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이동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 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 하신 후 복사 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 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 할 수 있는 열린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없이 삭제 될 수 있으며, 특히, 게시물을 통한 명예훼손 및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유해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9월18일-보름달 보며 소원 빌어볼까

내용
9월18일-보름달 보며 소원 빌어볼까
추석 보름달은 풍요의 상징. 하지만 송편은 정작 보름달이 아닌 반달 모양을 본떴다. 왜 우리 조상들은 둥근 달이 뜨는 추석에 반달 모양의 송편을 빚었을까. 내가 빚은 반달과 네가 빚은 반달을 합쳐 탐스러운 ‘온달(滿月)’을 만들자는 마음이 담겨 있는 것은 아닐지. 올 추석엔 서로의 부족함을 채워 주는 송편 같은 마음이 넘쳐 났으면 좋겠다.
해가 갈수록 보름달을 보면 마음이 차분해져 한 해 동안 쌓여있던 찌꺼기들이 비워진다. 두둥실 떠오른 달을 향해 두 손 모아 기원했던 소망들. 어른도 아이도 잠시 선 채 눈을 감고 가족의 건강, 꿈, 행복을 빌며 입가에 머금던 미소. 추석 연휴 후유증으로 기력이 빠져 힘들다면 그때 되뇌던 소소한 소망들을 떠올려 보자. 우리가 그랬듯이 누군가는 저 둥근 달을 보며 우리를 위해 기도했을 것이다. 올 추석에도 맑은 날씨덕에 휘영청 보름달을 볼 수 있다는 소식. 한가위 보름달에 근심, 번민 비워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