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30대 암환자 계속 는다

내용
전체 암 환자 10명 중 1명이 20~30대
현재 암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1위며, 보건복지부 국가암 등록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평균수명 80세까지 생존할 경우 평생 한 번이라도 암에 걸릴 확률은 34%로 나타났다. 남성은 3명 중 1명, 여성은 10명 중 3명이 걸릴 정도로 흔한 질병이 바로 암이다. 덧붙여 요즘 이슈로 떠오르는 것은 젊은 층의 암 발병 증가율.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20~30대는 1만 8천50명으로 10년 전 9천998명에 비해 2배가량 늘었다. 2010년 신규 암 환자 수가 20만 2천53명으로 전체 암 환자의 10명 중 1명 정도가 20~30대인 셈이다. 주로 발병하는 암은 갑상선암이 가장 많고 위암, 대장암 순으로 나타났다.
젊은 층의 암 발병률이 빠른 속도로 증가한 이유는 무엇일까. 가시적인 이유는 잦은 흡연 및 폭음, 비만인구의 증가, 가공식품의 소비 증가로 인한 발암물질에 대한 노출도 증가 등으로 환경적 요인이 크다. 더구나 젊은 층은 암 검진을 간과하기 쉽고, 몸이 아파도 병원을 잘 찾지 않는 경향이 있어 암 발견이 더욱 늦어진다. 지난 2009년 세상을 떠난 배우 장진영을 비롯해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레슬링 금메달리스트 송성일도 역시 각각 30대와 20대에 위암 판정을 받고 병세가 악화되어 사망에 이르렀다.
(한국건강관리협회 부산시지부 원장 김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