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 방하 키우기와 상품화된 흙
- 호박 이야기 그리고 -
한 구더기에 그렇게 많이 열리는 호박이 무슨 영양가가 있겠느냐고 하는 사람도 없지 않았다. 그래서 호박은 ‘ 다산’ 의 상징이 되어 왔던가 !
호박은 단점이 조직(텍스처 =textur)이 부드러운 반면 빨리 부패되는 점이다. 그래서였을까 ?
우리 조상들은 호박, 방하, 머구, 고추 등은 집 가까이 심어두고 아침 저녁의 반찬거리로 조리해서 먹어 왔다.
제안자는 호박잎쌈을 먹기를 좋아하지만 도심의 아파트에서 사는 이들은 이를 쉽게 먹을 수 없다.
올해에는 늙은 호박전에서 설탕을 멀리하면서 호박전을 못 먹고 있다. 설탕을 뺀 호박전은 먹어보니 맛이 너무 없었다 ( ^^ : 2014년 11월)
그래도 설탕을 마구잡이 넣는 곳(식품 기업, 음식점 등)이 많아서 그동안 불만이 많았는데 요즈음은 설탕을 아예 멀리하니 마음이 오히려 편하다
방하(독특한 향기가 나는 식물)는 된장찌개에 넣어서 먹으면 찌개의 맛을 돋운다.
요즈음 도시의 집에서 화초처럼 화분에 방하를 심어놓고 물을 주고 키우면서 된장찌개에 넣어 먹는 사람이 더러 있어서 나도 따라서 농장에서 방하 한뿌리를 얻어 와서 화분에 심어 베란다에 놓아두었다. 된장찌개에 넣기 위해서이다. 방하 잎을 먹을 수 없는 늦가을에는 송이 송이 보라색 꽃도 피어서 밉지 않았다. ( ^^ : 2014년 9월, 10월 )
제안자는 꽃꽂이 선생이지만 꽃값이 아까워서 요즈음은 방하의 화분과 같이 꽃화분을 보고 즐긴다. ‘제라늄’ 이라는 꽃은 서양의 꽃이지만 아파트의 발코니에 두면 사시사철 꽃이 피고 늦가을과 추운 계절에도 천천히 꽃을 피우는데 그 모습은 여름철 흐드러지게 피는 꽃봉오리보다 훨씬 아름답다.
도심에서 방하를 키우자면 흙이 필요하다. 흙도 상품으로 나온다.
이름은 “ 땅심 바이요 용토 ” 라고 하는데 물빠짐이 다소 좋은 흙(마사)에 나무껍질을 부수어 섞은 흙이라고 한다. 방하를 심겠다고 하니 방하가 발아해서 자라면 퇴비는 별도로 얹어주어야 방하의 잎이 무성하게 자란다고 한다.
생산처는 부산의 원도심(遠都心)인 부산 강서구 죽림동이다.
사무실이 있어 주문하면 안내도 해준다. 전국에서 구입도 가능하다.
0. 생산처 : 땅심 바이오 ( 신기성 / 부산시 강서구 죽림동)
0. 주문(사무실) : 생략 ( 전화번호 바뀜)
-- 2011년, 11월, 경남 창원국도에서 / 20014년 --
등록 : 2014. 11. 22(토)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시민 게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