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정
제1장 지세 및 기후
제2장 인구
제3장 도시계획
제4장 주택
도로 · 교량
제6장 상수도
제7장 하수도
제8장 사회복지
제9장 보건 · 위생
제10장 환경보전
제11장 공원 · 녹지
제12장 문화 · 관광 · 체육
제13장 산업경제
제14장 해운 · 항만
제15장 교통 · 통신
제16장 교육
제17장 치안
제18장 민장위 · 소방
제19장 지방의회운영
제20장 일반행정

第3節  廢棄物 管理

1. 槪 說

  인구증가, 도시 집중화, 산업 고도화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쓰레기 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왔으며, 그 성상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이 적정하게 처리되지 않을 경우 시민보건 문제뿐 아니라 대기·수질 및 토양의 오염원인이 되므로 쓰레기에 대한 위생적이고 적정한 처리의 필요성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특히, 1992. 12. 8일 제정된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에 따라 과거의 사후적 폐기물관리에서 폐기물의 감량 및 재활용 촉진을 통한 예방적 폐기물관리정책으로 전환하게 되어 대량생산·대량소비·대량폐기라고 하는 현대의 사회구조형태로부터 3R (Recycling, Reuse, Reduction)개념에 충실한 자원순환형 사회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2. 쓰레기 發生量


1) 全體 廢棄物


  폐기물의 전체 발생량을 살펴보면 1993년 5,748톤/일에서 2002년 13,693톤/일로 138.2%가 증가하였고 종류별로는 생활계 폐기물은 점차적으로 감소한 데 비해 사업장 배출시설계 폐기물이 1993년 대비 296.1%가 증가하였고, 건설 폐기물은 집계가 시작된 1996년 대비 234.5%로 증가하는 등 해가 거듭될수록 사업장 및 건설폐기물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생활계 폐기물의 발생량이 감소한 주요원인은 그 동안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쓰레기 감량시책이 성과를 거둔데 따른 것이며, 경제규모의 확대 및 산업활동의 증가로 사업장 배출시설계 폐기물과 건설폐기물은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도별 폐기물 발생량

(단위 : 톤/일, %)

    구분

연도

종류별 폐기물발생량

총계

생활계폐기물

사업장배출시설계 폐  기  물 건  설 폐기물

소계

생  활

폐기물

사  업  장

생활계폐기물

1993

5,748(100)

5,047(87.7)

-

-

701(12.3)

-

1994

6,815.7(100)

4,590(67.3)

-

-

2,225.7(32.7)

-

1995

7,706.9(100)

4,280(55.5)

-

-

3,426.9(44.5)

-

1996

8,777(100)

4,311(49.1)

3,540

771

2,409(27.4)

2,057(23.4)

1997

10,258(100)

4,146(40.4)

3,386

760

2,195(21.4)

3,917(38.2)

1998

9,900(100)

3,892(39.3)

3,191

700

2,206(22.3)

3,802(38.4)

1999

10,000(100)

3,934(39.3)

3,059

875

2,023(20.2)

4,043(40.5)

2000

11,239(100)

4,077(36.3)

3,088

989

2,035(18.1)

5,127(45.6)

2001

11,723(100)

4,053(34.6)

3,068

985

2,074(17.7)

5,596(47.7)

2002

13,693(100)

4,031(29.4)

3,022

1,009

2,781(20.3)

6,881(50.3)

자료 : 청소관리과

주  : 「 - 」는 분류체계변경에 따라 자료가 없는 것이며, 1993년~1995년까지는 생활계폐기물이 생활폐기물과 사업장 생활계 폐기물로 구분되지 않았음.


2) 生活界 廢棄物


  생활계 폐기물 발생량은 1993년 5,047톤/일에서 2002년 4,031톤/일으로 지난 10년간 오히려 20.1% 감소하였으며, 1일 1인 발생량도 1993년 1.31kg에서 2002년 1.08kg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그 동안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쓰레기 감량 및 재활용시책과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1회용품 사용억제 등의 성과에 기인한 것이다.

연도별 생활계 폐기물의 발생량

    구분

연도

생활폐기물관리구역면적(㎢) 생활폐기물관리구역인구(명)

생활계

폐기물발생량

(톤/일)

1일 단위면적 생활계폐기물 발생량(톤/일/㎢)

1일 1인 생활계폐기물 발생량(㎏/일/인)

1993

531.06

3,868,429

5,047

9.54

1.31

1994

531.17

3,846,544

4,590

8.64

1.19

1995

748.92

3,892,972

4,280

5.71

1.09

1996

749.37

3,878,918

4,311

5.76

1.11

1997

729.85

3,865,114

4,146

5.68

1.07

1998

731.95

3,842,834

3,892

5.38

1.01

1999

737.16

3,831,454

3,934

5.34

1.03

2000

737.16

3,812,392

4077

5.53

1.07

2001

740.92

3,786,033

4,053

5.32

1.07

2002

741.87

3,747,369

4,031

5.43

1.08

자료 : 청소관리과


3) 飮食物쓰레기


  음식물쓰레기는 종전에는 분리수거를 하지 않고 일반쓰레기와 혼합 배출하였으나 매립처리할 경우에는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및 토양오염이 가중되고, 소각 처리할 경우에는 다이옥신 발생이 우려되어 1990년대 중반부터 감량 및 분리수거를 통한 자원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발생량이 1993년 2,026톤/일에서 2002년 970톤/일으로 감소하였고 1인당 발생량도 1993년 524g에서 2003년 259g으로 감소하여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였다.

연도별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

           구분

  연도

생활계폐기물

발생량(톤/일)

생활폐기물관리

구역인구(명)

음식물쓰레기

발생량(톤/일)

1일 1인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

1993

5,047

3,868,429

2,026 (40.1%)

524

1994

4,590

3,846,544

1,568 (34.2%)

408

1995

4,280

3,892,972

1,519 (35.5%)

390

1996

4,311

3,878,918

1,411 (32.7%)

364

1997

4,146

3,865,114

1,396 (33.7%)

361

1998

3,892

3,842,834

1,130 (29.0%)

294

1999

3,934

3,831,454

1,014 (25.9%)

265

2000

4,077

3,812,392

1,002 (24.4%)

263

2001

4,053

3,786,033

998 (24.6%)

264

259

970 (24.1%)

3,747,369

4,031

2002

자료 : 청소관리과


3. 淸掃人力 및 裝備


1) 淸掃人力


  문전수거 시행, 재활용품 및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 등 서비스의 향상과 청소행정 수요 확대 등의 영향으로 청소인력은 1993년 2,818명에서 2002년 3,882명으로 37.7%가 늘어났다.


연도별 청소 종사인력

구분

연도

기본현황

인  력 (명)

동수

면적 (㎢)

세대수 (천세대)

구청직영

민간대행

소계

운전원

수거원

가로

청소

운전원

수거원

1993

231

531.06

1,090

2,818

2,099

216

539

1,344

719

301

418

1994

234

531.17

1,100

2,890

2,151

210

615

1,326

739

311

428

1995

239

748.92

1,132

2,986

2,211

246

655

1,310

775

317

458

1996

239

749.37

1,149

3,240

2,355

255

776

1,324

885

333

552

1997

239

729.85

1,168

3,466

2,202

260

771

1,171

1,264

376

888

1998

223

731.95

1,173

3,537

2,176

254

946

966

1,361

367

994

1999

220

737.16

1,187

3,364

2,141

217

970

954

1,223

347

876

2000

220

737.16

1,199

3,285

1,891

184

837

870

1,394

366

1,028

2001

220

740.92

1,211

3,711

1,826

174

795

857

1,885

373

1,512

2002

220

741.87

1,220

3,882

1,748

159

786

803

2,134

418

1,716

자료 : 청소관리과


2) 淸掃裝備


  청소장비로는 1982년 8월부터 도입하여 운행을 시작한 압축·압착식 차량과 암롤차량이 대부분이었으나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에 따른 악취발생과 침출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1998년부터 음식물쓰레기 수거전용차량 도입을 시작하여 2002년 12월말 현재 86대가 보급되어 정착단계에 있으며, 2001년부터는 월드컵 및 아시안게임 등에 대비하여 청결한 가로환경 유지를 위해 가로청소용 진공흡입청소차량을 도입·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연도별 쓰레기 수집, 운반 장비

(단위 : 대)

    구분

연도

압축, 압착

암롤

덤프

음식물쓰레기

전용차량

진공흡입

청소차량

기타

1993

198

     18

     4

152

-

-

24

1994

220

     41

     3

136

-

-

42

1995

248

     51

     8

133

-

-

56

1996

478

    179

    107

192

-

-

-

1997

664

    241

    158

265

-

-

-

1998

679

    257

    167

255

     4

-

-

1999

684

    266

    150

268

     25

-

-

2000

676

    287

    146

243

     43

-

-

2001

726

    262

    143

321

     58

     3

-

2002

804

    234

    145

308

     86

     13

-

자료 : 청소관리과


3) 淸掃業務의 民間委託


  생활쓰레기 수집, 운반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1983. 9. 1일부터 부산진구 부전2동(상가지역)과 남구 용호3동(주택가)에 시범 실시한 민간위탁은 그 동안 꾸준히 확대 시행되어 2002년 12월말 현재 부산진구, 동래구, 남구, 강서구, 연제구, 기장군 등 6개구에서 100% 민간위탁을 시행하고 있으며, 시 전체적으로는 민간위탁이 91.6%에 이르고 있고, 수집·운반 대행업체는 34개 업체로 다음과 같다.


생활쓰레기 수집·운반 대행업체

구  분

업 체 명

대표자

소   재   지

전화번호

허가일자

34개 업체

 

 

 

 

중    구

(주)영   진

황화준

보수동 3가 70-14

244-0441

’93. 3. 8

(주)신아환경

강신덕

중앙동 1가 21-16

242-8850

’93. 3. 9

서    구

(주)대원개발

박홍구

남부민동 523-52 성진수산 806호

243-1351

’93. 3.11

(주)두산환경

박창구

서대신동 2가 266-8 광로빌딩3층

242-9520

’93. 3.11

동    구

부산환경(주)

이강석

범일2동 830-287 대웅빌딩2층

631-0933

’96. 3.11

동 부 환 경

박정갑

범일2동 830-164 정오빌딩502호

636-5633

’96. 3.11

영 도 구

(주)영도환경

김석철

영선동3가 30-3

417-7500

’97.12. 4

금정환경(주)

이현수

동삼3동 1123-6

404-5565

’97.12. 4

부산진구

화성환경(주)

김일랑

연지동 196-7

809-1864

’96. 3. 8

유창환경(주)

정우복

범천2동 951-4

805-0006

’96. 3. 8

(주)명신환경

이청길

당감4동 362-4

895-8382

’96. 3. 8

남 양 산 업

김창수

개금1동 451-20

891-2359

’96. 3. 8

동 래 구

진 양 기 업

박해종

수안동 41-33

554-0522

’96. 3. 4

(주)아성기업

이복식

안락1동 945-9 화목상가309호

522-6826

’96. 3. 4

남    구

(합)보수산업

오송대

대연동 977-3

628-1236

’83.12.17

(주)우성물산

하상진

대연3동 649-14

624-8282

’87. 5.10

북    구

(주)청미산업

이용기

덕천동 388-1 대방상가302

342-5766

’95. 3. 8

성신환경(주)

김호극

만덕2동 306-5

343-8318

’95. 4.11

해운대구

해동환경(주)

전상대

반여동 559 농산물도매시장 상가동232호

666-6300

’93. 3. 8

(주) 청   도

정경현

우1동 641-1

746-2720

’93. 3. 8

(주)신해환경

김규익

중1동 673-4

743-0562

’98. 5.25

사 하 구

세 화 산 업

권수현

하단2동 524-5

292-8288

’84. 5. 7

(주)미진산업

이영수

장림1동 1090-4

264-0894

’79. 9.12

금 정 구

(주)청륜산업

김시복

금사동 78-2

526-9787

’84. 4. 4

세 명 기 업

박해천

장전동 89

514-2212

’84. 5.12

강 서 구

대도환경(주)

구대원

대저2동 4410-6

973-5030

’92. 5. 1

연 제 구

(주)진    양

박호상

연산5동 702-9 뉴그랜드오피스텔 901호

853-5578

’95. 4.17

(주)연성기업

조홍제

연산5동 1495-6

864-4293

’95. 4.17

수 영 구

(주) 청   민

김수연

망미2동 205-1

751-9992

’93. 3. 8

(주) 자   산

이현찬

남천1동 556-11 보훈복지회관3층

628-6802

’95. 6.29

사 상 구

대성기업(주)

김호철

덕포2동 390-11

303-8260

’93. 3. 8

청신산업(주)

신용술

감전1동 514-3

311-4412

’93. 3. 8

기 장 군

일광환경(주)

심규송

일광면 이천리 280-1

722-1900

’94.11.17

(주)동래위생공사

조태근

장안읍 좌천리 247-17

727-3345

’94.11.17

자료 : 청소관리과


4. 生活쓰레기 處理


1) 쓰레기 種量制


  생활쓰레기 배출량에 따라 처리비용을 징수하는 쓰레기 종량제는 1994. 4. 1일부터 10개구 118개동에 시범실시한 후 1995. 1. 1일부터 시 전역에 전면 시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가정 및 소규모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생활 쓰레기는 지정된 날짜와 시간에 구·군에서 제작한 쓰레기봉투에 담아서 배출하도록 의무화되고 있다. 종량제 시행으로 생활폐기물의 발생량은 크게 감소하였고 재활용률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쓰레기 배출요일 및 시간(2002년 12월말 기준)

구·군

배 출 요 일

배출시간

중    구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종 량 제

음 식 물

연 탄 재

밤 9시

~자정

서    구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연   탄 재

일몰이후

~자정

동    구

음 식 물

종 량 제

재활용품

음 식 물

종 량 제

연 탄 재

음 식 물

재활용품

밤 9시

~자정

영 도 구

음 식 물

종 량 제

재활용품

음식물

종 량 제

연 탄 재

음 식 물

재활용품

밤 9시

~밤 11시

부산

진구

1권역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재활용품

음 식 물

종 량 제

연 탄 재

밤 9시

~자정

2권역

종 량 제

연 탄 재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재활용품

음 식 물

동 래 구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음 식 물

재활용품

종량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연 탄 재

밤 8시

~자정

남    구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연 탄 재

밤 9시

~자정

북    구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연 탄 재

밤 9시

~새벽2시

해운대구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연 탄 재

밤 9시

~자정

사 하 구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 활 용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연 탄 재

일몰 이후

~자정

금 정 구

종 량 제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재활용품

종 량 제

종 량 제

음 식 물

연 탄 재

밤 10시

이후

강 서 구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밤 10시이후

~자정

연 제 구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연 탄 재

음 식 물

밤 9시

~자정

수 영 구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종 량 제

연 탄 재

밤 7시

~밤 11시

사 상 구

음 식 물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재활용품

음 식 물

종 량 제

연 탄 재

밤 9시

~자정

기 장 군

종 량 제

음 식 물

종 량 제

재활용품

종 량 제

음 식 물

연 탄 재

밤 8시

~자정

자료 : 청소관리과


구·군별 종량제 봉투가격(2002년 12월말 기준)

(단위 : 원/매당)

구분

3ℓ

5ℓ

10ℓ

20ℓ

30ℓ

50ℓ

75ℓ

100ℓ

최근

가격조정일

중    구

130

210

420

840

1,260

2,100

3,140

4,180

2002.11.25

서    구

140

220

430

850

1,250

1,980

2,970

3,900

2000. 9.18

동    구

100

170

310

620

940

1,700

2,720

3,410

2001.10.18

영 도 구

80(2ℓ)

190

360

710

1,060

1,750

2,550

3,500

2001.12.26

부산진구

130

200

390

780

1,170

1,920

2,870

3,820

2001. 2. 1

동 래 구

150

230

440

840

1,270

2,040

3,030

4,030

2001.11. 1

남    구

140

220

420

810

1,280

2,090

3,140

4,180

2002. 9.15

북    구

180

260

470

860

1,330

2,110

3,100

4,120

2000.11. 1

해운대구

160

270

470

900

1,400

2,210

3,220

4,340

2000. 9. 1

사 하 구

140

220

430

850

1,270

2,000

3,000

4,000

2000. 8. 1

금 정 구

120

200

440

820

1,240

2,040

3,060

3,880

1998. 7. 1

강 서 구

-

150

270

510

780

1,240

1,830

2,430

1998.11. 5

연 제 구

150

230

440

840

1,270

2,040

3,030

4,000

2001. 6.16

수 영 구

140

220

430

810

1,230

1,970

2,920

3,850

2000.11. 1

사 상 구

150

230

440

840

1,280

2,050

3,050

4,030

2001. 8. 1

기 장 군

60

90

180

360

540

900

1,350

1,800

1999.11. 1

자료 : 청소관리과

2) 門前收去制


  1995년 이전에는 청소차량이 새벽 시간대에 타종을 하면서 관내를 순회하면 청소차량 정차지점까지 쓰레기를 들고 가서 배출하는 “타종수거” 방식으로 쓰레기를 수거하였으며, 이에 불편을 느낀 시민들은 쓰레기 처리를 사수거자에게 위탁하는 행위가 보편화되어 있었다.

  1995년 쓰레기 종량제 시행으로 인한 쓰레기 봉투값과 사수거비의 2중 부담을 해소하고 시민생활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문전수거제를 추진하게 되었다. 문전수거제는 사하구가 1995. 11. 1일부터 관내 일부지역에서 최초로 시범적으로 실시한 이래 꾸준히 확대해 나가던 중 1997년말의 IMF사태로 인한 각 구·군의 재정난으로 확대시행이 난관에 봉착하였다. 이에 따라 문전수거를 시행하는 구·군에 대해서는 소요경비의 20%를 2년간 지원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문전수거 확대 추진계획을 2001년부터 추진한 결과, 2002년 12월말에는 강서구와 기장군의 일부 농어촌지역을 제외한 시내 전역에 문전수거를 시행하고 있다.

완전 문전수거 실시 현황

연도별

자치구·군

1996

사하구(7월)

1997

해운대구(9월), 북구(10월)

1998

수영구(3월), 금정구(5월)

1999

            -

2000

            -

2001

부산진구(1월), 연제구(7월), 사상구(10월), 동래구(11월)

2002

서구(1월), 중구(4월), 동구(7월), 남구(9월), 영도구(11월)

자료 : 청소관리과

5. 쓰레기 減量 및 資源化

1) 쓰레기 줄이기

  재활용을 촉진하고 처리장에 반입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기 위해 1996년부터 반입쓰레기 10%줄이기를 강력히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매년 구·군별 반입허용량을 책정 관리하고 감량실적이 우수한 구·군에는 재정적 지원을 하는 쓰레기감량 인센티브제를 도입하였으며, 1997년부터는 전국 최초로 젖은 쓰레기 반입통제를 실시하여 위반시에는 최고 1주일간 반입을 정지하는 등 강력한 단속을 시행하여 왔다. 그 결과 반입쓰레기가 1996년 2,825톤/일에서 2002년 1,676톤/일로 크게 감소하는 실적을 거두었다.


광역처리시설 쓰레기 반입량(1996~2002)

(단위 : 톤/일)

연  도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반입량

2,825

2,547

2,076

1,973

1,902

1,777

1,676

증  감

-

△9.8%

△18.5%

△5.0%

△3.6%

△6.5%

△5.7%

자료 : 청소관리과


2) 再活用品 收集

  쓰레기의 분리수거가 원활하지 않으면 자원화는 물론 소각에도 어려움이 따르게 되므로 각 구·군에서는 종이류, 병류, 캔류, 플라스틱류, 고철, 기타의 2~5종으로 구분하여 배출된 재활용품을 1주일중 3회(주로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에 걸쳐서 수거하고 있으며, 재활용 자원화의 비율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여 2002년에는 전체 생활폐기물 발생량의 54.4%를 재활용 또는 자원화하고 있다.


연도별 생활계 폐기물의 처리방법별 처리 현황

(단위 : 톤/일,%)

        구분

연도

처리방법

계(톤/일)

매립

소각

재활용, 자원화

처리량

비 율

처리량

비 율

처리량

비 율

1993

5,047(100%)

4,202

83.2

44

0.9

801

15.9

1994

4,590(100%)

3,512

76.5

66

1.5

1,012

22.0

1995

4,280(100%)

2,847

66.5

137

3.2

1,296

30.3

1996

4,311(100%)

2,588

60.0

305

7.1

1,418

32.9

1997

4,146(100%)

2,142

51.7

511

12.3

1,493

36.0

1998

3,892(100%)

1,601

41.1

566

14.6

1,725

44.3

1999

3,934(100%)

1,464

41.2

590

14.5

1,880

44.3

2000

4,077(100%)

1,453

35.6

525

12.9

2,099

51.5

2001

4,053(100%)

1,337

33.0

506

12.5

2,210

54.5

2002

4,031(100%)

1,364

33.8

473

11.8

2,194

54.4

자료 : 청소관리과

  주  : 1993. 3월까지는 수거차량 적재톤수로 산정, 1993. 3월이후는 실중량으로 산정


  2002년에 수거된 재활용품은 1993년 대비 무려 91.1% 증가한 1일 1,531톤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종류별로는 종이류가 전체의 57.5%에 해당하는 881톤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고철류, 병류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부터 최근까지의 구성비율을 살펴보면, 병류, 종이류는 조금씩 감소하는 반면에 고철류, 플라스틱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연도별 재활용품 수거 실적

  구분

연도

생활계폐기물 발생량 (톤/일)

재활용품(톤/일,%)

종이류

병류

고철류

캔류

플라스틱류

기타

1993

5,047

801 (100)

※ 1993년, 1994년은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구분하지 않음.

1994

4,590

1,012

(100)

1995

4,280

1,200 (100)

881 (73.4)

34 (2.8)

185 (15.4)

26 (2.2)

52 (4.3)

22 (1.8)

1996

4,311

1,298 (100)

967 (74.5)

64 (4.9)

161 (12.4)

30 (2.3)

54 (4.2)

22 (1.7)

1997

4,906

1,333 (100)

947 (71.0)

78 (5.9)

190 (14.3)

24 (1.8)

76 (5.7)

18 (1.4)

1998

3,892

1,378.8 (100)

836.5 (60.7)

112.4 (8.2)

292.7 (21.2)

31.9 (2.3)

88.0 (6.4)

17.4 (1.3)

1999

3,934

1,425

(100)

946

(66.4)

126

(8.8)

213

(14.9)

29

(2.0)

100

(7.0)

11

(0.8)

2000

4,077

1,496

(100)

902

(60.3)

191

(12.8)

239

(16.0)

38

(2.5)

117

(7.8)

9

(0.6)

2001

4,053

1,531

(100)

891

(58.2)

201

(13.1)

219

(14.3)

46

(3.0)

165

(10.8)

9

(0.6)

2002

4,031

1,531

(100%)

881

(57.1%)

187

(12.2%)

230

(15.0%)

58

(3.8%)

163

(10.7%)

12

(0.8%)

자료 : 청소관리과

  민간단체의 재활용품 수집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1991년 11월부터 시행된 재활용품 수집장려금 제도는 우리 시에서 최초로 시행하여 전국에 확산된 제도로 당초에는 재활용품 매각대금의 50%를 일률적으로 지급하던 것을 비경제성 품목의 수집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하여 1994년 8월부터 재활용품의 품목별 차등지급제로 개선하여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재활용품 수집장려금 지급현황(1991~2002)

        구분

  연도

지급액 (천원)

참여단체 (개)

수거량 (톤)

비   고

1991

13,511

127

655

  11월부터 시행

  매각대금의 50%지급

1992

422,804

476

19,616

 

1993

954,089

516

49,487

 

1994

822,663

616

50,267

  ’94년 8월부터 품목별 차등지급

1995

430,898

777

38,078

 

1996

502,521

1,635

42,244

 

1997

473,670

1,573

37,838

 

1998

324,580

1,634

35,200

 

1999

256,817

1,763

26,813

 

2000

295,598

1,275

29,129

 

2001

376,300

1,124

31,549

 

2002

371,730

1,150

28,805

 

자료 : 청소관리과


3) 飮食物쓰레기 資源化


  생활계폐기물 발생량의 24%정도를 차지하는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이 과다(80~85%)하여 수거운반 과정에서 악취와 해충이 번식하는 등 생활환경의 저해요인이 되어 왔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를 자원화하기 위해 우리 시에서는 1995년에 구서동 선경아파트를 시작으로 전국 최초로 EM발효제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퇴비화를 추진하였다. 1998년에는 각 구·군별로 음식물쓰레기수집운반및재활용촉진에관한조례가 제정되어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 및 자원화를 위한 제도와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2005. 1. 1일부터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전량자원화 체계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실적(1995~2002)

(단위: 톤/일,%)

   구분

연도

발생량

매립·소각

재활용

소계

매립

소각

소계

농가보급

퇴비·사료

자체처리

1995

1,519

(100)

1,423

(93.7)

1,423

0

96

(6.3)

42

45

9

1996

1,411

(100)

1,291

(91.5)

1,193

98

120

(8.5)

44

49

27

1997

1,396

(100)

1,236

(88.5)

1,020

216

160

(11.5)

36

84

40

1998

1,130

(100)

784

(69.4)

558

226

346

(30.6)

130

96

120

1999

1,014

(100)

559

(55.1)

398

161

455

(44.8)

91

285

79

2000

1,002

(100)

399

(39.8)

293

106

603

(60.2)

119

381

103

2001

998

(100)

318

(31.8)

235

83

680

(68.2)

160

414

106

2002

970

(100)

307

(31.6)

230

77

663

(68.4)

195

406

62

자료 : 청소관리과


  음식물쓰레기를 자원화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분리수거가 선행되어야 한다. 1995. 3. 1일부터 동구와 연제구의 공동주택에 대한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를 시작한 이래 분리수거체계 구축에 적극 노력하여 2002. 12월 현재에는 사하구, 강서구, 기장군의 단독주택 지역을 제외한 시 전역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분리수거 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체계 구축

구분

공동주택

단독주택

구분

공동주택

단독주택

시행일자

배출방법

시행일자

배출방법

중    구

1998. 1월

2000.12. 1

전용봉투

해운대구

2000. 4. 1

2001. 2.20

전용봉투

서    구

1998. 2월

2000. 7. 1

전용봉투

사 하 구

1996. 7. 1

미시행

-

동    구

1995. 3. 1

2000. 3.20

전용봉투

금 정 구

1999. 1. 1

2001. 1. 1

전용봉투

영 도 구

1999. 7. 1

2002.11. 1

전용용기

강 서 구

-

미시행

-

동 래 구

2000. 1. 1

2001. 1. 1

전용봉투

연 제 구

1995. 3. 1

2000. 1. 1

전용봉투

부산진구

1999. 5. 1

2000. 3.16

전용봉투

수 영 구

2000. 3. 1

2000. 3. 1

전용봉투

남    구

1998. 9. 1

2000. 8. 1

전용봉투

사 상 구

1998.10.12

2000. 8. 1

전용봉투

북    구

2000. 4. 1

2001. 4. 1

전용봉투

기 장 군

1995. 3. 2

2002. 6. 1

(일부시행)

전용봉투

자료 : 청소관리과

  수거된 음식물쓰레기의 효율적인 자원화를 위하여 1996년부터 음식물쓰레기 공공자원화시설 설치에 대하여 국·시비지원(국비 30%, 시비 40%)을 시작하면서 구·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설치가 가속화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입지난, 재정난으로 인한 구·군의 자체처리시설 설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하여 광역처리시설을 설치하고자 사업비 5,010백만원을 투입하여 수영하수처리장내에 1일 120톤 처리능력의 하수병합처리시설을 전국 최초로 설치하였으며, 이러한 하수병합처리방식은 대구, 서울 등 타 도시에 파급되어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기여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시설 현황(2002년 12월말 현재)

구분

구분

설치·가동중

처리방법

사업기간

규모

(톤/일)

사업비

(백만원)

189

6,340

 

’99. 3.16~’00.10.30

광역처리시설

수영하수병합처리

120

5,010

메탄화

’97. 1.30~’99. 2.10

구·군처리시설

동  구

24

134

퇴비화

’97. 1.30~’99. 2.10

영도구

10

1,263

사료화

’97. 6. 3~’97. 9. 6

연제구

15

284

퇴비화

’97.10.20~’98. 5.10

해운대구

50

2,500

사료화

’99. 8. 2~’00. 7.26

진구, 동래구

40

930

사료화

’98.12.31~’01. 6.12

사하구

50

2,394

사료화

’00. 3.20~’02. 7.31

자료 : 청소관리과


  1994. 9. 1일부터는 음식물쓰레기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집단급식소, 대규모 음식점, 호텔 등을 감량의무사업장으로 지정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자가 처리하거나 위탁 재활용하는 등 감량의무를 이행하도록 하였으며, 감량의무 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하여 대상사업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오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의무사업장 확대 내용

구 분

1994.9.1부터

1995.9.1부터

1997.7.19부터

1997.10.1부터

1998.1.1부터

집단급식소

(급식인원)

3,000인 이상

2,000인 이상

1,000인 이상

500인 이상

100인 이상

음식점

(객석면적)

1,000㎡ 이상

660㎡ 이상

660㎡ 이상

330㎡ 이상

100㎡ 이상

기타

호텔, 휴양

콘도미니엄

-

-

-

대규모 점포, 농수산물 도매시장, 농수산물 공판장

자료 : 청소관리과

4) 1回用品 使用規制

  생활폐기물 및 포장폐장물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1회용 제품, 포장재 등의 발생 자체를 줄이기 위하여 1994년 3월부터 1회용 컵·접시, 나무젓가락, 1회용 면도기·칫솔, 비닐봉투 등과 같은 1회용 제품에 대한 사용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통업체들은 비닐봉투 등에 대한 무상지급 형태에서 유상판매로 전환하였으며, 향후 경제적 유인책을 통한 폐기물관련 환경정책으로 1회용품 사용억제를 정착시킬 계획이다.

6. 쓰레기 埋立施設의 設置 및 運營

  쓰레기 최종처리를 위한 매립장은 1987년 석대매립장 조성 이전까지는 시가지내 저습지가 많아 토지소유자의 매립신청에 따라 저비용으로 매립하여 왔다. 그러나 인구증가 및 산업개발로 인하여 쓰레기 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단위 쓰레기 매립장의 조성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쓰레기 매립장으로 인한 침출수의 주변 수질오염 가중과 악취 발생 등으로 점차 매립장 주변 주민들의 민원이 증가되었고, 1991년 낙동강 페놀유출 사고이후 주민의 환경인식 제고로 쓰레기 매립장은 더욱 설치가 어려워졌으며, 시설 투자비용도 많이 들게 되었다.

  석대매립장(1987. 6~1993. 5월)은 면적 662,614㎡(20만평), 매립량 12,848천㎥로 부산시에서 최초로 위생매립 개념을 도입하여 바닥을 HDPE(고밀도폴리에틸렌 0.25㎜×4겹)로 시공하는 등 환경오염 방지에 노력을 기울였다. 현재는 매립이 종료되어 사후관리 중에 있으며 일부 부지는 원 토지소유자 등과의 약속에 따라 환매 또는 공매하였다.

 을숙도매립장(1993. 6~1996. 3월)은 국가지정문화재보호구역으로 매립전 산화분지, 파밭, 분박 등으로 훼손된 지역을 쓰레기 매립 후 철새도래지로 자연복원하는 조건으로 문화재관리국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1차매립장(면적 297,654㎡) 및 2차 매립장(면적 191,740㎡)으로 조성하였고, 매립용량은 4,070천㎥이다. 바닥을 SOil-Cement로 연약지반을 개량한 후 HDPE(1.5㎜×1겹)를 시공하고, 국내 최초로 압축매립방식을 도입, 운영하였다.

  1996. 4. 1일부터 사용하고 있는 생곡매립장은 Cell방식의 준호기성 위생매립방식을 채택하여 단계별 조성 매립중이며, 단계별 기반조성과 함께 매립 후 토양오염방지 등을 위한 기반시설로써 Shotcrete(7.0㎝), Bentonitonite Mat(6.0m/m), HDPE Sheet (2.0m/m ), 부직포(1,000g/㎡), 모래(30㎝)의 등을 설치하여 환경오염 방지에 대비하였으며, 당초 2001년 6월까지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쓰레기 감량시책에 대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호응으로 당초 계획보다 매립량이 40% 이상 감소되어 2005년까지 사용기간을 연장하였고, 자체 침출수처리장을 확보하여 주변 환경오염을 최대한 방지하는 등 선진 위생매립공법으로 운영하고 있다.

  생활쓰레기의 장기적·안정적 처리를 위한 차기매립장은 1996. 5월에 입지계획 결정공고 이후 1999. 12. 9일 생곡매립장 확장(안)을 최종후보지로 결정하여 2001. 6월에 차기매립장 입지를 결정고시하고 2001. 9월에는 매립장 인근 주민들과 합의를 도출하였으며, 2002. 7월에 도시계획시설(폐기물처리시설) 변경 결정, 2003. 2월에 낙동강유역환경청으로부터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승인을 받았다. 차기매립장은 면적 351천㎡, 매립량 800만㎥ 규모로 총사업비 1,389억원을 투입하여 2005년까지 조성공사를 마친 뒤 기존매립장의 사용기간이 만료하는 2005년부터 2021년까지 사용할 계획이다.


생활쓰레기 매립 현황

연도

매립시설

매립량(㎥)

매립면적(㎡)

비   고

1993

석  대 매립시설

을숙도 매립시설

  982,126

  905,019

56,000

99,843

 

1993. 6~1996. 3월 

1994

을숙도 매립시설

1,430,400

178,592

 

1995

을숙도 매립시설

1,101,401

120,000

 

1996

을숙도 매립시설

생  곡 매립시설

1,120,649

  759,765

90,565

62,000

 

1996. 4~2021.12월 

1997

생  곡 매립시설

827,360

44,000

 

1998

생  곡 매립시설

848,307

74,000

 

1999

생  곡 매립시설

1,075,406

15,000

 

2000

생  곡 매립시설

837,775

18,400

 

2001

생  곡 매립시설

541,413

13,900

 

2002

생  곡 매립시설

564,170

10,700

 

자료 : 청소관리과


  2002년 12월말 현재 관리대상 매립시설로는 사후관리중인 석대, 을숙도매립장과 사용중인 생곡매립장이 있으며 그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산시 관리대상 매립시설(2002. 12월말 현재)

구  분

현    황

규   모

사업비 (백만원)

사업 기간

면적(천㎡)

매립량(천㎥)

매립

시설

석  대

사후관리

662

12,848

25,503

1987. 6~1993. 5

을숙도

사후관리

489

4,070

60,248

1993. 6~1996. 3

생  곡

조성·운영

396

12,502

119,706

1994.11~2005. 4

생  곡

(차기매립)

조성

351

8,000

138,900

2000~2021

자료 : 청소관리과


7. 쓰레기 燒却施設의 設置 및 運營


  매일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는 생활쓰레기를 전량 매립처리함으로써 매립장 확보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쓰레기 매립장이 주민 비선호시설로서 시 지역 여건 및 주민반대에 부딪혀 추진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지내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 부지확보가 거의 불가능한 현실이므로 매립장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종전의 단순매립에서 가연성쓰레기는 전량 소각처리하고자 권역별로 쓰레기 소각장을 확대 건설하고 있다.

 다대택지개발지역에 1일 200톤 규모의 다대소각장을 최초로 건설하여 1995. 8월부터 운영 중에 있고, 해운대신시가지내 1일 200톤 2기 규모로 소각장을 건설하여 1호기는 1996. 9월, 2호기는 1997. 6월부터 운영 중에 있으며, 대형소각장 건설현황은 아래와 같다.

  소형소각시설은 1993년 을숙도매립장 사용기간 단축으로 쓰레기 감량화 일환으로 추진한 설치 권장과 1995년 쓰레기 종량제 실시 이후의 처리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자체 처리하고자 공공기관 및 기업체 중심으로 1995년도부터 설치를 시작하여 1998년에는 1,196개소로 크게 증가되었으나 소형소각시설의 특성상 대기오염방지시설 미비, 운영 미숙 등으로 인한 대기환경오염 유발 등의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1999년 8월에 소형소각시설 설치·관리에 관한 규정이 강화되었고, 그 결과 2002년말 현재 239개소로 크게 감소되었다.


대형소각시설의 설치현황

구    분

규모(톤/일)

사업기간

비  고

택지 개발지

다대택지개발지

200

1993. 8~1995. 8

가동중

해운대신시가지

400(200톤×2기)

1994. 6~1997. 6

가동중

·1호기 : 1996. 9~ ·2호기 : 1997. 6~

명지주거단지

400(200톤×2기)

1994. 6~2003. 10

가동중

(2003.10월부터)

사업장

신평산업단지

300(150톤×2기)

1994. 3~1996. 5

완공

자료 : 청소관리과

소형소각시설의 설치현황(1995~2002)

(단위 : 개소)

      구분

연도

시, 사업소

구, 군

공공기관

학교

기업체

1995

512

15

68

19

46

364

1996

899

13

105

47

91

643

1997

1,177

19

113

84

122

839

1998

1,196

25

93

96

132

850

1999

1,114

30

81

93

125

785

2000

555

13

37

57

34

414

2001

336

6

26

42

11

251

2002

239

4

17

31

7

180

자료 : 청소관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