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준 높은 교육인가 ? 농어촌학교 기숙사 건립인가 ?

내용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제 목 : 수준 높은 교육인가 ? 농어촌학교 기숙사 건립인가 ?


부 제목 : 기숙형 고교, 어디까지 왔나 ?

등 록 : 식품의약품안전청 > 국민 광장> 여론 광장 외 (2012. 7/18)

^^^^^^^^^^^^^^^^^^^^^^^^^^^^^^^^^^^^^^^^^^^^^^^^^^^^^^^^^^^^^^^^^
제안 추진 내용 2008년 나 86-7) : 지역 자율통합 땐 기숙형 고교 지정 우선권 주겠다
^^^^^^^^^^^^^^^^^^^^^^^^^^^^^^^^^^^^^^^^^^^^^^^^^^^^^^^^^^^^^^^^^

교과부, 지방교육 활성화안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통합하면 기숙형고교 지정에 우선권을 주기로 했다.
또 공공기관이나 기업이전으로 학교 수요가 증가하는 자유경제구역, 혁신도시, 기업도시 등의 자율형 사립고 설립도 지원하기로 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9월 16일 열린 제2회 지역발전위원회에서 이명박대통령에게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지방교육 활성화 대책”을 보고했다. 대책에 따르면 교과부는 현재 82곳인 기숙형 고교를 연말까지 68곳을 추가로 선정해 총 150곳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통합하면 기숙형고교 지정에 우선권을 부여하기로 했다.

“기숙형 고교”란 교육 낙후지역 고등학교에 기숙사 시설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면서 자율성도 높인 고교를 말한다.
또 우수 지방대학생들이 학비 부담없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현재 매학기 등록금의 50%(이공계), 80%(인문계)였던 장학금을 전액 지원으로 상향조정하기로 했다. 대신 장학생 선발기준은 B+ 학점에서
A학점으로 강화하기로 했다.

마이스터고는 앞으로 13개 시도별로 2~3개를 추가로 지정해 지방자치단체와 지역기업이 적극 참여하는 “지방자치단체 주도형 마이스터고” 35 ~40개교를 육성하기로 했다.


-- 2009. 9. 17(목), 조선일보, 김연주 기자 --



*
*
*
*
*
*
*
*
*
*
*

통영의 재학생이 등교하는 길에 실종되어 이러쿵 저러쿵.........
요즈음 연일 신문에 실리는 기사 내용이다.

---------



작성자 : 안정은

등록 : 식품의약품안전청 > 국민 광장> 여론 광장 외 (2012. 3/23 )

부 제목 : 수준 높은 교육을 위해 정몽구 재단 나서다.



도읍면 소재 초등 및 중등교생, 토요일 수업 계속
=======================================


농촌지역의 아이들은 학교가 토요일과 일요일 쉬어도 어른들은 농삿일로 바빠 집에 없고 또 주위에는 대부분 적당한 놀이터나 학원도 없다.
그렇다고 아이들이 공부도 않고 농삿일을 거들기를 원하는 농촌의 부모님들은 없을 것이다.
그리하여 전국의 9곳의 도(강원, 충청남북, 전라남북, 경상남북, 제주, 기타 1곳 )읍면 소재 초등 및 중등학생 1만명을 대상으로
5년간 예술과 체육 등 6개 분야에 대한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주체는 정몽구 재단, 교육과학기술부이다.

정몽구 재단(현대 자동차 그룹회장)은
사재(私財) 6,500억원을 출연해 세운 재단이다.
브랜드 명은 “ 온드림 스쿨(on Dream School)” 로
교육 장학 사업 등 인재육성을 하는 재단이며 저소득 인재 육성을 위해 나선다. 발족일은 2012. 3. 15일자.
“ on Dream School ” 의 의미는 “ 저소득층 인재들이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다리 역할을 하겠다” 는 의미를 담았다.

2012. 3. 15(목), 정몽구 재단은 교육과학 기술부와
농어촌의 초. 중등학생 학습 지원과 교육 기부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브랜드명을 처음 알렸다.
정몽구 재단과 교육과학 기술부는 올해(2012년)부터 상기 9곳의 도읍면 소재 초등 및 중등생 1만명을 대상으로 5년간 상기 교육을 제공하기로 했다.

( 2012. 3/16, 금, 조선일보, 김은정 기자 )


* * * * * * * * * * * * * * * * * * * * * * * *

작성자 : 안정은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 불균형 해소
===========================


대학에서 의과대학의 운영이 어렵다고 하여도 신학대학에도 의과대학이 있었다.
부산시 서구 소재의 고신대학의 복음병원이 그것이다.

그런데 며칠 전 신문에 전남도내 대학에 의과대학이 없다는 기사가 났다.
사실이라면
지역 균형 개발....... 구호에만 그쳐서는 안된다.

-- 한국의 절은 팔도에 흩어져 있다. 불교인이 아니라도 절은 관광지로 한국인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전남의 순천 송광사는 불교계에서 유명한 절이다. 그러나 경북 대구 지역 등 여타지역의 절과 달리 송광사를 찾는 길이 비포장으로 불편하였으나 노태우 정부에서 진입로의 길을 포장도로로 닦은 것으로 알고 있다. --

16 곳 시도의 인구이동에서 전남의 인구가 계속 줄어드는 것은 이러한 곳에 원인이 있다. 지역 균형개발, 구호에만 그쳐서는 안된다.

※ 전남 순천대학교에 몇 년전에 약학과가 생긴다고 하던데..........(진도 바닷길 열리는 날, 관광여행의 길에서 보았다)

* 전남 순천시장, 노관규 시장 맞습니까 ?

--------------------------------------------------------------------------------------------------------------------------------------------------------------------------------------------------------------------------------------------------------------------------------------------------------
2012. 3/18,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