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명태국 끓이기

내용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제 목 : ♬ 명태국 끓이기


^^^^^^^^^^^^^^^^^^^^^^^^^^^^^^^^^
제목 : 황태포채국 끓이기
^^^^^^^^^^^^^^^^^^^^^^^^^^^^^^^^

황태포채는 명태를 겨울철 흰 눈속에서 말려서 찢어서 내어 놓는 것이다.
그래서 생선회처럼 가격도 만만치가 않다. 황태포채국을 끓여도 맛도 그러하고 .....
그랬더니 언니가 황태포채국 끓이는 법을 일러주었다

냉동실에 넣어둔 황태포채를 한 웅큼 꺼내어 시키는 대로 끓여보니 뽀얀국물이 우러나고 맛도 괜찮다.

<끓이는 법 >
황태포채를 잠시 물에 불렸다가 꼭 짜서 냄비에 넣고,
들기름을 다소 넉넉히 붓고, 재래간장과 마늘 간 것을 함께 넣어 볶은 뒤
다시 적당량의 물을 붓고 끓인다.
콩나물을 같이 넣어도 좋다. (콩나물을 넣으면 국물이 훨씬 시원해진다)
마지막에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들기름은 인체에 좋지만 김구이 등 한식에서의 사용에 제한이 있다. 들깨가루가 씨레기 된장국 등에 많이 쓰인다.

-----------------------------------------------------------------------------------------------------------------------------------------------------------------------------------------------------------------------------------------------------------------------------------------------------------------------------------------------------------------

^^^^^^^^^^^^^^^^
북어 무국
^^^^^^^^^^^^^^^^

1.
북어(명태를 바닷바람에 말린 것)를 먹기 좋게 잘라서 물에 잠간 담갔다가 건져 물기를 뺀다.

1-1. 상기 1의 북어에
마늘, 재래간장, 참기름을 적당히 넣어 밑간을 하여 둔다.

2. 무를 좀 굵게 채로 썰어서 냄비에 넣고, 물을 부어 끓이다가 밑간을 해둔 상기의 북어(1-1)를 넣고 다시 끓인다

좀 끓이다가 약간 불을 낮추고 마늘과 소금을 넣어 간을 맞춘다.
다시 불을 한단계 더 낮추고 끓이다가 무가 익었으면 불을 끈다.

-- (요리강의 : 한복려, 한복선),
서울신문사, QUEEN 10월 특별 부록, 25쪽 --

------------------------------------------------------------------------------------------------------------------------------------------------------------------------------------------------------------------



O. 한식의 주식은 반고체의 밥이므로 보통 국이 있어야 한다.

O. 국물의 마지막의 간은 색이 없는 소금으로 맞추면 떠 뽀얗다.

O. 요즈음 친환경 두부가 비교적 저렴하게 시중에 많이 나오므로 두부를 썰어서 넣으면 콩 단백질의 영양분를 추가할 수 있다.

O. 마지막으로 간을 할 때, 국물이 뜨거우면 혀가 짠맛을 감지하는 느낌이 감소되므로 약간 싱겁게 하여야만 국이 식어도 짜지 않게 된다.
.
.
.
.


2012. 5. 8(화), 2012. 11. 5(화)
식품의약품안전청 (청장 : 이희성) > 국민 광장 > 여론 광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