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 지반의 싱크홀 현상 ! 마구잡이 지하수 채취가 원인 아닌가 ? --
.
.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제 목 : 급한 지역부터 수도법을 개정해야 한다.
제 목 : 지방자치단체 생수사업 해야 한다.
학생들이 안경을 끼는 것이 수돗물의 소독약 때문이라는데.........
한국은 외국과 달라 산이 많고 물이 맑다.
맑은 원수를 잘 관리하여 먹는 물과 생활수로 같이 사용해도 되겠지만
한국의 남단에 위치한 부산의 사정은 그러하지 않다.
부산시는 시수도를 차별화하여 맑은 물은 음용수로 사용하고
나머지 물은 이전처럼 사용하면 된다.
물에 여러 가지 차를 넣어 물에 넣어 마시는 이유가
좋지 않는 물 맛 때문이기도 하다.
국회에서나 정부에서의 수도법 개정이 어렵다면
부산에 우선 시행할 수 있도록 이번 승인해 주어야 한다.
부산의 수돗물 중 법기 수원지의 수원이 생수에 가깝다.
물론 이와 관련된 예산 증액( 부서 : 국회)과 같이 승인해 주어야 한다.
물(순수 365)을 관리하기 위한 수도 공무원 증원에 따른 경비는
물값(순수 365의 물값)에서 부담하면 되지만
저소득층의 음용수( = 순수 365) 의 물값은 면제해야하므로
특별 예산으로 증액하여 주어야 한다.
수도 회계는 특별회계이므로 구분하여 증액하여 주는 것이 합리적이며
이러한 예는 대부분의 사회복지비가 국고(國庫)인 이유와 다르지 않다.
* 생활수급자와 차상위는 생수값은 면제한다.
그러나 그 운반비는 부담해야 하고, 수도 사용료는 이전처럼 내어야 한다.
※ 건의 071231, 노무현 대통령, 156쪽 → 즉 배식소의 월세는 시도단위 사회복지부서, 즉 사회복지비에서 지급한다
---------------- 아 래 ----------------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수돗물 ‘순수’의 브랜드를 ‘순수 365’ 로 바꾸어 특허청의 등록을 최근 완료했다. (‘순수’의 이름을 달고 나오는 생수가 있으므로)
이 이름은 정부에서 수도법을 개정하면 사용한다는 것이다.
* 문의 : 부산광역시 상수도 사업본부 : 051, 669 - 4232
-- 부산시보, 2012. 10, 10(수) --
※
현재 제주워터는
제주도 도시 개발 공사가 생산하여 도시고속도로 휴게소의 편의점에서 팔고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2013년 부산 기장군 대변항 멸치축제 ]
0. 기간 : 2013. 5. 2(목) ~ 5. 5(일)
부산 기장군(군수 : 오규석)은 ‘ 부산의 젖줄’ 이라고 불리어진다.
기장군 대변항에서의 기장 멸치축제는 한해에 한번 개최하는 행사이다.
마침 이 행사기간 관내 대변 초등학교 등 몇몇 관내 학교 동창회가 개최되는 기간이라서인지 행사장은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청호 나이스(주)에서 이과수 정수기를 전시하였다.
아래의 ‘ 이과수 일반 정수기 S’ 외 정수한 물로서 얼음, 냉수, 온수, 정수가 나오는 '이과수 얼음 정수기 플러스' 도 개발했다고 한다.
.................................................................................
* 이과수 - 일반 정수기 S (가정용 )
.....................................................................................
- 3년 의무 사용 조건으로
3개월마다 점검 (필터 교환 등) : 월 렌탈료 19,900원
- 규격 : 높이 41.5 cm, 폭 18 cm, 깊이 41.3 cm
- 정제 범위 : 필터로써 잔류 염소, 미세 먼지, 녹, 냄새 등 제거
- 한국 전수기 공업 협동조합, 검사필
- 공장 : 충북 진천군 (대표 : 이석호)
- 무료 상담 : 080 - 047 - 1005
- 본사 : 서울 서초구 ( 02, 2683 - 0893 )
※ 가족 수가 많으면 정수기 아래 물장독(울주 옹기) 을 두고서 정수된 물을 담아 두고서 사용하면 식용수(밥, 국, 음용수용)로써 충분하다.
-- 2013. 5. 3(금), 2013. 6. 21(금), 2013. 6. 23(일), 2013. 10. 25(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