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북 익산에 식품 클러스터, 2016년까지 국내 첫 조성

내용

전북 익산에 식품 클러스터, 2016년까지 국내 첫 조성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전라북도 익산에 국내 최초로 ‘식품 클러스터 산업단지’를 조성한다고 25일 밝혔다. 232만㎡ (약 70만평) 규모 부지에 2016년까지 사업비 2,522억원을 투입해 이 일대를 동북아시아의 식품시장 허브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곳에는 식품업체 150여개와 식품관련 연구소, 물류업체 등이 입주할 예정이다. 특히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각종 식품과 관련된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는 점을 감안, 수출에 주안점을 뒀다.
국토부는 클러스터가 완성되면 직간접적으로 23,000여명의 고용 유발 효과가 생기고 4조 3,000억원 가량의 생산 유발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입주 기업을 위한 다양한 기반시설도 갖추어진다. 식품 클러스터 부지는 호남, 서해안 고속도로가 가깝고 1시간 거리에 군산항과 공항이 있어 수출입이 편리하다. 2014년 호남선 고속철도(KTX)도 개통될 예정이다.

-- 2012. 6. 26(화), 조선경제, 정한국 기자 --



^^^^^^^^^^^^^^^^^^^^^^^^^^^^^^^^^^^^^^^^^^^^^^^^
제안 추진 내용 : 2008년 -6) : 전북 익산에 ‘식품산업 허브’ 만든다. ※ 2007년 74 , 2007년 83-1 .
^^^^^^^^^^^^^^^^^^^^^^^^^^^^^^^^^^^^^^^^^^^^^^^^


전북 익산시를 ‘동북아 식품산업 허브(hub →중심축) ’ 로 개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008. 12. 26, 전북 익산지역 400ha에 국내외 식품기업 100여곳과 식품연구소 10여곳을 유치하는 내용의 식품 클러스터(cluster)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 식품 클러스터란 정부기관, 식품관련업체, 연구소 등을 같은 지역에 모아놓고 식품을 국가의 특화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네슬레, 하인즈, 하이네켄 등 세계적인 식품업체 70여곳과 식품 연구소 20여곳이 모여 연간 85조여원의 매출을 올리는 네델란드의 ‘푸드밸리(food vally )가 그것이다 -

식품 클러스터 입지 선정위원장인 서울대 교수(박삼옥)는 “2007년 12월 식품클러스터 대상 광역지방자치 단체로 선정된 전북의 고창, 김제, 남원, 부안, 익산, 정읍 등 6개 후보지역 중 연구 인력 유치 가능성, 교통 편리성, 지자체 추진 의지 등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익산을 최종 선택했다” 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우선 2009년~2015년까지 예산 1조원을 투입해 1단계 사업을 진행한 뒤, 그 성과에 따라 2단계 사업 (규모 660ha)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익산 식품 클러스터에 부가 가치가 높고 수출에 적합한 기능성 식품(인삼,홍삼), 발효성 식품(김치, 고추장, 된장, 청국장), 유가공 식품(치즈, 요구르트), 육가공 식품(햄, 소시지) 등을 유치하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예컨데 우수한 배추 품종과 김치 보존 기술을 개발하는 대학과 연구소, 맛있고 위생적인 김치를 담그는 업체, 여기에 각종 지원을 하는 정부기관을 하나로 묶어 김치를 수출 산업으로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식품 클러스터에 입주하는 업체엔 공장 용지 저가 공급, 운영자금 저리 융자, 연구 개발 경비 등이 지원된다. 또한 새만금 경제 자유 구역과 연계하여 해외 기업과 연구소도 유치하기로 했다.


-- 2008. 3. 19(수), 한겨레, 김진철 기자 --
-- 2008. 12. 27(토), 조선일보, 금원섭, 정철환 기자 --

-----------------------------------------------------------------------------------------------------------------------------------------------------------------------------------------------------------------------------------------------------------------------------------------------------------------------

등록 : 2012. 6. 29(금)

식품의약품안전청 (청장 : 이희성) > 국민 광장 > 여론 광장
전북 (도지사 : 김완주) > 자유 발언대
전북 익산시청 (시장 : 이한수) > 시민 참여 > 자유 게시판
부산광역시청 ( 시장 : 허남식)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