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축을 위한 데이터 수요조사 설문(공공기관용)
- 설문기간
- 2022-05-17 08:00 ~ 2022-06-10 23:00
- 마일리지
부여점수 - 0
- 내용
- 설문결과
-
- 1. A0. 본 설문은 부산시 및 산하 공공기관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하지 않는 분은 설문을 종료해 주시기 바랍니다.
-
①① 설문 진행100.00%
-
②② 설문 종료0.00%
-
①① 설문 진행
- 2. A1. 소속 기관명
-
①주관식91.30%
-
①주관식
- 3. A2. 기관형태
-
①① 부산시 본청44.62%
-
②② 부산시 직속기관/사업소/의회20.77%
-
③③ 부산시 구군18.46%
-
④④ 부산시 공사공단5.38%
-
⑤⑤ 부산시 출자출연기관5.38%
-
⑥기타의견3.08%
-
①① 부산시 본청
- 4. A3. 부서(팀)
-
①주관식96.21%
-
①주관식
- 5. A4. 직급
-
①주관식96.21%
-
①주관식
- 6. A5. 기관 소재지
-
①① 중구3.79%
-
②② 서구3.03%
-
③③ 동구1.52%
-
④④ 영도구6.82%
-
⑤⑤ 부산진구7.58%
-
⑥⑥ 동래구7.58%
-
⑦⑦ 남구1.52%
-
⑧⑧ 북구3.03%
-
⑨⑨ 해운대구4.55%
-
⑩⑩ 사하구0.00%
-
⑪⑪ 금정구6.06%
-
⑫⑫ 강서구1.52%
-
⑬⑬ 연제구45.45%
-
⑭⑭ 수영구0.00%
-
⑮⑮ 사상구3.03%
-
16⑯ 기장군0.76%
-
①① 중구
- 7. B1. 귀 기관은 자체적으로 데이터(정보시스템)를 보유하고 생성하고 계십니까?
-
①①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보유하고 있음50.00%
-
②②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수집 및 저장만 하고 있음12.12%
-
③③ 종종 데이터를 생성하고 보유하고 있음18.18%
-
④④ 데이터를 생성 및 보유하지 않음19.70%
-
①①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보유하고 있음
- 8. B2. 귀 기관은 현재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 부산시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를 개방 및 제공하고 계십니까?
-
①①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에 개방 및 제공 중33.07%
-
②② 부산시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개방 및 제공 중3.94%
-
③③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 빅데이터 플랫폼 양쪽에 개방 및 제공 중10.24%
-
④④ 현재 데이터 개방 및 제공은 하지 않음44.09%
-
⑤⑤ 현재 다른 기관, 다른 플랫폼에 제공하거나 할 계획임3.15%
-
⑥기타의견5.51%
-
①① 부산시 공공데이터 포털에 개방 및 제공 중
- 9. B3-1. [B1, B2번의 해당기관만 답변] 귀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은 어느정도 되십니까?(연간)
-
①① 20종 미만66.09%
-
②② 20~50종 미만12.17%
-
③③ 50~100종 미만6.09%
-
④④ 100종 이상13.91%
-
①① 20종 미만
- 10. B3-2. [B1, B2번의 해당기관만 답변] 귀 기관에서 현재 공개중인 데이터의 양은 어느정도 되십니까?
-
①① 없음21.43%
-
②② 20종 미만54.46%
-
③③ 20~50종 미만7.14%
-
④④ 50종 이상15.18%
-
①① 없음
- 11. B4. 귀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의 종류는 아래 데이터 분류기준에서 어떤 분류에 속합니까?(3개 복수 선택가능)
-
①① 교육 분야7.02%
-
②② 국토관리 분야7.85%
-
③③ 공공/행정 분야23.97%
-
④④ 재정금융 분야4.55%
-
⑤⑤ 사회복지 분야9.50%
-
⑥⑥ 식품건강 분야1.65%
-
⑦⑦ 산업고용 분야2.48%
-
⑧⑧ 문화관광 분야7.44%
-
⑨⑨ 보건의료 분야5.37%
-
⑩⑩ 재난안전 분야7.85%
-
⑪⑪ 교통물류 분야6.20%
-
⑫⑫ 환경기상 분야6.61%
-
⑬⑬ 과학기술 분야1.24%
-
⑭⑭ 에너지 분야1.24%
-
⑮⑮ 통일외교안보 분야0.00%
-
16⑯ 법률 분야0.00%
-
17⑰ 농축수산 분야2.89%
-
18기타의견4.13%
-
①① 교육 분야
- 12. B4-1. [B4번의 응답자] 해당 분류 데이터의 대표적인 데이터명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
①주관식100.00%
-
①주관식
- 13. B5. 귀 기관에서는 부산시의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을 구축, 운영하는데 있어 데이터 제공자(공공기관의 입장) 측면에서 가장 고려할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3개 복수 선택가능)
-
①① 데이터 개방 및 제공을 위한 데이터 처리 편의성 제공25.44%
-
②② 데이터 표준화, 품질관리로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13.59%
-
③③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등의 법규 준수로 안전한 데이터 활용기반 제공20.21%
-
④④ 데이터 개방 및 제공을 위한 전담 인력 확보17.77%
-
⑤⑤ 데이터 기반 행정업무 의사결정을 위한 분석 서비스 제공9.76%
-
⑥⑥ 공공기관 필요 데이터 수집, 매칭, 구매 서비스8.01%
-
⑦⑦ 기업 등 민간에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분야별 전문 데이터 수집 및 제공4.53%
-
⑧기타의견0.70%
-
①① 데이터 개방 및 제공을 위한 데이터 처리 편의성 제공
- 14. C1. 부산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개방 및 공개, 활용을 통한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부산시에서 가장 잘하고 있는 분야는 어느 분야라고 생각하십니까? (3개 복수 선택 가능)
-
①① 공공/민간 데이터 확보30.25%
-
②② 비즈니스 모델5.04%
-
③③ 전문인력 육성9.66%
-
④④ 데이터 전문기업 육성5.46%
-
⑤⑤ 기업 및 기관의 혁신 역량5.04%
-
⑥⑥ 산학관 협력체계9.66%
-
⑦⑦ 데이터 관련 사업화 기회 제공7.98%
-
⑧⑧ 데이터 인프라(분석센터 등)10.08%
-
⑨⑨ 부산시 데이터 컨트롤 타워 역할 수행11.34%
-
⑩기타의견2.94%
-
①① 공공/민간 데이터 확보
- 15. C2.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에서 부산시 특화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수집하여 부산시 경제 및 문화 활성화에 기여하려고 합니다. 부산시 경제 및 문화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부산시 특화데이터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3개 복수 선택가능)
-
①① 부산 문화축제 정보11.85%
-
②② 부산 관광명소 및 여행 유동인구 정보25.23%
-
③③ 부산 특화 역사/문화/예술지도 정보10.33%
-
④④ 부산 해양 및 항만 정보11.25%
-
⑤⑤ 부산 특화거리 정보8.81%
-
⑥⑥ 부산 고령친화 바이오 정보5.17%
-
⑦⑦ 부산 특화 먹거리 및 특산물 (대저토마토 등) 정보6.99%
-
⑧⑧ 부산 국제영화제 정보4.26%
-
⑨⑨ 부산 야구문화(응원, 롯데유니폼 등) 정보3.65%
-
⑩⑩ 부산 MICE(벡스코, 국제회의, 전시 등) 정보8.51%
-
⑪⑪ 부산 사투리(부산 특화 말뭉치 분석 등) 정보3.34%
-
⑫기타의견0.61%
-
①① 부산 문화축제 정보
- 16. C3. 향후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에서 데이터 수집, 분석 및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3개 복수 선택가능)
-
①① 데이터 개방영역의 지속적 확대로 다양한 분야와 유형의 데이터 제공12.03%
-
②② 데이터 가공/정제가 가능한 원천데이터의 수집13.29%
-
③③ 데이터 표준화, 품질관리로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18.04%
-
④④ 개인정보 등이 안전하게 처리된 데이터 익명성 보장12.97%
-
⑤⑤ 사진, 음성, 영상 등 비정형 데이터 수집 및 개방 확대9.49%
-
⑥⑥ 데이터 제공의 신속성(실시간 데이터 제공)6.96%
-
⑦⑦ 오픈 포맷(XLS, CSV, XML, API 등) 형태의 데이터 확대4.11%
-
⑧⑧ 민간데이터 수집 및 개방 확대9.18%
-
⑨⑨ 사용자 온라인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제공2.85%
-
⑩⑩ 스타트업, 학생, 전문가 대상 데이터 활용교육4.11%
-
⑪⑪ 데이터 활용경진대회를 통한 데이터 서비스 개발 및 제공1.27%
-
⑫⑫ 부산 지역 기업 데이터 기반 지원 서비스 강화 및 확대3.48%
-
⑬기타의견2.22%
-
①① 데이터 개방영역의 지속적 확대로 다양한 분야와 유형의 데이터 제공
- 17. C4. 부산시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에서 필요한 서비스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0개 복수 선택가능)
-
①①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데이터 예보 서비스4.47%
-
②② 데이터 활용을 통한 안전한 도로관리4.47%
-
③③ 어린이 안전 및 교통사고 원인분석 서비스(교통사고 행동분석 등)4.35%
-
④④ 수소차, 전기차 충전 인프라 설치 입지 선정 분석 서비스3.76%
-
⑤⑤ 지역별 버스 노선 최적화 서비스6.35%
-
⑥⑥ 교통안내 최적화를 위한 센서데이터 분석 서비스3.88%
-
⑦⑦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을 위한 택시, 버스 실태분석3.65%
-
⑧⑧ 불법 주정차 완화를 위한 주정차 지역 분석6.00%
-
⑨⑨ 보행약자 보호 및 안전확보를 위한 횡단보도 분석2.82%
-
⑩⑩ 실업급여 부정수급 악용 방지 서비스2.24%
-
⑪⑪ 사회취약계층 분석을 통한 선제적 발견 서비스3.06%
-
⑫⑫ 지방세 체납징수 효율화를 위한 분석1.76%
-
⑬⑬ 클라우드센터 입지 선정 분석0.71%
-
⑭⑭ 고용취약자 분석을 통한 지원대책 마련1.29%
-
⑮⑮ 주택정보 분석 서비스3.76%
-
16⑯ 상권 및 시장정보 분석을 통해 고객 만족도, 서비스 개발 지원2.59%
-
17⑰ 행정 불편 민원 분석1.76%
-
18⑱ 부산 시민을 위한 스마트워크센터 입지 선정1.41%
-
19⑲ 카페 최적 입지 선정을 위한 조건 분석0.59%
-
20⑳ 부산시 소매업 매출액 변동패턴 분석 및 상권 유형화0.82%
-
21㉑ 거주공간 분석을 통한 대학생 및 사회초년생 거주 환경 분석1.18%
-
22㉒ 노인복지시설 입지 분석1.06%
-
23㉓ 부산시 주차장 데이터 분석 및 주차문제 해소 방안4.12%
-
24㉔ 부산 권역간 문화시설 확충 최적 위치 분석1.53%
-
25㉕ 무인 민원발급기 입지분석1.29%
-
26㉖ 시정 홍보물 위치 분석0.35%
-
27㉗ 공영주차장 추가 후보 지역 선정을 위한 분석2.12%
-
28㉘ 학습 이력 및 행동분석을 통해 교육서비스 개선1.53%
-
29㉙ 초등돌봄교실 공급확대 우선 지역 분석1.65%
-
30㉚ 초등학교 상담교사 우선 배치 지역 분석0.24%
-
31㉛ 국공립 보육기관 공급 부족 지역 분석1.65%
-
32㉜ 장애인 특수학교 적정 위치 선정0.82%
-
33㉝ 부산지역 관광 인기도 분석3.41%
-
34㉞ 신규 관광지 개발을 위한 데이터 분석2.47%
-
35㉟ 관광지 공공 와이파이 우선 설치 지역 분석2.00%
-
36㊱ 휴가철 해수욕장 피서객 예측1.76%
-
37㊲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1.76%
-
38㊳ 부산시 축제 관광객 유입을 위한 데이터 분석2.71%
-
39㊴ 부산시 지역 축제 효과분석2.82%
-
40㊵ 숙박업소, 이동매체, 이동경로 분석 등을 통해 관광활성화 방안2.94%
-
41㊶ 중국인 관광객 소비 패턴 분석0.12%
-
42㊷ 부산 특성화 거리 대상 지역 분석1.88%
-
43기타의견0.82%
-
①①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데이터 예보 서비스
- 18. C5. 부산시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에서 중요하게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민간 대상 데이터 수집, 제공 및 활용영역이 어느 분야라고 생각하십니까? (3개 복수 선택가능)
-
①① 스마트 해양(친환경스마트선박, 수산가공, 항만물류, 해양바이오)16.61%
-
②② 지능형 기계(정밀기계, 스마트팩토리, 하이테크소재, 로봇)6.31%
-
③③ 미래수송기기(자율주행차, 항공, 드론)11.63%
-
④④ 글로벌 관광(MICE, 특화관광(의료, 뷰티, 해양레저))16.94%
-
⑤⑤ 지능정보서비스(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영화영상, AR/VR, 게임, 핀테크, 블록체인)17.28%
-
⑥⑥ 라이프 케어(의료기기, 의료서비스, 고령친화용품, 기능성식품, 방서선의·과학, 항노화, 화장품, 디자인, 신발, 패션의류)16.61%
-
⑦⑦ 클린테크(태양광, 풍력, 수력, 기후변화, ESS(Energy Storage System), 스마트그리드, 파워반도체, 재난안전, 원전해체)6.64%
-
⑧⑧ 위의 모든 분야를 함께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함6.31%
-
⑨기타의견1.66%
-
①① 스마트 해양(친환경스마트선박, 수산가공, 항만물류, 해양바이오)
- 19. C6.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활성화되는데 있어 부산시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정책은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3개 복수 선택가능)
-
①① 데이터 관련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인력 채용 지원 확대18.55%
-
②② 데이터 관련 분석 인프라 지원 및 제공16.67%
-
③③ 데이터 컨설팅(보유데이터 파악, 활용방안 등) 등을 통한 다양한 데이터 지원시책 강화16.04%
-
④④ 데이터 전담 기관 설치로 부산시의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제고11.32%
-
⑤⑤ 데이터 품질관리 강화로 양질의 데이터 확보 노력12.26%
-
⑥⑥ 정확한 데이터 가치평가를 통한 데이터 유통과 거래 활성화 기반 마련7.55%
-
⑦⑦ 민간 데이터 구매 확대 및 필요 기업에 제공6.60%
-
⑧⑧ 데이터 기반 정책수립을 위한 지산학 공동 데이터 분석 및 적용 서비스5.35%
-
⑨⑨ 민간 기업 지원을 위한 분야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서비스 환경 마련3.77%
-
⑩기타의견1.89%
-
①① 데이터 관련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인력 채용 지원 확대
- 20. C7.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이 활성화되기 위해 필히 추가 개방 및 필요한 데이터, 분석서비스가 있다면 어떤 것이 있는지 자유롭게 기술해 주세요
-
①주관식96.21%
-
①주관식
- 21. C8. 부산시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에서 고려하여야 하는 부분을 자유롭게 기술해 주세요
-
①주관식96.21%
-
①주관식
- 1. A0. 본 설문은 부산시 및 산하 공공기관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하지 않는 분은 설문을 종료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