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상해를 찾아서 - 둘

내용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목 : ♬ 상해를 찾아서


제안자는 부산의 변두리에
전용 면적 8평이 못되는 작은 점포를 하나 가지고 있다.
추석 밑이라 점포가 조용하리라 싶어 중국 상해를 가는 여행 상품이 있어 몸을 실었다. 부산에서 출발하는 여행 상품이라 선택한 것이었다.
김해 국제공항에서의 미팅( meeting) 시간은 06 : 40분경,
비행기는 오전 8시 45분 탑승의 대한 항공이다.

부산 지하철 첫차 1호선 (노포동에서 05: 10분 출발)에 탑승하여 연산역에서 내려 → 지하철 3호선(강서구 대저행)을 갈아 타고 대저역의 종점에 내려 (06 : 00 경) → 김해 경전철에 환승하였다.
김해 국제 공항은 김해 경전철을 바꾸어 타고 10분 내에 도착하였다. 비행기에서의 기내식은 샌드위치였다.

중국 상하이는 일제 강점기 말기 한국의 임시정부가 있던 곳이었다. 역사적으로 한국과 인연이 깊다. 언젠가 상하이와 중국의 수도인 북경(= 뻬이징)간에 고속철도가 놓아졌다고 하였는데 가보니 고속철도가 상하이 시를 달리고 있었다.

상해는 홍콩을 뒤쫓는 거대한 상업 도시였다. 한국의 이마트가 상해의 “한국의 거리” 에 오래전 들어섰으며 또 그곳, 한국의 거리는 땅값이 많이 올랐다고 가이드는 말하였다.

* 아니나 다를까 중국에 도착하고 하루가 지나니 일행 중에서 감기가 걸린
일행(여- 이**)이 있었다. 두통과 콧물을 동반하는 감기인 듯 싶었다.

나는 상해 거리를 걸어서 완주하였다.
상해 거리에는 중국식품들이 “식품공사” 라는 간판을 달고서
판매되고 있었다.
중국에서 깨를 받아 올 한국이
다른 곳은 무시하더라도 상해 한곳이라도
당장 줄 수 있는 선물은 없을까 ?

하나는 있다고 생각했다.
고려인삼의 명성을 걸고 상해에 정관장이 나가있다고 하므로
현재 한국담배 인삼공사에서 제조하는 기초 화장품은 선물로 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정관장(=한국담배인삼공사)이 내어 놓는 화장품을 국민들이나 상해의 시민들이 사용하던 아니하던 그것은 자유의사이지만...... (山寺의 스님들과 성당의 수녀님들도 기초 화장은 한다고 한다 )
상해에도 중국 정부의 동인당(≒중국 정부의 한의원)이 진출해 있었다.
몇 년 전 북경(=뻬이징) 올림픽 개최 당시 중국 정부는 동인당을 북경에서 점차 타지역으로 확산할 것이라고 하더니....


상해시와 멀지 않은 항주(이전 남송의 수도)에서 연극 공연을 밤에 보았다.
공연은 서커스와 겸한 공연이었는데
연극의 주제는 한국의 식품안전 정책의 추진에 대한 “ 우려섞인 풍자” 가
그 주제인듯 하였다.
항주라는 도시는 작은 강(江)들이 많은 도시로서 나무도 울창한 아름다운 도시였다. 중국 문명의 발상지가 황하강 유역이라는 것이 다시 생각이 났다.

귀국하면서 상해 근교의 실크공장에서 실크 목도리 1개와 깨(5kg)를 사왔다.
실크는 중국에서 중요시하는 상품인 듯 했다(명주 솜 이불, 실크 목도리 등). 실크 로드(silk road)의 역사와 함께.
깨는 중국 연변의 깨보다 가격이 더 높았지만 귀국하여 풀어보니 깨끗하게 씻어진 깨였다.

귀국 후 며칠을 지나니 언론에서는
“ 마트에서 감기약을 팔 것” 이라는 소리가 얼핏 들리었다.

대한항공 조사장은 승무원 교육 단단히 시켜라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2012. 10. 1(월), 2013. 5. 21(화) --

등록 : 2012. 10. 1, 2013. 5. 21
식품의약품안전청 - 국민광장 - 여론광장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대한항공 승무원은 왜 반복적으로 그리하는가 ?
^^^^^^^^^^^^^^^^^^^^^^^^^^^^^^^^^^^^^^^^^^^^^^^^^^^^

두 글에서 살펴보면.
..................................................................................................................
--- 이후 제안자가 대한 항공(러시아 여행 : 시베리아 대륙횡단열차 여행을 위한 출국의 기내 오렌지 주스) 에서 마신 음료수에서 온 감기 등은 모두 같은 선상에 있는 것이다.
.......................................................................................................................

.
.
.................................................................................................................
* 아니나 다를까 중국에 도착하고 하루가 지나니 일행 중에서 감기가 걸린
일행(여성- 이**, 아기 - 김**)이 있었다.
두통과 콧물을 동반하는 감기인 듯 싶었다
.................................................................................................................................................




대한항공도 기업이다.
대한항공 사고 이후 새로 생긴 항공사가 ‘ 아시아나 항공’ 이다 (금호 아시아나 그룹회장 : 박삼구, 아시아나 항공 사장 : 윤영두 )

대한 항공은
과거의 대한 항공 폭파 사고(김현희 사건) 이후 아시아나 항공이 새로 생기고
이 항공사가 기업 이윤에서 경쟁사가 현재 되어 있으므로

선량한 비행기 승객들에게 감기를 유발시켜
과거의 대한항공 폭파 사고가 위장사고이며 진실이 아님을
밝히려는 것인 듯 싶다. 아닌가 ?

그렇다면 왜 선량한 승객들에게 피해를 주는가 ?
어느 산사의 스님(노** : 여)과
제안자의 자택에 연수기를 매달 점검하는 여성(노**)에게
비만이 왜 왔는지 알만도 하다.

진실은 밝혀야 한다.
진실의 여부는 대한항공 자사(自社)가 잘 알 것이 아닌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