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시민게시판

시민게시판

보안과 관련되어,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화면 이동 없이 30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오니 작업시간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게시판 글쓰기를 하실 때, 세션 종료로 작성하신 글이 모두 삭제될 수 있으니 반드시 다른 곳에서 먼저 글을 작성하신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서 글쓰기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이 게시판은 자유롭게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사이버 문화 정착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통합민원신청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상업성 광고,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반복적 게시물, 개인정보 등은 관리자에 의해 통보   유출은 법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으며, 불법 유해 정보를 게시하거나 배포하면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벌칙(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신문의두 공영방송에서 동시에 터진 불공정 보도 비판

내용

오늘신문의두 공영방송에서 동시에 터진 불공정 보도 비판

양대 공영방송인 KBS와 MBC의 뉴스 제작 최고 책임자들이 불신임 당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언론노조 KBS 본부(새 노조)와 KBS 노조는 엊그제 고대영 보도본부장 등을 대상으로 신임투표를 실시한 결과 압도적 불신임률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고 보도본부장에 대해서는 재적조합원 710명 중 595명이 투표해, 595명 전원이 불신임표를 던졌다. 재적인원 대비 70.7%의 높은 불신임률로, 노조는 불신임률이 3분의 2를 넘으면 단체협약에 따라 직접 해임건의를 할 수 있다. MBC는 기자회가 최근 전영배 보도본부장과 문철호 보도국장에 대한 신임투표를 실시해 90% 이상이 퇴진 찬성표를 던졌다. 기자들은 두 사람이 자진 사퇴하지 않자 어제 제작거부 찬반투표를 실시했고 25일부터 제작거부에 들어가기로 결의했다.

두 공영 TV의 보도책임자들이 어쩌다 동시에 내부 구성원들로부터 불신임 당하는 지경에 이르렀을까. 한마디로 편파, 불공정 방송이 용인할 수 없는 수준에 왔기 때문이다. KBS 새 노조는 이번 투표결과가 “그동안 고 보도본부장이 행한 온갖 불공정, 편파보도에 대한 엄중한 심판이자, 김인규 사장 체제에 대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는 조합원들의 명확한 항의”라며 “노조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전면적인 사장 퇴진 운동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앞서 MBC 기자회는 그간 MBC 뉴스가 4·27 재·보궐 선거, 장관 인사청문회, KBS 도청 의혹 등에서 행한 축소·편파보도 사례를 발표하고, 그 결과 <뉴스데스크> 시청률이 크게 떨어졌다고 밝혔다.

김인규 KBS 사장과 김재철 MBC 사장에게 촉구한다. 두 공영방송에 대한 시청자들의 불신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이젠 언론 노동자들, 기사 쓰고 마이크 잡는 것을 업으로 삼는 기자들까지 이대로는 안된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양 방송사에서 동시에 이런 목소리가 터져 나온 것은 결코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이 상황을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그것을 젊은 기자들이 “정파적 시각에 기운 탓”이라거나 “근거 없는 주장”이라며 안일하게 대응하는 것은 분노의 불길만 확산시킬 뿐이다.