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이제 그만 속 마음을 숨기지 말자

내용
속으로 울지만, 겉으로 웃는 이유?
사람들은 ‘남들에게 내가 어떻게 보일까?’에 집착하고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온갖 노력을 마다치 않는다. 이래서 ‘내가 누구인가?’보다는 ‘내가 어떻게 보이는가?’하는 자신의 이미지에 더 집착한다. 남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타인이 자신에게 반하고 호감을 갖게 하기 위하여 웃는 얼굴을 연습한다.
다른 사람에게 나쁜 모습을 보이고 싶은 사람은 없다. 누가 나를 향해 얼굴을 찡그리면 상심하게 되고, 못났다고 하면 정말 내가 못난 것처럼 느껴진다. 반면 누가 나를 칭찬하면 기분이 좋고, 누가 나를 기억해 주면 갑자기 인생이 살 만한 것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속으로 화가 나고 속으로 울고 있어도 겉으로는 웃는 것일까?
첫째, 다른 사람이 나를 떠나갈까 두렵다.
화를 내거나 내적인 감정이 얼굴로 드러날 때 사람들이 자신에게 실망하고 떠나갈까 두려워 내면을 보이지 않는 것이다. 사람들이 자신을 싫어하고 떠날지 모른다는 두려움 뒤 에는 자신이 상대방에게 사랑받을 만한 가치가 없다는 자기 비하와 열등감, 죄책감 등이 숨어 있다.
둘째, 남에게 보이는 내 모습을 걱정한다.
‘조명 효과(spotlight effect)’ 라는 심리 현상이 있다. 조명 효과란 자신을 연극 무대에 선 주인공인 것처럼 생각하는 것이다. 무대에 오르면 주인공에게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지 고, 관객들이 주인공만 주시한다. 이때 주인공처럼 조명을 받고 있다고 착각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 민감하게 신경 쓰기 때문에 내적인 감정보다는 겉으로 자신을 포장하려 하는 것이다. 하지만 ‘조명 효과’는 착각이다. 다른 사람은 나를 주인공처럼 행동, 감정 등 을 주시하고 있지 않다. 정작 주시해야 할 것은 자신의 내면이다. 스스로를 들여다보자. 두 발로 땅을 디디고 살고 있다는 안정감과 자신감을 느껴보자. 그리고 스스로 사랑하는 마 음을 가져보자. 남들의 시선에 목숨 거느라 너무 외양을 속이게 되면 내적 성숙을 위해 투자할 수 있는 에너지가 줄어든다.
셋째, 소극적이거나 나태하기 때문이다.
화가 난 내 감정 상태를 표출하지 못하고 겉으로 웃는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은 자신 의 내면을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다. 이런 사람의 경우 늘 소극적이고 행동반경이 좁으며 자기를 표현하지 않고, 일을 미루는 나태한 삶의 태도를 갖고 산다.
(한국건강관리협회 부산시지부 원장 김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