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이동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 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 하신 후 복사 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 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 할 수 있는 열린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없이 삭제 될 수 있으며, 특히, 게시물을 통한 명예훼손 및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유해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인일자리 사업’ 농촌 배려해야

내용
노인일자리 사업’ 농촌 배려해야


농민 17%만 참여 경험 …농업 특화형 일자리 등 필요
 정부의 노인일자리사업 확대로 노인들을 위한 일자리가 해마다 늘고 있지만 농업·농촌의 특성에 대한 배려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농촌 노인일자리의 현황과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04년 3만5127개였던 노인일자리 수는 2012년 24만8395개로 8년 사이 7배 넘게 급격히 증가했다. 정부가 2004년부터 고령사회에 대비해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창출·제공하는 노인일자리사업을 본격 시행한 데 따른 결과다.

 하지만 농촌에서는 이 같은 변화가 크게 와닿지 않는 모습이다. 농촌지역(읍·면)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4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노인은 17.6%에 불과했다. 농촌노인 중 30%는 이런 제도가 있는지조차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행 노인일자리사업이 접근성이 떨어지고, 농번기·농한기가 뚜렷한 농업·농촌의 특수성을 감안하지 않은 채 도시 위주로 추진되고 있는 탓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농업·농촌 특화형 노인일자리’를 확충하고 관련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예컨대 농번기 때는 일정기간 근로 의무를 유예해주고, 농한기를 이용해 관련 교육이나 훈련을 실시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대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농촌지역의 새로운 노인일자리 개발을 위해서는 농협이나 한국농어촌공사, 농업기술센터, 여성농업인센터와 같은 농업관련 기관들의 지원과 협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교통 문제도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면 단위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통근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교통비도 더 많이 드는 애로점이 있다. 때문에 참여자나 담당 인력의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예산이 필히 반영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홍보의 중요성도 강조된다. 노인일자리사업을 수행하는 노인복지관의 한 관계자는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텔레비전·라디오·신문 같은 매체는 물론 농업인행사나 이장단회의 등을 적극 활용해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