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신문의 석패율제보다 독일식 정당명부제가 답이다

내용
오늘신문의 석패율제보다 독일식 정당명부제가 답이다



꼼수 한나라당은 이름만 바뀐다고 달라지냐 사람이 바꿔도 될까말까한다,민심심판,박살내자


한나라당과 민주통합당 등 제1, 2당이 4·11 총선에서 도입하려던 석패율제 도입에 제동이

걸리고 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오늘 회의를 열어 지역구에서 아깝게 낙선한 후

보를 비례대표로 구제해주는 석패율제를 논의할 예정이나 민주통합당 내에서 반론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석패율제는 한나라당이 호남에서, 민주통합당이 영남에서 의원을 낼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지역에 근거한 정당체제를 더 강화하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비판이 만만치 않은 게 사실이다. 이번 기회에 본격적인 논의의 물꼬가 트이길

기대한다.

석패율제는 세 가지 맹점을 안고 있다. 첫째, 계층·직능 대표성을 살리는 현행 비례대표제

의 공간을 좁힐 여지가 크다. 논의 중인 석패율제는 각 정당이 지역구 후보자 가운데 2명

이상을 비례대표 후보 명부에 넣고, 이 중 10% 이상 득표를 한 사람이 지역구에서 낙선하

더라도 당선인으로 할 수 있도록 했다. 지금도 적다는 지적을 받아온 비례대표 의석 54개

가 더 줄어들 수밖에 없다. 둘째, 두 거대 정당 중진들의 낙선을 예방하는 보험장치로 활용

될 수 있다. 대구와 부산 출마를 각각 선언한 김부겸 최고위원과 문재인 노무현재단이사장

이 자신들은 석패율제를 활용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이는 개인적이고도 특수한 상황일 뿐

그 개연성을 없앨 수는 없다. 셋째, 영·호남에 뿌리를 두지 않은 소수 정당에는 불이익을 줄

수 있다.

관심을 끄는 것은 독일식 정당명부 비례대표제이다. 후보와 정당에 1표씩 2표를 행사하고,

정당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정한 뒤 지역구 당선자를 뺀 나머지를 비례의석으로 배분하는

제도다. 민주통합당 내 차기 대선후보 지지율 1위를 기록 중인 문재인 이사장은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입법을 약속하고, 소수 정당에도 동등한 혜택을 부여한다는 조건을 전제로 석

패율제 찬성 입장을 밝혔다. 1·15 경선에서 2위로 최고위원에 오른 문성근 국민의명령 대

표도 독일식 비례대표제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쪽이다. 석패율제 도입을 주도해온 당내

세력들도 이를 정치적 야합이라고 비판하는 진보정당들과의 총선 연대 등을 의식한 탓인

지 몸을 사리기 시작했다. 국민보다는 양대 정당의 손익계산에 따라 석패율제를 논의한 결

과다.


정당명부제는 석패율제의 장점을 최대화하고,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본다.

우선 유권자들의 사표가 방지된다. 정당들이 이념·노선의 차이를 통해 정책 승부를 할 수밖

에 없어 지역주의 해소도 바라볼 수 있다. 일각에선 시간이 부족하니 석패율제부터 도입하

자고 하는 모양인데 단견이다. 정당명부제와 따로 떼낸 석패율제 논의는 ‘코끼리 다리 만지

기’로 흐를 수 있다. 지역구도 해소의 본질을 가릴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정치권이 정당개

혁 차원에서 정당명부제 도입을 진지하게 검토한다면 의원 증원도 불가능한 일만은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