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이동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 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 하신 후 복사 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 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 할 수 있는 열린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없이 삭제 될 수 있으며, 특히, 게시물을 통한 명예훼손 및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유해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산사애 포기 김치, 국민 수요에 응할 수 있는가 ?

내용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주 제 : 식품 안전 (Safe food )

제 목 : 산사애 포기 김치, 국민 수요에 응할 수 있는가 ?
수신(공개) : 관할 시도지사



제안자는 김장 배추김치는 수년동안 제안자의 큰언니가 담아주는 김치를 먹어왔다.
담그는 방법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언니는 김장김치에 설탕은 넣지 않고 찹쌀풀을 넣고, 그리고 담근 배추김치에는 속으로 무채 등을 넣지 않고 고춧가루 양념 등으로 잘 버무린 포기의 배추김치를 다만 김치통에 넣을 때 어슷 선 무 조각(소금으로 버무린)을 켜켜이 넣었다.
물론 고춧가루 양념을 버무릴 경우에는 국물로써는 멸치, 다시마를 잘 우려서 국물로 넣었다.
아래의 산사애 포기 김치는 요즘 문제를 일으키는 설탕이 들어간다. 그러므로 식재료를 다시 구성하여 식재료(기장 멸치액젓, 강경 오양 새우젓, 신안 천일염)를 정부식품으로 넣고 생산자가 직접 담아 먹어 보고 일주일 후까지 인체에 이상 증상이 없으면 제안자 이메일에 홍보 요청 하면 국민들에게 홍보할 것이다.

O. 제안자 이메일 : an5330@hanmail.net


아울러 해당구군청의 공무원 4명(즉 음주를 하지 않는 공직자의 부인 4인) 도 이 산사애 배추 김치를 항상 먹으면서 점검(관능 평가)을 해야 한다.
이 조건은 생산자 외 산사애 김치를 인증할 식품 전문가 (식품 생산원급)이 없이 김치를 생산 판매하므로 요구하는 것이다

첨부 : 산사애 연 포기 김치

-- 2014. 9. 15(월) --
.
.
^^^^^^^^^^^^^^^^^^^^^^^^^^^^^^^^^^^^
첨부 : 산사애 연 포기 김치
^^^^^^^^^^^^^^^^^^^^^^^^^^^^^^^^
[ 제안 추진 내용 2011년 21 ]

산사애 연 포기 김치 출시



김치명인(농림수산식품부 지정) 유정임 선생이 만든 산사애 연김치가 나왔다. 아마 스님들의 입맛에 맞춘 김치인 듯하다.
연근(蓮根)가루를 넣어 김치가 빨리 익지 않고 김치맛이 아삭아삭하면서 시원한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김치제조과정은 HACCP 인증을 거쳐 위생관리체재를 갖추었다.
재료는 100% 국내에서 생산한 재료이다.

0. 연포기 김치의 재료
절임배추, 무즙, 무채, 다시마 육수, 고춧가루와 물고추, 마늘, 생강, 새우젓과 멸치액젓, 갓, 양파, 부추 또는 쪽파, 정백당, 대파. 재제염

0. 김치 가격
1) 10kg, 52,900원 ( 연 포기김치 7kg + 연 열무김치 3kg)
2) 연 포기김치 : 5kg, 28,500원
3) 주문전화 : 080-289-5000
4) 배송비 : 30,000원 이상 주문하면 면제된다.

-- 2011. 7. 9(토), 불교신문, 광고 --
-- 2011. 7. 15(금), www. sansae. co. kr --

.
.
등록 : 2014. 9. 15(월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 정승) > 국민 소통 > 여론 광장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