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인이 근년 가장 많이 섭취한 영양소와 가장 부족한 영양소

내용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 목 : 한국인이 근년 가장 많이 섭취한 영양소와 가장 부족한 영양소


정식 식사에서 단 식품은 밥의 반찬이 못된다.

예로써 고구마는 감자보다 맛이 더 단 식품이다. 그래서 감자는 밥의 반찬이 되지만 고구마는 밥상에서 밥의 반찬이 되지 못하고 간식이 될 수 있다.
시중의 반찬가게에 가보면 반찬이 대부분 단 성분이 든 반찬들이다.
과일에 여러가지 비타민이 많아서 항암식품이라고 현대인들이 세끼 정량의 정식식사를 하고서도 간식으로 즐겨 먹으면 과체중이 된다.

식품전문가는 ‘체중 감소’에서 많이 먹고, 그리고 그만큼 더 운동하여 체중을 감량하는 것보다는 미리 적게 먹어서 음식을 감량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이라고 한다. 그렇다고 성장기의 아이들이나 환자들이 다이어트 해서는 안된다.
성장기의 아이들은 칼슘과 단백질(동물성 단백질 + 식물성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면 신체적 성장에 도움이 된다. 가임기의 여성들은 칼슘의 섭취를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우유에는 지방, 콜레스테롤도 적지 않으므로 임신부나 수유부가 아닌 과체중의 여성들은 저지방 우유와 함께 뼈채 먹을 수 있는 멸치 볶음이 좋다. 멸치 볶음에는 조청이 약간 들어가야 맛이 있다. 깨끗하게 건조된 멸치는 그대로 고추장에 찍어먹어도 밥반찬이 된다.

최근 20년간 한국인에게서 가장 많이 증가해서 먹는 영양소는 지방분이고
권장량에서 가장 부족한 영양소는 칼슘(무기질)이며 그 다음이 비타민 A이다.
그리고 한국에서 흔한 밀감(=감귤)으로 학생들은 비타민 C를 과잉 섭취(180 % 또는 150 %) 섭취하고 있다고 한다. 비타민 C는 항산화제로서 암예방 식품이며 많이 먹어도 비타민 C는 인체에 축적되지 않아 영양상 문제가 없으나 같이 섭취되는 단 성분은 과제중을 불러오기 쉽다.
칼슘은 잔멸치와 뱅어포, 우유에 많으며
비타민 A는 흔한 당근과 늙은 호박에 많다. 이 비타민 A는 질좋은 식용유와 같이 섭취하면 흡수율이 높아진다. (볶은밥, 호박전)


국민을 위한 식생활 지침 10개 항목 (한국인 영양 권장량 6차 개정위원회)
~~~~~~~~~~~~~~~~~~~~~~~~~~~~~~~~~~~
1. 다양한 식품을 골고루 먹자
2. 정상 체중을 유지하자
3.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자
4. 지질은 총 열량의 20% 정도를 섭취하자

~~~~~~~~~~~~~~~~~~~~~
5. 우유를 매일 마시자
~~~~~~~~~~~~~~~~~~~~
6. 짜게 먹지 말자

~~~~~~~~~~~~~~~~~~~~~~~~~
7. 치아 건강을 유지하자
~~~~~~~~~~~~~~~~~~~~~~~~
8. 술, 담배, 카페인 음료 등을 절제하자
9. 식생활 및 일상생활의 균형을 이루자
10. 식사는 즐겁게 하자

참고 : 영양학, Work book,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8년 11쪽- 12쪽


-- 2013. 1. 4(토) --

*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 목 : ♬ 금정구 한우 직판장에서 곰국을 판매 외


부산시 금정구 청룡동(삼신버스 종점에서 100 m 거리)에는 몇 년전부터
한우 직판장이 생겼다. 교통편이 특히 좋다 (* 지하철 1호선 범어사 역에서는 250m 거리)

0. 초심한우 직판장 : 전화, 051, 517 - 78 **
(대표자, 문병항 / 부산 금정구 남산냇길 80 )


< 곰국과 같이 판매>
직판장에는 주차장이 있고 구이장도 있어서 주차공간도 넓고 가족들과 같이 갔다가 한우 불고기를 먹고 올 수도 있다. 요즈음은 곰국을 일정량 포장하여 팔고 있었다. 예전 노령기의 어르신들이 연탄불 위에 소뼈를 삶아 곰국으로 끓여서 드셔왔는데 이로써 그런 번거로움은 사라졌다.
현재 건강보조식품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 천호식품(대표 : 김영식)에서도 건강보조식품으로 곰국을 출시하고 있다.

1) 소곰국 1팩 : 10,000원 ............ 횡문근의 살코기가 조금 들어 있다.

2) 다른 곳에서 반입한 것이 아니고 직판장 바로 옆에서 직접 끓여 냉동시킨 것으로 가정에서도 냉동실에 보관하면서 먹어야 한다.

3) 다시 끓여서 먹을 때 소금, 통후추를 사서 분쇄기로 갈아서 조금씩 넣고 쪽파나 대파를 작게 썰어 넣어서 먹으면 더 좋다.


※ 식품전문가들은 육류이던 생선이던 뼈를 갈아서 먹는 칼슘을 섭취방법은 금지한다. 왜냐하면 뼈에는 중금속이 축적되어 있을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 굵은 뼈가 아닌 세멸치, 뱅어포는 제외)

-- 2013. 5. 2(목), 2013. 6. 23(일), 2013. 10. 25(금) --


등록 : 2013. 6.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 정승) - 여론 광장 - 국민광장 외
보건복지부(장관 : 진영) - 참여 - 자유 게시판
농림축산부(장관 : 이동필) - 국민소통 - 국민참여 -자유 의견방

*
*
*
*
*
*

제안 추진 내용 2010년 2 )

2010년 부산 국제 음식 박람회


벡스코(부산 전시컨벤션센터)에서는 2010. 11. 10~13일까지 2010년 부산국제 음식박람회가 개최되었다.
주최는 부산광역시, 부산국제음식박람회 조직위원회, 한국 음식업 중앙회 부산지회이다.
이 기간에는 부산 국제 수산 무역 엑스포도 개최되었다.

(중간 줄임)

4.
기능식품의 선구자인 천호식품(대표 : 김영식)에서는 170가지의 기능식품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대표적인 식품이 흑마늘 진액인데 이번에는 예비엄마와 산모를 위해서 “한우 사골 곰탕 100”이 나왔다고 맛을 보였다.
순수 국산 한우 뼈 100%라고 그렇게 부른단다. 맛이 담백하였으나 국물을 진하게 우려내었다고 한다.
- 1상자 600g, 7,500원 ( 전화 : 080-789-1005)

요즈음 학교급식에서는 우유와 요구르트가 점식식사에서 제공된다. 시간이 나면 미취학의 아이들도 질 좋은 우유를 마시고, 어른들은 지방이 적게 든 우유를 마시자.
적어도 결혼 적령기(즉 출산시기) 5년 전부터는 칼슘을 충분히 섭취해 두자. 식품전문가들은 “칼슘은 많이 섭취해도 몸에 축적되지 않는다”고 한다. 사골국(= 곰국)에는 칼슘 외에 콜라겐 성분도 들어 있어서 약간 무리하면 관절이 불편하고 인대가 늘어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천호식품은 이 외에도 한우 볶음 고추장, 천호 사과진액, 천호 6년근 홍삼정100, 민들레와 엉겅퀴, 천호 배즙, 기장 다시마환, 5년근 도라지환, 동결건조 청국환, 진도 강황환, 해양심층수 소금, 쑥과 마늘, 어성초 100 등을 생산한다.

( 이하 줄임 )


-- 2010. 11. 11(목), 부산 해운대 벡스코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 목 : 목장 우유, 뚜껑 개선


목장에서 나오는 저지방 목장우유는 올해 초, 이마트의 대표가 최**에서 허**로 바뀌면서 갑자기 뚜껑이 잘 열리지를 않았다. 그런지가 4,5개월이 되었는데 계속 그러하다.
우유가 든 패트병 뚜껑을 적절한 강도로 만들어야지.........
개선하기 바란다.

제안자는 국토가 좁은 한국에서는 목장의 부지도 충분하지 않을 것이므로 나 대신 자라나는 아이들이 이 목장우유를 더 많이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껴서 먹어오고 있다.

0. 매일유업 상하공장 : 전북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 399.

-- 2013. 5. 18(토), 규방 일기 --

등록 : 2013. 5. 18(토)
전라북도청 (지사 : 김완주) - 나도 한마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 정승) - 국민광장 - 여론광장 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 )

패트병에 든 저지방 목장 우유의 뚜껑 열기가 갈수록 더 힘들게 되어 반품하려고 며칠 냉장고에 두었다가 뚜껑을 송곳으로 뚫어서 먹었다.
그렇게 하면 뚜껑의 작은 구멍으로 분사되어 나오는 우유는
그 속의 함유된 우유 지방이 균질화되어 맛이 더 고소하고 소화도 잘될 듯하다.
우유를 마시면서 입안에서 이로 ?어서 넘기라는 말도 있었듯이............

-- 2014. 1. 6(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