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경산시는 저명인사의 출생지 - 보충

첨부파일
내용
- ※ : 제안자의 아버지(안태화)가 입원한 금샘(노인) 장기요양병원(부산 금정구 청룡동 소재)의 4인 병실에 가니 아는 젊은이(김종만)가 있었다. 같은 고향마을에 살았는데 어떻게 되었는지 물어보니 1톤 트럭을 몰다가 교통사고를 당해 (머리 손상) 어느 병원에 입원해 있다가 고향과 가까이에 있는 이 요양병원으로 옮겨왔다는 것이었다. 그 요양병원의 사무장이 최씨였고 지금은 다른 이로 바뀌었다.

한편 경북 경산시에는 한국전통식품으로 메주와 알메주(대표 : 김상영)의 생산지로 2009년 6월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국제식품전에 출품이 되어 홍보가 되어왔다.
그런데 삼국유사를 지은 일연스님(본명 : 김견명)이 경주 장산현 (현 경북 경산시)에 출생했고 (삼국유사 20쪽) 이 책을 쓸 당시가 고려 충열왕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삼국유사 21쪽) 이 곳은 신라 김유신, 고려 최영 장군이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는데..... 과거 양민학살이 있었고, 이후 박정희 정부에서 박정희 대통령은 경산에 개인적 소유의 사립의 영남대학교의 분교를 설립했다고 한다.
그런데 상기 삼국유사는 북의 리상호씨가 옮기고 강운구씨가 사진을 넣었는데 한국에서의 발행인이 박종만씨로 까치글방에서 발행했으며 초판은 1999년, 15쇄판의 발행일이 2009년 4월 10일로 되어 있다.
경주시 최양식시장은 2010년 7월 1일부터 취임해서 재임중이다.
오래 전부터 학계에서 장류는 호남과 경북 두곳에서 생산해야 한다는 말이 있었다는데 경북쪽이면 경주시도 경북이므로 메주와 알메주는 경주시에서 생산지가 되어야 한다. 메주와 알메주를 생산하는데 특별한 기술이 있어야 되는 것도 아니므로 꼭 영남대학이 소재하는 경산시가 되어야 할 이유는 없는 듯하다 : 2017. 4. 15일 보충 기록 -

- 제안자는 한달 전쯤 경북 경산시에서 생산하고 있는 메주와 알메주는
신라 천년의 고도(古都)인 경주시로 옮길 것을 제시한 바 있다. 현재 경북 경주시장이 최양식 시장이다.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 경북 경산시는 저명인사의 출생지


옛 경주 장산현이 현재의 경북 경산시이고 경산에서는 13세기 고려의 저명한 불교 승려 일연 스님이 태어난 곳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귀중한 역사고전으로 손꼽히고 있는데 삼국유사를 쓴 일연스님(김견명 : 金見明)이 태어난 곳인 경산시는 또한 신라의 김유신 장군 외 1인(고려 말의 최영 장군) 등 3인의 저명인사가 태어난 곳으로 그곳에서는 또 과거 양민학살이 있었다고 했다.
이것은 2010년 현 최양식 경주시장이 당선되고 난 후 기관지(경주시에서 발행한 신문)에 실린 바 있고 제안자는 그해 경주 부근의 여름 바닷가에 가족들과 캠핑을 가서 이를 접했다.


※ 1
경북 경산시에서는 식품안전과 관련해서는 정부식품인 메주와 알메주를 생산하고 있고
또 그곳 경산시에는 박정희 대통령이 재임 중 설립한( 1967년 12월 설립)는 영남대학교의 경산 분교(대구캠퍼스, 경산캠퍼스 중)가 있다.
경산 캠퍼스는 1968년 6월, 경북 경산읍 압량면 1,050,000여평
( 3,465,000여㎡의 부지)에 세워졌다.
영남대학의 전신은 대구대학과 청구대학이다.


※ 2
1978년 박정희 정부에서 구입한 남미 아르헨티나의 땅은
20,894 ha( = 208,940,000 ㎡)는 평으로 환산해 보면 약 63,200,000여평이다.
0, 산출근거 : 208,940,000 / 3,306 = 63,200,242평

참고 문헌 : 2007. 9. 10(월), 조선일보, 김정훈 기자



참고 문헌
1.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까치글방 / 서울), 2009년 1쪽 ∼49쪽
2. 경주시 기관지(발행인 최양식 , 2010년 7월 )
3. 영남대학교 홈페이지 - 대학소개 - 14대 노석균 총장 인사말, 연혁
.
.
등록 : 2016. 2. 16(화) / 2. 17(수) / 2. 19(금)
보건복지부 (장관 : 정진엽 )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경북도청 (지사 : 김관용 ) - 자유 게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