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영화의전당] 영상으로 보는 대중음악 이야기(6. 16 ~ 7. 1)

내용
(별첨1) 강좌 세부 계획

영화의전당 아카데미

인문 예술 강좌 1
‘비틀즈’에서 ‘비지스’까지 ? 영상으로 보는 대중음악이야기


1. 강좌소개
기성세대에 대한 반항으로 출발했던 1960년대는 비틀즈가 록음악으로 육체를 해방시켰고 포크음악이 정치적 사회적 자각을 일깨움으로써 문화는 완전히 새롭게 탈바꿈했다. 그러나 개인주의 시대와 더불어 자본의 힘이 사회를 지배하기 시작했던 1970년대에 음악은 개인의 쾌락을 노래했고 상업주의는 이것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그 과정에서 한국의 대중음악도 새롭게 태어났다. 196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미국의 대중음악은 한국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를 영상과 사진이미지, 음악을 통해서 알아본다.

2. 강의계획
가. 비틀즈의 미국 상륙 / 한국 록음악의 태동
1950년대 엘비스의 뒤를 이은 비틀즈의 미국 상륙은 록음악을 전 세계적 문화현상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 영향으로 한국의 대중음악계에 미8군 무대를 중심으로 록밴드가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나. 전통포크에서 모던포크로 / 한국 통기타 음악의 시작
미국 흑인의 민속음악인 블루스와 미국 백인의 민속음악인 컨트리가 미국의 근대화과정에서 도시에서 모던포크라는 새로운 음악으로 재탄생한다. 이것은 한국사회에도 영향을 주어 통기타음악을 탄생시킨다.
다. 흑인들의 자각 소울과 모타운사운드
미국 백인 청년들의 사회적 자각은 모던포크를 통해 드러났지만 흑인들의 자각은 1960년대 소울을 통해서 드러났다. 한편 흑인들의 음악은 주류사회에 적응하면서 모타운사운드라는 새로운 흑인팝으로 재탄생했다.
라. 사이키델리 음악과 히피족 / 신중현사단의 소울사이키 음악
1960년대에 기성세대에 대한 반발로 출발했던 미국의 젊은이들은 히피라는 반문화로 어른들을 경악시켰고 마약사용을 통한 이상적 세계로의 도피는 사이키델릭 음악이라는 새로운 음악문화를 만들어냈다. 이것을 한국사회에 도입하고 적응시킨 사람이 신중현이다.
마. 1970년대 백인의 주류음악 / 한국 팝송문화의 만개
자본의 힘이 문화를 장악하기 시작했던 1970년대 미국은 새로운 음악보다는 기존의 음악이 더욱 시스템 속에서 더욱 확장되는 모습을 보인다. 1960년대에 미국 팝음악을 도입했던 한국사회는 1970년대에 이것이 만개하면서 팝송문화가 일반화된다.
바. 1970년대의 흑인음악 펑키록과 디스코 / 한국은 고고장에서 디스코텍으로
미국 흑인들의 블루스와 소울 음악은 1970년대에 들어서서 재즈의 영향을 강하게 받으며 펑키록이라는 쾌락적인 음악으로 변모한다. 이 때 백인들의 록음악은 펑키록의 영향을 받아 디스코라는 새로운 댄스음악으로 변모하고 한국의 대중음악 가요는 펑키의 영향을 받아들이고 춤은 디스코가 고고를 대체한다.

3. 강좌기간
2012년 6월 16일 ~ 7월 1일 토, 일요일 총 6강

4. 강좌시간
토, 일요일 오후 2시 ~ 5시(3시간)

5. 강 의 실 : 영화의전당 비프힐 2층 강의실 B

6. 강 사 : 김 형 찬(대중음악평론가)

7. 수강인원 : 30명(정원의 40%미만 신청 시 폐강)

8. 수강대상 : 일반인

9. 수 강 료
가. 일반 : 90,000원
나. 회원 : 학생, 레인보우 회원 80,000원 / 골드, 프리미어 회원 무료
다. 수강 신청 시 회원 가입자 : 70,000원

10. 수강신청
가. 온라인 등록
1) 수강신청서 제출 및 수강료 송금
2) 이메일 cinemaacademy@hanmail.net 또는 전화 통보
* 수강신청서는 영화의전당 홈페이지(http://www.dureraum.org/)
교육게시판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 수강료 입금 계좌 : 부산은행 174-01-001273-2 (재)영화의전당 허남식
* E-mail : cinemaacademy@hanmail.net
나. 방문등록 : 수강신청서 작성, 제출 및 수강료 납부
다. 문의
1) 전화 : 051)780-6053
2) FAX : 051)742-5378
3) E-mail : cinemaacademy@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