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산시장, 축산시장 특성화 하고 시골장은 환경 개선

내용

^^^^^^^^^^^^^^^^^^^^^^^^^
작성자 : 안정은

제목 : 재래시장을 수산시장, 축산시장으로 특성화하고
시골장과 5일장은 환경개선
^^^^^^^^^^^^^^^^^^^^^^^^^^^^^^^^^^^^^^^^^^^^^^^^^^^^^^^^

재래시장 및 전통시장의 활성화는
제안자가 제안서를 제출하고서도 오래된 과제였다.
도심과 교외에 대형 유통업체가 들어서면서부터 공공기관에서 언급되어 졌다.

제안자의 생각으로는
떡 등 전통식품은 재래시장인 전통시장에서 틈새시장으로나마 활성화 될 수 있는 업종이였으나 방향이 옳지 못하였다. 전통의 떡 등에는 식품성분이 많지 않는데도 떡의 이름도 성분도 표기하지 않고 동네 김 아무개의 떡집처럼 떡 등을 팔고 있었다. 또 동네의 떡집에서는 소금을 잘못 사용하여 편두통이 왔고 그리하여 제안자는 전남도지시에게 바란다에 “신안 소금 물류비용을 아껴야 한다” 고 노래 하였으나 반응이 없었다.

박준영 전남도지사님은 恨者(피해자)를 가르치려고 하지 말아야 합니다 !
피해자와 가해자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신안소금을 먼저 묶어야 합니다. (규제)
생산지(=신안)도 제한하고 유통장소도 제한하여야 하며 공급 물량이 모자라면 생산지를 확대하면 됩니다.
가능한 부분은 해야 합니다.



그리고 도심이나 원도심의 기존의 재래시장을
우선하여 수산시장, 축산시장으로 특성화 하여야 한다. 그렇게 하지면 공공기관이 개입하여야 하고
재정도 지원하여야 하므로 기존의 시장 번영회에만 맡겨 놓아서는 안된다.

또 이를 지원을 할 때는 다음사항을 행정지도 하여야 한다.

- 식품의 이름( 찰떡, 가래떡, 도미, 조기 등)도 붙이고
- 제조식품은 들어간 식품의 이름을 표기하고
- 간판 상호에는 대표자의 이름을 넣고
- 식품의 생산자(=제조자)가 대표와 상이하면 생산자를 성분명과 같이 표기하면 된다.

.................................................................................................................................................................................................................................................................................................................................................................................................................................................



- 5일 장터와 5일장 진입로의 시설 개선을 위한 재정 지원 -

그리고 재래전통시장이 멀거나 없는 원도심과
도산하의 시구군 단위에서는 5일장의 공간을 확보하여 5일마다 김치를 팔도록 한다.
시골의 5일장은 도민들이 체육회, 만남의 광장 등 다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5일장터의 일정 공간에는 (부산시 금정구 노포동 금정 경륜장과 부산시 부산진구 부전시장처럼) 지붕을 둔 공간을 마련하고, 또 시골에서는 수산시장을 별도로 둘 수 없으므로 이 공간에서는 활어, 생선, 해조류도 함께 팔 수 있도록 한다.

시골의 정류소가 지붕을 갖고 비를 피할 수 있도록 되었으며 도심과 달리 시골버스에 안내양이 탑승하고 있다고 하므로
5일장이 있는 곳에는 시골버스가 진입하고 5일 장터에서 하차하는 버스 정류장의 지붕을 5일장까지 연결하여 도민들이 눈비가 와도 5일장을 보는데 불편함이 없어야 하여야 한다. (한국 도로공사 사업소처럼)

-------------------------------------------------------------------------------------------------------------------------------------------------------------------------------------------------------------------------------------------------------------

2012. 1/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