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이동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 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 하신 후 복사 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 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 할 수 있는 열린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없이 삭제 될 수 있으며, 특히, 게시물을 통한 명예훼손 및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유해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월15일,목요일-심술 부리는 ‘칼바람’도 예술의 영감

내용
1월15일,목요일-심술 부리는 ‘칼바람’도 예술의 영감
‘겨울’ 등 사계(四季)를 그렸던 화가 고야는 “나의 스승은 셋”이라고 했다. 그가 꼽은 스승은 화가 렘브란트와 벨라스케스, 그리고 날씨였다. 숱한 예술가에게 날씨는 영감이 됐다. 차이콥스키의 ‘사계’나 비발디의 ‘사계’ 역시 계절이 낳은 명곡. 오늘도 전국이 꽁꽁 얼어붙는단다. 이런 날씨엔 비발디 ‘사계’ 중 칼바람 부는 매서운 추위를 묘사한 ‘겨울’ 1악장이 딱!
그래도 추위가 내심 반가울 때가 있었다. 그 사람의 손을 처음 잡은 것도. 한 해의 마지막 날 거리에서 서로 빨개진 코끝을 보며 깔깔거렸던 추억도 따지고 보면 추위 덕분이었다. 그런데 요즘은 그 추위가 조금은 미워지려고 한다. 날씨 예보에 찍힌 영하 두 자릿수 기온을 보면 한숨부터 나온다. 그래서인지 올해는 아직 오려면 먼 봄이 유난히 더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