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9월17일,화요일-가을엔 ‘손 편지’

내용
9월17일,화요일-가을엔 ‘손 편지’
구름 낀 가을 초입. 기억의 파편 속에서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시 ‘가을날’ 중 ‘여름은 참으로 위대했습니다’라는 구절이 떠오른다.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부니 무더위도 관망의 대상으로 바뀐다. 지금쯤 강원 평창군 봉평면은 메밀꽃으로 온통 새하얀 융단이 깔렸다. 햇살을 품은 새하얀 꽃잎이 살랑대는 바람에 흔들릴 때마다 순백의 메밀꽃밭이 장관을 연출한다. 다시 찾아온 가을. 야속하게 흐르는 시간에 쓸쓸해진 마음, 흐드러진 메밀꽃으로 달래볼까.
점심시간 우연히 본 머리 위 파란 하늘. 어디론가 떠나고 싶지만 그럴 수가 없다. 대신 유행가 가사처럼 편지 쓰기로 마음을 달래볼까. e메일이 아닌, 누군가에게 손 글씨로 쓴 편지를 보낸 것이 언제인가. 편지와 함께 책 한 권을 같이 부치면 잊지 못할 선물이 될 듯. 우체국에 들러 소포 무개를 재고, 풀칠하고, 우표 붙이다 보면 ‘아날로그 통신’의 따뜻함을 느끼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