997

2002

-


  ② 북항의 일반부두

구  분

중앙부두

제1부두

제2부두

제3부두

제4부두

제5부두

(양곡)

제7부두

제8부두

(군용)

총면적(㎡)

51,976

85,238

58,789

107,358

137,837

103천톤

31,195

-

472,393

안벽길이(m)

646

1,089

924

1,145

1,311

371

667.5

1,001

7,155

수  심(m)

8-9

6-11

8-11

8-9

8-9

11

7-12

8-12

8-12

선석수(척)

4

7

5

7

7

1

4

7

42

연간처리능력

(천톤)

1,364

341

1,805

2,570

2,315

1,400

1,739

-

11,534

  ③ 감천항 부두

피면허인

매립목적

매립면적

(㎡)

접안능력

면허일

준공일

안벽(m)

능력(척)

1

중앙부두

국가 사용

33,435

1181

5만톤(2), 5천톤(2)

-

-

2

남성조선(주)

임항창고 및

야적장부지

41,887

258

2천톤(3)

1982. 1.30

부분준공

(1999.12.31)

3

강남정공(주)

임항창고및연안 화물부두부지

29,270

273

5천톤(1), 3천톤(1)

1981. 4.28

1999.12.31

4

(주)한일냉장

임항창고및연안 화물부두부지

25,124

150

8천톤(1)

1981. 4.28

부분준공

(1999.12.31)

5

동원산업(주)

냉동창고부지

16,107

150

6천톤(1)

1985. 7.24

부분준공

(1999.12.31)

6

동양시멘트(2차)

          (3차)

시멘트부지 및

항만부지

40,625

26,180

386

286

2만톤(1)

2만톤(1)

1981. 9.24

1991.11.12

1999.12.31

7

웅도(미행산업)

다목적화물 및

원양어업기지

84,949

390

1만톤(2)

1984.11.13

1999.12.31

8

원양어업개발

원양어업전용

부두축조

169,778

1,055

1만톤(1),5천톤(4)

1천톤(4)

1991. 6.10

2000.6.30

9

준설토 투기장

국가 사용

130,248

1,017

-

-

투기중

10

한보철강(주)

공장부지

64,600

420

5천톤(3)

1981. 9. 1

준 공

11

김지홍

조선소부지

19,839

 

 

1985. 7.14

준 공

12

한진종건(주)

다목적야적장

부지

96,030

382

1만톤(2)

1985. 2. 4

2000.6.30

13

쌍용양회(주)

조선소부지

32,242

-

-

1975.12.31

2000.6.30

14

(주)강남

조선소부지

39,079

-

-

1975.12.31

준 공

15

(주)강남

조선소부지

13,041

-

-

1984. 4.24

준 공

16

(주)모든

공장부지

69,020

210

2만톤(1)

1981. 5. 6

2000.6.30

17

제일제당(주)

공장부지

171,040

380

5만톤(1)

1981. 4.28

부분준공

(2000.6.30)

18

(주)한진해운

다목적화물

야적장부지

85,151

57,182

300

300

5만톤(1)

5만톤(1)

1981. 4.28

1982. 7.13

부분준공

(2000.6.30)

19

한국선박기관

수리협동조합

선박수리단지

286,160

-

-

1981. 7. 8

-

17개 업체

1,400,739

6,121

5만톤(5), 2만톤(3),

1만톤(7), 5천톤(11),

2천톤이하(8)

-

-

자료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3. 釜山新港灣 開發


  21세기 동북아 중심항만(Hub-Port) 지위 선점과 항만시설 확충으로 부산항의 만성적인 체선·체화를 해소하고 물류비용 절감으로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컨테이너부두 30선석의 신항만 건설사업을 1997년 11월 착공하여 2002년말 기준 2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 사업개요

    - 규  모 : 컨테이너부두 30선석, 부지조성 324만평

       ·1단계(2008년) : 컨테이너부두 13선석, 부지 182만평

       ·2단계(2011년) : 컨테이너부두 17선석, 부지 142만평

    - 사업비 : 7조4,979억원(정부 3조7,982억원, 민간 3조6,997억원)

    - 사업기간 : 1995~2011년

    ※ 배후수송로 : 도로 22.9㎞(미개설 14.4㎞ 3,109억원), 철도 38.8㎞(9,250억원)


  ○ 투자계획

(단위 : 억원)

구 분

2002까지

2003투자

향후투자

74,979

13,834

6,129

55,016

정부공사

37,982

11,075

2,631

24,276

민자공사

36,997

2,759

3,498

30,740


  ○ 선석확보 계획

(단위 : 척)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선석수

3

3

1

10

4

4

5

누  계

3

6

7

17

21

25

30


  국내 유일의 국제경쟁력을 갖춘 부산항의 집중 투자를 통하여 경쟁항만인 중국 상해항과 경쟁을 위해서는 2011년까지 완공하도록 되어 있는 신항만건설을 조속히 추진하여 항만 물동량 선점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으로 부산신항 최초 개장을 2006. 1월, 3선석을 먼저 개장하도록 계획하였다.

  현재 정부에서는 전국 균형개발 논리에 따라 한정된 정부재정을 광양과 부산에 분산 투자함으로 국제항만과의 경쟁력 약화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부산시에서는 정부와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재정투자의 집중을 통해 신항만의 조기건설을 추진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항만 물동량에 대비한 제2신항 건설계획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구 분

2002년

2006년

2011년

2020년

비    고

예측물량

(천TEU)

9,436

11,094

14,038

22,688

-2006년 물량을 2003년에 상회할

  것으로 예상

-2020년 물량에는 32선석 이상

  추가건설 필요

자료 : 해양수산부 2차 전국무역항 기본계획(2001.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