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내용은 공고사항이 아닙니다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1999. 10. 20일, 김대중 정부)
제안자 : 소속 및 직 성명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한국전통식품, 지방의 정부식품
===========================
[ 식약처, 국민소통, 여론광장 : 2012. 12. 18일자 등록 ]
[ 식약처, 국민소통, 여론광장 : 2014. 8. 17일/ 8. 19일자 등록 ]
[ 식약처, 국민소통, 여론광장 : 2014. 10. 26일자 등록 ]
[ 식약처, 국민소통, 여론광장 : 2014. 11. 28일자 등록 ]
........................................................................
경남 : 지사, 홍준표
............................
0. 하동재첩, 하동녹차(+ 메밀가루 차 ),
0. 하동 감식초,
0. 하동 배
0. 남해 멸치,
0. 남해 마늘,
0. 남해 유자청 (유자 + 설탕)
0. 두도 생선 어간장 / 바다 천지 어간장
0. 산청 한방 - (* 산청에 동의보감 박물관 )
0. 조청, 전통 한과,
0. 산청 벌꿀
0. 경남 합천 한우,
0. 거창 사과
0. 경남 합천 - 전통국수 (구포국수)
0. 거제 대구
0. 창원 단감
0. 창원 농기계 (대산 농공단지- LH),
경남도 식품생산연구소 : 진주시
- 수원 : 남강
- 역사의 고장 : 진주 촉석루, 진주 대첩, 진주 논개
※ 진주에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소재
* * * * * * * * * * * * * * * * * * * * * * * *
부산 : 시장, 서병수
.......................................
식품 안전처 - 옛 부산시 공무원 교육원을 사용
0. 한국 설탕 - 이전 제일제당 부지 근처 (동천 -경부 고속도로 진입로와 근거리 )
☆ 부산시 금고인 부산은행에 유니세프(= 국제 아동기금)의 동전함 비치 - 홍보대사는 영화 배우, 안성기씨
0. 한국전통식품, 기장 멸치젓 ( + 새우젓 , 각종 젓갈 ) : 기장군 소재의 고리 원자력 가동 중단 결정 (가동 중단 : 2017년 6. 18일부터 )
0. 부산의 향토식품 - 생선회, 식초장( + 설탕)
* 부산 어묵
- 빅딜 식품 (크게 취급하는 식품)
- 보존제 등이 전혀 첨가되지 않은 즉석 어묵( 구운어묵, 찐 어묵)
- 생산 후 5시간 이내 전국의 수산시장에 도매가로 출하 ( 유통수단 : KTX 포함)
0. 강서 대저 짭짜리 토마토,
0. 최시훈 배즙
0. 기장 다시마, 미역 : 기장군 소재의 고리 원자력 가동 중단 결정(가동 중단 : 2017년 6. 18일부터 )
0. 새 자갈치시장 - 생선회
0. 수산 과학원
0.개량된장(생선회, 돼지 수육의 양념장)과 충장 생산 - 빅딜 지방식품
※ 부산 국립 국악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부산 어묵
- ‘ 유탕처리한 어묵’ 은 마지막에 정제된 식용유 속에서 익히는 식품으로
정제된 식용유의 안전성이 어찌하던 확실하게 확보되어야만 한다.
* 부산 어묵, 세계인 입맛 사로잡는 먹거리로
‘ 부산 어묵 산업화 지원 계획’ 수립 추진 - 세계인도 먹는 어묵으로 육성,
2016년 ~ 2019년까지 장림피혁수산가공단지 내, 연육 가공공장 2개를 건립하여 2020년까지는 이곳을 어묵 가공 거점 단지로 조성.
2016년부터 연차적으로 국시비 200억원을 들여 단순한 먹거리에서 건강과 다이어트 등 다양한 수요에 응하는 먹거리로 개발. (2015. 4. 22일, 부산시보, A11면 )
허남식 시장 당시 부산시는 부산 어묵을 중국 상하이(대한민국 임시정부 소재지)에 수출키로 결정한 바 있다.
-- 2015. 4. 25(토) --
* * * * * * * * * * * * * * * * * * * * * * * *
울산 : 시장 , 김기현
....................................
0. 울주군 옹기
0. 조청
0. 울산 신고 배
* * * * * * * * * * * * * * * * * * * * * * *
경북 : 지사, 김관용
...................................
0. 구룡포 과메기
0. 오징어, (반 건조 오징어)
0. 영덕 대게,
0. 경산시 메주와 알메주,
0. 고춧가루, 고추씨 기름 : 영양군
0. 자연산 전복죽,
0. 전통국수 : 포항
0. 포도주 - 경북 영천 ( 영천 포도)
0. 상주 곶감
0. 성주 참외
0 경북 영천 포도
0. 청송 사과
0. 김천 유기(놋그릇)
※ 경주(고도) : 한국 전통식품 연구원
* * * * * * * * * * * * * * * * * * * * * *
대구시 : 시장 , 권영진
..........................................
※ 대구 국가 과학 산업단지 (달성군)
* * * * * * * * * * * * * * * * * * * * * * *
서울특별시 : 시장, 박원순
..........................................
☆ 현 청와대 ( 미래의 한국전통식품 교육원)
0. 궁 : 영빈관 + 한국전통식품 연구원(전통음식 생산지)
0. 서울 깍두기( + 설탕 ) : 지방의 빅딜 식품
- 장소(※) :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2013. 8. 7일, 조선일보, 이광희 기자 )
※ 한국 국회 (여의도 )
※ 대법원 (서초구)
* * * * * * * * * * * * * * * * * * * * * * *
경기도 : 지사, 남경필
.....................................
0. 참살이 탁주,
0. 양조 간장 - 지방의 빅딜 식품 (* 장소 : 안산 88 올림픽 기념관 )
0. 이천, 여주 도자기 (* 여주는 민왕후의 출생지)
0. 천연 삼베 - 경기도 하남시
서울. 경기 식품생산연구소 : 경기도 화성시 (? - 2016. 5. 8일, 오후 6시
KBS 열린 음악회 개최 : 경기도 화성 행궁에서 )
0. 동물 사료
※ 국민 임대주택 집단 건설지역
* * * * * * * * * * * * * * * * * * * * * * *
인천시 : 시장, 유정복
...................................
0. 강화군 - 참기름, 들기름, 식용유 생산 연구소 (한국 전통식품)
※ 인천 국제 공항,
* * * * * * * * * * * * * * * * * * * * * * *
충남 : 지사, 안희정
....................................
0. 충남 당진군 : 한국 밀가루
0. 인삼, 녹용 생산 연구소 (+ 한국 담배 인삼 공사 )
0. 인삼, 수출인삼(수출홍삼),
0. 천안 병천 순대 - 향토식품
0. 오양 새우젓 : 틈새 한국전통 식품
0. 청양 고추 (맵지 않은 초록 고추)
※ 부여 : 한국 전통식품연구원 - 백제
※ 세종특별자치시
* * * * * * * * * * * * * * * * * * * * * * * * *
충북 : 지사, 이원종
........................................
대통령 별장, 대통령 기념관 청남대 ( 미래의 청와대 ? )
0. 괴산 청결 고추
0. 괴산 절임 배추
0. 괴산 식용 한지.
0. 제천 한방 (+ 화장품),
※ 오송 : 질병관리본부 / 보건환경연구원 본원
※ 세종특별자치시
* * * * * * * * * * * * * * * * * * * * * *
대전 : 시장, 권선택
...............................
0. 성경 조미 김,
※ 카이스트
* * * * * * * * * * * * * * * * * * * * * * * *
강원 : 지사 , 최문순
................................
0. 횡성 한우, 대관령 한우, 대관령 목장 우유
0. 용대리 황태채,
0. 정선 산나물,
0. 봉평 메밀,
0. 메밀국수, 냉면 등 제조 공장 - 빅딜식품 (크게 취급하는 식품)
......................................
※ 삼척시 원덕읍, 러시아 천연가스 터미널 유치 (북한과 협의 완료)
-- 2012. 10. 5, 조선일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북 : 지사, 송하진
.................................
0. 전북 순창 장류 / 장아찌,
0. 전주 한지
0. 임실 치즈
※ 전주 한옥마을, 오목대 (제 2장류 생산 - 청국장, 장류 )
※ 익산 : 수출식품 생산지
* * * * * * * * * * * * * * * * * * * * * * * *
전남 : 지사, 이낙연
...........................
0. 신안 소금,
0. 여수 돌산 갓김치, 고들빼기 김치,
0. 진도 돌김,
0. 조미김
0. 진도 삶은 홍합 말린 것,
0. 전복, 전복죽,
0. 진도 홍주,
0. 진도견
0. 완도 다시마, 완도 미역 (양식산)
0. 진도 흑미
국립 국악원
0. 전남 나주 배
※ 지역균형개발로 2007. 11월 광주,전남 혁신도시(빛가람)를 착공하여 이곳에는 31층의 한전 신사옥이 들어섰다. (- 2015. 10. 12, 조선일보 A16, 조홍복 기자 )
0. 전남 무안 - 황토 양파즙
* 무안지역은 땅이 황토
☆ 1, 전남 신안 ‘임자도’ 천일염, - 김장 배추 절임용 소금 (우선)
- 2015. 4. 17일 신안군 ‘임자도’ 튤립 축제
☆ 1, 전남 증도 천일염 - 김장 배추 절임용 소금 (우선 )
- 증도섬의 천일염 생산량이 신안 천일염 생산량의 8,90 %
- 증도섬과 육지와는 현재 교량으로 연결되어 있음
* * * * * * * * * * * * * * * * * * * * * * * * *
광주 : 시장, 윤장현
............................
0. 수출 김치 - 감칠배기 (제안서 30쪽, - 2) 멸치젓 소금과 김치 )
※ 한국 전통식품 김치생산 연구소 소재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주도 : 지사, 원희룡
.................................
해군 기지
0. 돼지,
0. 말린 전복,
0. 참굴비,
0. 제주 워터
0. 우도 땅콩
0. 제주 마늘 (김치 생산용)
0. 단무지 (+ 설탕) - 지방의 빅딜 식품
0. 서귀포시 (시장 : 여, 현을생) 청정 고사리
- 서귀포시 남원읍 (국가 태풍센터 서측)
- 2015. 5. 2일 ~ 5. 3일
0. 서귀포시 청보리 축제
- 기간 : 2015. 4. 11(토) ~ 5. 10(일), 한달 간
- 가파리 사무소 : 064) 794 - 7130
0. 제주도의 양식 참치 통조림 : 식용유는 우선 단순 압착유인
수입산의 올리브유를 사용하여 생산한다. ( 품명 : 주, 제주 양식 참치 통조림)
0. 감귤 (=밀감 )
~~~~~~~
끝
~~~~~~
등록 : 2014. 11. 27(목 )/ 11. 28(금)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 정승) > 국민소통 > 여론광장 외 (색조 파일 등록)
..............................................
등록 : 2014. 12. 19(금)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 정승) > 국민소통 > 여론광장
..........................
등록 : 2015년 4월 21(화)/ 4월 25(토) / 9. 24(목)/ 11. 17(화)
2016. 5. 9(월)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부산 어묵 - 빅딜 식품
- 보존제 등이 전혀 첨가되지 않은 즉석 어묵
- 생산 후 5시간 이내 전국의 수산시장에 도매가로 출하
- 어묵은 마지막에 정제된 식용유 속에서 익히는 유탕처리 식품으로 식용유의 안전성이 어찌하던 확실하게 확보되어야만 한다. 식용유의 종류는
발연점이 높다는 포도씨유로써 사용하되 와인 생산지인 프랑스에서 직수입한 식용유로 식약청은 이를 연 1회( 매해 7월) 검사하여 인증하고 또 해양수산부의 식품검역원(매해 1월)에서도 검사하여 이상이 없는 프랑스산의 정제된 포도씨유로써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