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이동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 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 하신 후 복사 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 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 할 수 있는 열린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없이 삭제 될 수 있으며, 특히, 게시물을 통한 명예훼손 및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유해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약초(藥草)의 재배 및 검사 - 내용 일부 삭제

내용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제 목 : 내용 일부 삭제

수정부분( 삭제부분) .............................

목차에서

“ 제목 : 지방자치단체, 한방 약초산업 육성 ” 의 내용,
[ 제안 추진 내용 2007년 65 ) ※ 2006년 9, 9-1, 12 ]
.
.
(중간 줄임)

- 산청군, 약초 전략산업 선정 -

^^^^^^^^^^^^^^^^^^^^^^^^^^^^^^^^^^^^^^^^^^^^^^^^^^^^^^^^^^^^^^^^^^^^^^
동의보감 저자 허준 선생 스승인 신의(神醫) 유의태 선생의 고향인
산청군
^^^^^^^^^^^^^^^^^^^^^^^^^^^^^^^^^^^^^^^^^^^^^^^^^^^^^^^^^^^^^^^^^^^^^^
의 내용,
[ 동의보감 저자 허준 선생 스승인 신의(神醫) 유의태 선생 ]
에서 동의보감 및 허준 관련 문헌에는 ‘ 허준의 스승이 유의태’ 라는 부분이 보이지 않음

-- 2014. 6. 27(일) --.
.
.

==================== 내용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안일 : 1999년 10월 20일
제안자 : 안정은 ( 소속: 부산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

제4장, 1. 한국전통식품의 발전방향 -- 가, 한국전통식품의 제조를 가정에서 정부로 이관 -- 2) 멸치젓, 소금과 김치, 30쪽
..........................................................................

김치는 우리가정에서 먹는 외에 외국인들에게도 한국의 인삼, 불고기와 함께 많이 알려져 있다 하는데 정부에서 김치를 생산하여 한국전통식품으로서의 수출상품으로서도 내어 놓아 해외교포들과 외국을 관광하는 한국인들이 김치를 먹을 수 있도록 하고 또 일본의 "기무치"에 한국의 김치가 밀려나는 부끄러운 일도 없어야 할 것이다.
별 문제가 없다면 현 한국담배인삼공사를 식품의약품안전청과 합하여 질좋은 인삼을 증산하고 또 보증하여 국민건강에 이바지하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제 4장, 2. 대체식품 및 기타식품 --사. 약초의 재배 및 검사 226쪽 ~228쪽.

..................................................................................


사. 약초(藥草)의 재배 및 검사

동사무소의 심한 추위 속에서도 공무원 담당자로서 기간 내 해야 만 할 일 때문에 밤 10시, 새벽 1시까지 야근(夜勤)하면서 무리하게 일을 하게 되면 찾아오는 것이 감기이다. 감기는 만병의 근원(根源)이 된다 하여, 생강차에 꿀물을 타 먹고 다스려도 듣지 않으면, 가까운 약국에 가서 양약(洋藥)을 몇 첩 사 먹어도 개운하게 낫지 않는 것이 감기인데 그 뒷기침은 한약 2,3첩을 달여 먹으면 조용히 가라앉는다. 한약의 효험은 신기한 것이다.
한약 외에도 우리나라 인삼(人蔘)의 효능, 곪았을 때 칼을 쓰지 않고도 곪은 곳을 터뜨려 고름을 빼 낸다는 선인장, 겨울에 강단(講壇)에 서서 무리하게 수업하면 찾아오는 목안의 초기 편도선염의 증세도 소금물로 씻고 나면 가라앉고, 또 가벼운 치질 증세도 옛날의 할머니께서 일러준대로 소금물을 데워 약간 식혀 찜질하면 곧 가라앉는 등 민간의 약으로 일컬어지던 것들이 양약(洋藥)의 발달로 많이 사라지는듯 하지만 식품과 약품이 별로 구분이 없어 보인다.
잘못 먹은 식품으로 잇몸이 좋지 못하면 미역국을 끓여먹고 그 국 속에 곱게 가루로 만든 멸치가루를 풀어 넣어 다시 한번 끓여 밥과 함께 먹고 나서 하루만 지나면 금새 잇몸이 단단해진다. 이미 흔들리는 이는 어쩔 수가 없지만.
부산광역시에는 부산진구에 있는 부전시장의 뒤편에는 건재상이 많아 말린 약초들을 많이 팔고 있다. 어디서 심어서 내어놓는지도 모를 약초들이 가득하다.
우리 나라에는 산이 많아 산골에 가면 요즈음도 층계논들이 많다. 낮은 곳에는 물이 있어 벼농사를 지을 수 있으나 높은 곳에는 밀, 콩, 보리 등 밭 작물을 심었는데 요즈음은 콩 밀 등은 생산이 쉽고 또 단위당 생산량이 많은 아열대 지방인 동남 아시아나 중국에서 싼값으로 수입해서 많이 쓰고 있기 때문에 인력이 모자라는 대부분의 농촌에서는 층계 논이 농촌의 빈집과 함께 버려져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 비워진 층계 논이나 야산(野山)에 꿀통을 놓아 꿀을 모으고, 약초나 인삼, 산나물, 버섯, 담배 등을 심어 재배할 사람이 나서면 그 재배 방법을 인체에 무해한 방법으로 재배할 것을 조건부로 하여 계약하여, 식품생산원이 재배과정에 참가하고 또 점검하여 종자는 좋은 것인가, 인간이 먹어도 나쁘지 않는가, 혹은 독성은 없는가를 검사하여 이상이 없으면 출하 가격을 산정하여 출하해 내면 되겠다.
약초를 판매할 수 있는 곳은 식품 유통 장소와 기존의 건재상으로 하고, 약초를 많이 판매하고자 하는 식품 유통장소에서는 다른 식품보다 약초를 많이 인계 받아 판매하면 되겠다.
약초의 재배에 관한 계약은 쌀 등 농수산물의 계약과 같이 매년 혹은 시기에 맞추어 지역, 약초의 종류, 재배 방법 등을 명시하여 공고하고, 희망자들 중에서 선택하여 재배하면 될 것이다.
단, 각 지방자치단체와 계약하지 않고는 약초를 재배할 수 없으며, 또한, 꿀, 버섯, 산나물 등을 재배할 수 없다.
약초는 별도로 키우는 것 외에 살구씨 등 여러 종류의 식물이 약초 및 한약의 재료로 되고 있다. 약초 및 한약의 재료로 쓰이는 식물 및 나무에 대하여도 역시 계약하여 약용 식물임을 표시 (예: 부산광역시 계약 제 37호, 안전 약용식물: 정약용) 하여 나무에 걸고, 나무 및 식물 주위는 울타리를 쳐서󰡒안전 약용 식물 재배지󰡓라는 팻말을 붙여 타인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표시하고 보호하여, 그 곳에서 채취한 약용 식물 및 열매를 식품생산원 (식품 검사원)이 최종 검사한 후, 보증 상표를 붙여 출하하여 내면 되겠다.
그리고 한약을 취급하는 한약국이나, 약국, 한의원이 안전한 식품이나 약초를 쓰고 있는가에 대한 점검은 한약국, 약국, 한의원이 소재한 관할 지역의 식품 검사원이 하며 그 점검 및 방법, 위반 시의 제재 규정 등은 식품접객업소에서 음식을 만들 때, 그 재료를 안전 식품을 사용하고 있는지 그 여부를 점검하고 검사하는 것과 동일하게 하며 위반 시의 제재 규정 등도 식품의 예와 같이 한다. 물론 그 위반에 대한 책임은 한약국 및 약국의 약사, 한의원, 한의사 (한의원장) 가진다.
한국 담배 인삼 공사는 식품 의약품 안전청과 합하고 수출을 많이 하는 인삼과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담배의 재배 및 가공 처리는 식품 생산 기술 연구원을 채용하여 그 책임 아래 두고 재배․생산하며, 가공한 인삼 및 담배는 식품 의약품 안전청 마크인 태극 무늬의 상표에 식품생산 번호와 식품 생산 기술 연구원의 이름, 유통 기한, 출하 가격, 판매 가격, 생산 일자을 넣어 외국에도 수출하고 설, 명절 가족들이나 친지들에게 선물도 할 수 있도록 선물용품으로도 포장하여 생산해서, 식품 유통장소에 인계한다.
담배는 현재 담배를 취급하는 곳이 이미 지정되어 있으므로 그 곳을 그대로 유통 장소로 남겨두고 판매하게 하든지, 별도의 유통이 어렵다면 구강(口腔:입안)제품의 하나로 분류하여 주류(酒類), 인삼, 꿀, 담배, 여성의 립스틱, 냅킨, 키친 타올52), 생수 종이컵 등과 함께 진열하여 판매하여도 될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2) 부엌에서 기름진 그릇, 부침용 냄비 등의 기름을 닦아내는 부엌 식기구 전용 휴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제안서 제출 현황
....................................................

정부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 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의 송부는 아래와 같이 하였습니다.


...................................................................

(제안일)


* 부산광역시 안상영 (제안처) : 부산금정우체국 발송 (제안서 3권)
- 1999년 10/20일자 - 등기번호 6093104-210665. (배달증명 청구, 수령 : 10/22, 부산시청, 김미옥 )

* 허 근 식품의약품안전청장 : 부산금정우체국 발송 (제안서 3권)
- 1999년 10/20일자 - 등기번호, 226279 (배달증명 청구, 수령 : 10/22, 식약청, 박수환 수령 )

* 김기재 행정자치부장관 : 부산금정우체국 발송 (제안서 3권)
- 1999년 10/20일자 - 등기번호, 210669 (배달 증명 청구, 수령 : 행자부 총무과, 박용찬 수령 )

........................................

* 한국 국회 : 국회의장 이만섭 : 2000년 6월 7일 - 등기번호 047070

...........................................

(제안서 1권씩, 각시도지사 제출 - 2000. 3/23 일)

1. 송부일자 및 방법

0. 일자 : 2000년 3월 23일,

0. 송부방법 : 등기, 시도지사님 친전

0. 발신 우체국 : 부산 금정 우체국



2. 수신처 (부산광역시 제외 15 곳) - 등기번호

- 강원도 : 김진선 : 043020

- 경기도 : 임창열 : 043019

- 경상남도 : 김혁규 : 043036

- 경상북도 : 이의근 : 043035

- 광주시장 : 고재유 : 020746

- 대구시장 : 문희갑 : 020744

- 대전시장 : 홍선기 : 020747

- 서울시장 : 고 건 : 020745

- 울산시장 : 심완구 : 043023

- 인천시장 : 최기선 : 020748

- 전라남도 : 허경만 : 043034

- 전라북도 : 유종근 : 043038

- 제주도 : 우근민 : 043037

- 충청북도 : 이원종 : 043021

- 충청남도 : 심대평 : 043022

* 등기요금 : 총 40,000 원 (15곳 시도지사 친전)


------------- 2011. 9/21(수), 제안자, 안정은 -----------
*
*
*
*
*
*
*
*

-- 목 차 --
.................................................................................................

0. 강화 인산 약쑥 작목반

0. 지방자치단체, 한방 약초산업 육성

0. 산청군 한방약초연구소, 정부 지원으로 설립확정

0. 산청 한방약초 연구소 문 열어
가) 2013년 산청 전통 의약 엑스포 개최
나) 2013 산청 세계전통의약엑스포를 찾아서

0. 2010년 대한민국 국향대전

0. 도라지 더덕 효소

0. 경남 산청 약초 거래소 설립 - 제안 건의

0. 대의 허준의 생애
.................................................................................................
.
.
.


제목 : 강화 인산 약쑥 작목반

[ 제안 추진 내용 나, 33 : ‘ 신 농정 현장을 가다 ’ ]


0. 강화 인산 작목반

인천광역시 강화군 인산리, 대형 약쑥 창고에서는
강화 인산작목반이 갓 따낸 약쑥을 건조시키는 곳.

인산 작목반이 생산하는 사자발 쑥은 사자의 발바닥 모양으로
생긴 쑥으로 비타민 A,B,C 가 많고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내는 약리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 외에도 강화군 화도면 여차리 이봉영씨는
논 2만평과 한우 60마리를 가지고
올해 처음으로 사자발 쑥 재배를 부업으로 시작하였다.


-- 2002. 5. 20, 대한 매일, 김태균 기자 --
*
*
*
*
*
*
*
*
*
*
*
*
*
*

[ 제안 추진 내용 2007년 65 ) ※ 2006년 9, 9-1, 12 ]

지방자치단체, 한방 약초산업 육성


지방자치단체들이 약초산업에 뛰어들고 있다. 약초산업이 농업을 대체할 고소득 작목으로 자리하기 때문이다.
특구 지정 양산 등 중복 투자, 과열 경쟁으로 인한 생산 과잉 등의 부작용도 지적된다.



- 대구 경북, 2011년까지 한방산업 클러스터화 -

전국 최고최대 한약재 생산지이며 유통지인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는 2011년까지 함께 1,816억원을 투입하여 “대구경북 한방산업 클러스터화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보건복지부의 한의학 육성발전 종합 계획에 따른 것이다.
경북 경산시 갑제동과 삼풍동에는 한방산업 진흥원(1만㎡ ),
경북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 한방자원 산업화 단지 (759,000 여㎡)
경북 안동시 풍산읍에는 한방 유통 지원 시설 및 약용 작물 개발센터(총 10만 ㎡)를 만든다.

경북 영천에는 한약재 종합 유통센터 및 전통 한방 거리가 만들어진다. 영천은 전국 한약제 유통량(한해 7,000톤 →5,000억원)의 30%를 차지한다.

경북 상주시 한방자원 산업화 단지는 우리나라 최초 사설 의료기관
“존애원”(存愛院 : 지방 문화재 기념물 제 89호) 정신을 계승한다는 차원에서 비롯되었다. 한방 수련원, 한방 테마 체험관, 공예촌, 한방건강센터 등의 관광 체험단지로 만들어진다.

대구 경북 한방 산업 진흥원 관계자는“한방 클러스터 사업이 완료되면 직접 생산액 *1조 140억원 (=10,140억원)과 부가 생산액 3,895억원 등 총 1조 4,000억원 이상의 생산 효과가 기대된다”고 예상했다.



- 산청군, 약초 전략산업 선정-

경남 산청군은 약초를 전략산업으로 삼았다. 820여 농가가 483㏊에서 약초를 생산하고 있다. 매년 한방약초 축제를 열어 산청이 “약초의 고장”임을 알린다. 축제 때는 100만명이 찾아 시골 마을이 북적인다.

산청군은 산청읍 일대 28,000㎡에 총 49억원을 들여 약초재배단지와 약초 연구소, 한의학 박물관, 한방 약초 사이버 박물관을 만들 계획이다. 한방 휴양 관광 단지도 만든다.

지리산과 덕유산을 끼고 있는 경남 함양군은 “1마을 1약초”재배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2,600여 농가가 482 ㏊의 재배 단지를 조성했다. 함양읍 웅곡리 일대(38㏊)에는 약초 가공 시설 및 유통 시설 등을 갖춘 약초 밸리(valley)인 약초 생산단지가 조성된다.

지리산 자락인 경남 거창군도 올해 90여개의 한의원이 결합한 국내 최대의 *한방 네트워크인“나비 네트웍스”유치를 성공했다.




- 제천시, 한방산업팀 구성 -

전남 장흥군은 생약초 한방 특구로 지정되었다. 이 일대는 바다와 내륙이 적절히 조화되어 예로부터 “생약초의 보고”로 불린다. 900여 농가가 한약초 350여 ha를 재배한다. 전라남도의 한방 산업 진흥원을 이 곳에 옮겨주도록 건의했고 아토피 치료센터도 세운다.


대구 약령시( 한약초 등 한약재를 많이 팔고 있는 대구.중구에 있는 시장) , 전북의 전주와 함께 전국 3대 약초 시장으로 불리는
충북 제천시는 약초 웰빙 특구로 지정 받아 제천시의 행정조직에 “한방 산업 팀”을 만드는 등 약초의 메카 육성에 나섰다.

제천시는 2010년까지 민자 3,000억원 등 총 4,600억원을 투자하는 “한방 특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또 2010년 “제천 국제 한방 엑스포”개최와 한방 과학관을 설립하는 방안도 준비하고 있다.



제주도는 자체적으로 142억원을 들여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리 백약이오름(예로부터 100여가지 약초가 난다 해서 붙여진 이름) 일대에 약용작물 단지 등을 만든다는 계획을 세웠다.



- 과열 경쟁·부작용 우려도-

FTA (자유무역협정)등 농산물 수입 개방에 따라 값싼 외국산 한약재가 대거 수입될 전망이어서 자칫 국산 한약재의 경쟁력 저하와 재배기반이 뿌리채 흔들릴 것으로 우려된다. 또 국내 한약 관련 산업이 IT
- NT- BT 등 다른 산업에 비해 영세성을 면치 못해 한방산업을 독자 산업으로 발전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 한방산업팀 양무수 사무관은 “국내 한방산업에 대한 수요 및 사업 불투명 등으로 정부차원의 지원은 미흡한 상태” 라며“하지만 발전 잠재력이 큰 분야인 만큼 유통 시설 등 인프라 구축 사업을 시작으로 지원을 점차 늘려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재정경제부 지정, 전국 한방특구 지정 시기 및 내용 --


대구 중구 - 2005년 1월, 대구 약령시 한방 특구(유통. 물류)

경남 산청 - 2005년 4월, 산청 지리산 약초 연구 발전 특구
(향토자원 진흥)

충북 제천 - 2005년 4월, 제천 약초 웰빙 특구 (유통, 물류)

서울 동대문구 - 2005년 7월, 서울 약령시 한방 산업 특구(유통, 물류)

경남 함양 - 2005년 9월, 함양 지리산 약초 건강 식품 특구
(향토자원 진흥)

경북 영천 - 2005년 9월, 영천 한방 진흥 특구(유통,물류)

전북 진안 - 2005년 12월, 진안 홍산 한방 특구 (유통, 물류 )
인천 강화 - 2006년 6월, 강화 약쑥 특구 (향토 자원 특구)

전남 장흥 - 2006년 9월, 장흥 생약초 특구 (향토 자원 진흥)


------------------------------------------------
*한방 네트워크 ---
전국 최대의 한의원 네트워크는 본디올 한의원 네트워크(전국 61개한의원)와 나비 한의원 네트워크가 있다.


-- 2006년 본디올 한의원 네트워크, 홍보지 --
-- 2007. 8. 16(목), 서울신문, 전국 종합, 대구 /김상화 기자 --
-- 2014. 7. 21(월), 국제신문 12면(경남, 울산), 김인수 기자 --

*
*
*
*
*
(이하 줄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