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부산광역시 공공데이터 활용 및 신규 개방 수요 설문조사
- 설문기간
- 2024-11-18 00:00 ~ 2024-11-29 23:00
- 마일리지
부여점수 - 100
- 내용
안녕하십니까?
부산광역시는 '공공데이터'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민간에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기반의 창업기업을 지원하고, 국민의 삶이 편리해지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을 통해 부산광역시에서 보유중인 데이터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여 민간이 필요로 하는 수요자 맞춤형 공공데이터를 발굴하여 개방하고자 하니
시민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귀하께서 응답하신 내용은 통계법 제33조 [비밀의 보호]에 의해 비밀이 보장됩니다.
- 설문결과
-
- 1. 성별을 선택하세요.
-
①남자54.22%
-
②여자45.78%
-
①남자
- 2. 연령대를 선택하세요.
-
①19세 이하0.40%
-
②20~29세15.26%
-
③30~39세29.32%
-
④40~49세26.91%
-
⑤50~59세13.52%
-
⑥60세 이상14.59%
-
①19세 이하
- 3. 직업 및 직군을 선택하세요.
-
①학생(대학생)8.57%
-
②1인 창업자/벤처기업 종사자6.02%
-
③IT관련 기업 종사자7.10%
-
④중소/중견기업 종사자32.66%
-
⑤대기업 종사자7.36%
-
⑥전문직11.24%
-
⑦학계/연구계 종사자3.75%
-
⑧행정, 공공기관 종사자11.78%
-
⑨기타의견11.51%
-
①학생(대학생)
- 4. 공공데이터의 개념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
①잘 알고 있다.35.88%
-
②약간 아는 편이다.53.55%
-
③전혀 모른다. ☞ 17번 문힝으로10.58%
-
①잘 알고 있다.
- 5. 공공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이용(활용)해 본 경험이 있습니까?
-
①예68.94%
-
②아니오 ☞ 16번 문항으로31.06%
-
①예
- 6.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data.busan.go.kr/bdip)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습니까?
-
①예81.85%
-
②아니오 ☞ 11번 문항으로18.15%
-
①예
- 7.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 이용자)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내 각 메뉴 구성은 적절합니까?
-
①만족40.65%
-
②다소 만족43.87%
-
③보통11.18%
-
④다소 불만족2.15%
-
⑤불만족2.15%
-
①만족
- 8.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 이용자)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의 응답속도는 적절합니까?
-
①만족44.75%
-
②다소 만족33.40%
-
③보통14.99%
-
④다소 불만족3.43%
-
⑤불만족3.43%
-
①만족
- 9.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 이용자)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의 디자인(아이콘, 색상, 폰트 등)은 만족하십니까?
-
①만족48.04%
-
②다소 만족30.65%
-
③보통16.52%
-
④다소 불만족2.39%
-
⑤불만족2.39%
-
①만족
- 10.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 이용자)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항은 무엇입니까?(주관식)
-
①주관식100.00%
-
①주관식
- 11.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을 이용하지 않으신다면 주로 이용하는 사이트는 어디입니까?
-
①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포털(http://www.data.go.kr)93.45%
-
②기타의견6.55%
-
①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포털(http://www.data.go.kr)
- 12. 제공 받은 공공데이터 품질과 관련하여 정확성 또는 최신성에 만족하십니까?
-
①만족40.57%
-
②다소 만족40.95%
-
③보통14.10%
-
④다소 불만족1.90%
-
⑤불만족2.48%
-
①만족
- 13. 공공데이터 활용 경험이 있다면 해당 공공데이터의 명칭은 무엇입니까?(주관식)
-
①주관식100.00%
-
①주관식
- 14. 공공데이터 활용목적은 무엇입니까?
-
①실생활 편의 도모를 위한 직접 활용45.59%
-
②앱 또는 웹 서비스 개발 등 신규 비즈니스 발굴 및 창업20.88%
-
③학술 연구나 통계적 자료 분석17.62%
-
④기업 경영 활동 활용 (영업/마케팅 기초 자료, 빅데이터 분석 소재 데이터 등)9.77%
-
⑤공익적 목적 연구 (정책 연구나 개발 등)4.79%
-
⑥기타의견1.34%
-
①실생활 편의 도모를 위한 직접 활용
- 15. 공공데이터를 활용할 경우, 가장 선호하는 데이터(파일)형식은 무엇입니까?
-
①CSV27.53%
-
②XLS39.20%
-
③XML17.59%
-
④JSON3.25%
-
⑤API11.09%
-
⑥기타의견1.34%
-
①CSV
- 16. 공공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
①공공데이터 개방 확대26.51%
-
②데이터 제공 형식 다양화(API, CSV, MAP, SHP 등)24.77%
-
③최신의 데이터 제공28.25%
-
④공공데이터 활용 지원 정책(창업, 아이디어 공모전 등)8.70%
-
⑤공공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제공기관의 지원(교육, 컨설팅 등)11.11%
-
⑥기타의견0.67%
-
①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 17. 추후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이용하실 계획이 있습니까?
-
①예91.57%
-
②아니오8.43%
-
①예
- 18. 공공데이터 이해도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것은 무엇입니까?
-
①공공데이터 개념 이해 및 활용을 위한 기본 교육 프로그램 운영29.72%
-
②공공데이터 실생활 응용 사례에 대한 정보 제공41.77%
-
③공공데이터 관련 대시민 홍보 확대(교육자료, 영상 배포)20.08%
-
④사용자 친화적 공공데이터 포털 구성(포털 내 각 메뉴별 가이드라인 제공 등)8.03%
-
⑤기타의견0.40%
-
①공공데이터 개념 이해 및 활용을 위한 기본 교육 프로그램 운영
- 19. 추후 활용을 희망하는 공공데이터 관심 분야를 선택해주세요. (3개 선택)
-
①공공행정: 사회조사결과, 주민등록인구통계, 공중화장실 현황, 벽보게시대 등12.18%
-
②과학기술: 무료 와이파이개방, 유무선통신, 도시공사 신기술/신공법 관리현황 등11.33%
-
③교 육: 학교/도서관 현황, 도서관 신착자료, 평생학습강좌, 노인교실 등11.56%
-
④교통물류: 도시철도 열차시간표, 시내버스 운행정보, 주차장 정보, 신호등 위치 등10.13%
-
⑤국토관리: 건축허가/착공, 공동주택, 임대주택, 산업단지 조성현황 등6.11%
-
⑥농축수산: 농지정보, 축산물 가공업체, 농기계임대정보, 어업허가 등4.11%
-
⑦문화관광: 문화·공연·전시 정보, 숙박업소 정보, 관광지정보 등10.98%
-
⑧보건의료: 의료기기판매업소, 병•의원기관, 정기 예방접종 등7.85%
-
⑨사회복지: 노인복지시설, 무료급식소, 장애인 편의시설 등6.51%
-
⑩산업고용: 노인일자리 정보, 사회적 기업, 제조업체 등3.97%
-
⑪식품건강: 농축산물 안전성 검사, 건강기능식품판매업, 모범음식점 등4.55%
-
⑫재난안전: 어린이보호구역 현황, 재해위험지구 정보, 민방위대피시설 정보 등4.15%
-
⑬재정금융: 세입•세출현황, 지방재정현황, 주민참여예산 등2.32%
-
⑭통일외교안보: 보훈단체현황, 예비군훈련장 등0.62%
-
⑮환경기상: 대기오염 정보, 실내공기질 정보, 배출가스 검사업체 등3.61%
-
①공공행정: 사회조사결과, 주민등록인구통계, 공중화장실 현황, 벽보게시대 등
- 20. 신규 개방을 원하시는 데이터가 있으면 적어주세요.(주관식)
-
①주관식100.00%
-
①주관식
- 1. 성별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