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제안자는 변한 것 하나 없다.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작성자 : 제안자, 안정은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1999년 10월 20일- 김대중 정부)


제안자---소속 및 직명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지방행정 주사(6급) 안정은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 ♬ 제안자는 변한 것 하나 없다.


가까운 문구점에 가면 A4용지를 넣을 수 있는 비닐 책자가 다양하게 나온다.
이것을 사서

고추장과 된장, 간장, 장아찌를 살수 있는 곳(전북 순창고추장 민속마을),

신안소금(전남 신안 - 식탁소금인 가루소금과 절임용 소금)

100% 감식초 (경남 의령 김식초, 경남 하동 김식초, 전북 운장산 감식초)

광주 전남 배추김치, (광주직할시)

여수 갓김치 및 고들빼기 김치, (전남 여수시 )

기장 멸치젓, 기장 다시마(부산 기장군)

하동 재첩국, 하동녹차, (경남 하동군)

안동 국화차, 제주 국화차 (경북 안동, 제주시)

남해 유자차 (경남 남해군)

구룡포 과메기, (경북 포항시)

한과 (경남 의령 외)등 먹을거리가 있는 부분을 출력하여
비닐안에 넣어두고 뒤적이면서 주문해서 먹도록 한다.

주문은
생산처에 전화하여 식품의 판매여부와 식품가격을 물어보고
식품대금은 국민은행이나 농협의 자동입금기계에 넣어주고
식품생산처에 식품을 택배로 받을 새주소와 전화? 불러주면
(식품을 받을 때까지 은행 입금증은 보관한다)
주문한 식품을 택배로 보내어 준다.
돈만 있으면 앉아서 즉석식품도 받아 먹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충분하게 사면 택배비도 안 받는다.
-- (중간 줄임) --

과메기를 파는 곳(포항 구룡포)도 과메기를 말리는 장소를 넓혔다.
부산 공영 농산물 도매시장 주차장은 처음에는 손님이 없어
벌판이였으나
지금은 주차장에 이중, 삼중 주차를 하고 있다.
공무원은 주인의식과 긍지를 가지고 일하고
국민들은 정부 식품을 믿고 감사하게 생각하고 먹어야 한다.
요즈음도 된장과 고추장을 직접 집에서 담아서 먹는 여성은
두뇌지수가 두자리이다.

제안자는 정부에 제안서를 제안한 후 제안한 식품은 잘 먹고 있다.
그러나 그 외에는 아무것도 달라진 것이 없다.
아직도 혼자 일한다. 또 그 자질구레한 경비도 사사로이 부담한다.
변한 것 하나 없다.

-------------------------------------------------------------------------------------------------------------------------------------------------------------------------------------------------------------------------------------


등 록 : 전자 게시판

-- 2010년. 10/10, 2010년. 12/3 (보건복지부> 참여 >자유 게시판 외 )

-- 2011년, 4/30, 2011년. 7/27, (식품의약품 안전청> 국민광장>여론광장 외 )

-- 2012년. 5. 21. 월(보건복지부>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