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안자가 자주 가는 부산의 유명식당 외

내용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 목 : 전원주 고무 장갑


시중에 나가보니 전원주 고무장갑이 보인다.
전원주씨는 탈렌트인데......

2개를 사와서 부엌에 걸어놓고 끼니

0. 고무장갑의 소매가 넓어서 끼고 벗기가 아주 쉽고

0. 장갑 안에 따뜻한 털이 달린 천이 같이 붙어 있어서 겨울철의
찬물에서 사용하여도 전혀 손이 시렵지 않다.
보통 시중의 고무장갑은 차가와서 손에 면장갑을 따로 끼어야 하고
또 장갑의 소매가 좁아서 설겆이를 하면서 소매의 옷이 같이 젖기가
다반사였는데........ 부엌에서의 행복이 따로 없구나 !


-- 2014. 1. 22(수), 규방 일지 --


* * * * * * * * * * * * * * * *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 목 : 제안자가 자주 가는 부산의 유명식당, 서울 깍두기


부산에는 옛 부산시청가(중구 남포동) 가까이에 “서울 깍두기” 가 있다.
음식점의 상호명이다. 대표(우00)는 여성이다.
상호와 달리 주 식단이 곰탕, 설렁탕 등이다.
대표의 남편(이씨)은 음식점 바로 옆에서 다른 업종을 하였으나
부산이 식품안전의 제안청이 되고 손님이 많아지자 남편은 다른 업종은 접고 아내와 합류하여
음식점을 차차 개선시키고 메뉴도 줄였다.

주로 외국인보다 부산 시민들이 안심하고 찾는 음식점이다.
부산의 변두리에서는 이 간판을 흉내낸 상호가 더러 있지만 따라가지 못한다.
한우의 값이 오르면서 음식가도 껑충 뛰었다. 어르신들도 뜸뜸이 보인다.

식당 안 뒤쪽에는 학교 반창회 모임을 할 수 있는 (=15명 이하가 함께 앉을 수 있는 ) 단체석도 있고
이층에는 150인이 앉아서 같이 모임과 같이 식사를 할 수있는 연회석도 있다고 한다.
제안자가 즐겨먹는 곰탕은 9,000원 설렁탕은 10,000원이며 쇠고기는 물론 국내산의 한우이다 .


-- 2012, 12. 12(수), 2014. 3. 3(월) 해연 18기 --


* * * * * * * * * * * * * * * *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 목 : 도시락 지참, 출근


구내 식당이 없는 동주민자치센터의 공무원, 은행원, 자영업자들은 도시락을 사서 점심을 해결해야 한다.

요즈음 부산의 자영업자들은
경제적으로 경기가 좋지를 않고 음식점의 식재료가 불안하니 점심시간에는 아내가 사준 도시락을 먹는
남성들이 많았다.
영업장을 들어서는 고객이 미안할 정도이다. (서면 지하 상가, 서면전통시장 2층, 주차장 관리인 외 )

단체급식소가 없는 동주민자치센터 및 은행에서는
근무하는 구성원들이 점심시간 식사를 함께 할 수 있도록 교대로 근무토록 하고
점심식사를 할 수 있는 따뜻한 장소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자영업자라면 겨울에는 보온 도시락을 이용하면 되지만
요즈음 사업장에 보온 밥통을 이용하여 점심시간 전 밥을 데워서 먹는 이들도 보였다.

부산의 시금고인 부산은행은 불우한 부산시민을 위하여
수년전부터 적지 않은 기부금을 부산시장( 허남식)에게 수시로 전달하던데
자사(自社)의 직원들부터 먼저 챙기는 것이 우선일 듯 싶다.

제안자가 제안서를 제출한 후, 반찬 통을 주로 만들어 온 ‘ 락엔 락’ 에서는
봄, 여름, 가을철의 도시락 용기(용기 집 포함)를 생산해 내고 있다.
[ 2013. 9. 25일, 2013년 부산 경향 하우징 페어 전시 : 벡스코 ]

그리고 작년(2013년) 에는 김장 김치통도 낱개로 시중에 내어 놓고 있다.

보온 도시락들도 이미 시중에 다양하게 나와져 있다.

부산의 다도회에서는 오래전부터 점심 도시락을 담아서 작업장에 가져갈 바구니 만들어서
전통시장에서 선을 보이고 있다. ( 안분화/ 부산진전통시장 뒤 영일장식, 051, 631- 0101 )


-- 2014. 1. 9(목), 2014. 9. 12(일) --


* * * * * * * * * * * * * * * *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 목 : 고카페인 식품, 학교 매점 판매 금지

2014년 1월부터 부산지역 초, 중, 고교 학교 매점 및 학교 인근(반경 200 m ) 우수 판매업소 200여 곳은
카페인이 든 커피와 에너지 음료 (150ppm 이상)를 팔 수 없다. 이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 10만원을 물고
우수 판매업소 지정을 취소한다.


-- 2014. 1. 1일, 부산시보, ‘다이내믹 부산’ A 21면,
새해, 달라지는 제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